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우 Sep 30. 2022

말해야 전해지는 당연한 사랑

  나는 오늘 생전 취미에도 없는 닥터 스트레인지 멀티버스 영화를 남편이랑 보았다. 마블 시리즈를 내가 다 본 게 아니라 세계관, 줄거리도 인지가 안 된 상태에서 보았으나 영화든 드라마든 무릇 앞 편을 안 봤다고 이해가 안 되게 만들리가 없지라는 마음으로 도저히 모르겠는 소리는 남편에게 작은 소리로 질문을 해 가며 보았다.


  닥터 스트레인지로 나오는 데이비드 컴버비치는 지난번에 스파이더맨 세 명이 다 나오는 영화에서 거의 제대로 처음 보았는데 내 취향은 아니지만 정말 잘생겼다는 생각이 들었다. 키어스 브로스넌 닮지 않았냐는 남편의 말을 들으니 정말 그랬다.


  영화 초반에 저 배우가 야무지게 슈트를 차려입었는데 나는 정말 그 장면을 보고 너무 멋있어서 내 친구에게도 이야기했다. 그 왜 있잖아. 너무 멋있는거야. 시계 광고 찍으면 딱이겠는거야. 하니까 친구가 말했다. 롤렉스 말이야? 그래 그런거 말이야.


  하지만 이 영화는 뒷부분에서 내 눈두덩이를 떨리게 하더니 기어코 마스크 안으로 눈물방울이 후두둑 떨어지게 만들었다. 내용을 적을 수는 없다. 이 글을 보실 많지는 않을 분들에게 영화의 내용을 누설하지 않으려는 이유와 등장인물의 이름이 정확히 떠오르지 않는 더 큰 이유와 실은 잘 설명할 자신이 없음을 정확한 이유로 삼아야 될 것 같다. 


  그리고 나는 오밤중에 <금쪽같은 내새끼>를 보고 또 눈물을 한바가지 흘렸다. 아이는 무얼 보고 자라나. 부모를 보고 자란다. 부모가 서로에게 어떻게 하는지를 보고 자란다. 그 모습이 긍정적이지 못할 때 아이는 입을 다물고 눈치를 보고 외려 더 거칠게 나온다. 행복한 가족이 되고자 노력하는 부모의 모습이 가식처럼 보여도 그 사랑이 계속 되면 아이는 결국 미소를 짓는다. 못난 욕을 하고 매섭게 부모를 노려보던 그 아이가 부모의 사랑해라는 말에 마냥 웃을 때 나는 눈물이 또 후두둑 쏟아졌다. 집 안이라 마스크는 안 해서 속수무책으로 쏟아지는 눈물과 콧물을 옷소매로 훔쳤다.


  내 나이가 마흔을 넘게 살았는데 기억이 잘 나지 않는 어린시절을 대충 퉁 치려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단언할 수 있는 건 아이를 낳아 키우고서야 미안하다 사랑한다라는 말을 마르고 닳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내 입에서 사랑한다는 말이 이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나올 줄은 몰랐다. 그리고 미안하다는 말을 내뱉고서야 살면서 이 말을 그리 진정으로 해 본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나는 아이를 보았다. 미안하다 사랑한다라는 말이 아이에게 닿을 때 아이는 단단하게 존중받았다. 사랑받는 게 당연했다. 아이가 해사하게 웃으면 그 말들이 고스란히 반사되어 나에게 돌아왔다. 나도 존중을 받고 있었다. 나도 그 사랑을 고맙게가 아니라 당연하게 받았다. 


  말 안해도 알아주겠지 하는 건 하나도 없었다. (2022.5.22)

이전 17화 이미 진 게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