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글 & 칼럼
[목차: 저작권 태양계와 원시블랙홀]
◑ Part1. 지식재산권, 무형자산의 사유재산화
♬ 지식재산권 논의에 앞선 세 가지 전제
♬ 무형자산을 사유재산으로 확보하라 ~#6
♬ 지식재산권: 기업의 의지가 과도해지면(1)
♬ 지식재산권: 기업의 의지가 과도해지면(2)
♬ 지식재산권: 기업의 의지가 과도해지면(3)
♬ 지식재산권: 기업의 의지가 과도해지면(4)
◑ Part2. 저작권 태양계와 원시블랙홀
◑ Part3. 몽상, 예술민주사회주의
- 기업은 직접적이고 즉시적으로 매출에 기여하는 방향을 포기하지도 않지만,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충성 고객을 확보하여 간접적이고도 장기적인 구매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도 하기 마련이다.
- 수많은 기업이 유사한 가격으로 유사한 품질의 제품을 낸다면, 거기서 차별화할 무형 가치를 고객에게 각인시켜야 하고, 이것에 성공할 때 충성 고객이 양산된다. 즉 가방을 팔려고만 하면 한계가 있다.
- 단순히 제품의 성능에 대비되는 가격만을 책정하는 시대는 예전에 끝났다. 그것을 통해서 동종 제품보다 앞서 나가는 제품 브랜드가 생긴다. 아파트에도 다양한 프리미엄 브랜드를 붙인다. / 그러니 벤틀리를, 샤넬을, 최신 아이폰을 사라고 해야 한다.
“꽃을 물고 자본주의 시스템에 저항하던 그 시절이 그립네요. 우우우.”
기업으로선 어떻게든 고객 한 명을 더 확보하려고 한다. 매출이 숫자로 나온다면 사생결단하듯 집요해진다. 직원을 독려하고 그들을 보험왕이나 자동차 판매왕이 되게 하고, 또 누군가는 자발적으로 화력 좋은 팬덤의 일원이 되어 유명 연예인과 관련된 제품이라면 필사적으로 구매한다. 기업으로선 고마운 일이다.
그런 식으로 기업은 직접적이고 즉시적으로 매출에 기여하는 방향을 포기하지도 않지만,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충성 고객을 확보하여 간접적이고도 장기적인 구매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도 하기 마련이다.
직접적이고 즉시적으로 판다고 하면 그건 지금 당장 있는 것을 파는 것이지만, 장기적으로 예상해서 간접적인 구매력을 미리 비축하려는 것이라면, 충성 고객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또 충성 고객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품에 관련해 더 많은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그러다 보면 단순히 제품 하나의 가치를 파는 걸 넘어서게 된다. 이를테면 없는 것도 포장해서 팔아야 하는 시대인 셈이다.
처음에는 생산하면 팔렸다면, 그다음엔 파는 것에 신경을 써야 했고, 이제는 없는 것도 갖다 붙여서 제품의 가치를 인정받을 때라야 비로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만큼 수많은 기업이 유사한 가격으로 유사한 품질의 제품을 낸다면, 거기서 차별화할 무형 가치를 고객에게 각인시켜야 하고, 이것에 성공할 때 충성 고객이 양산된다. 즉 가방을 팔려고만 하면 한계가 있다.
만일 명품으로서 가방 이상의 특별한 가치를 고객에서 줄 수 있다면, 그는 그 제품을 사야 한다. 그 제품 아니면 다른 가방에선 그런 가치를 찾을 수 없다면 더더욱 경쟁력은 강화된다. 그러면 수많은 가방의 유사한 품질과 가격대의 제품 사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에르메스나 샤넬처럼.
다른 제품에서도 마찬가지다. 아이폰처럼.
명품 생수는 에비앙?
우리는 단순히 샤넬 가방을 사는 게 아니다. 만일 보이지 않는 의미를 사는 게 아니라면, 가방은 아무거나 튼튼한 걸로 사면 된다.
아이폰도 마찬가지다. 아이폰은 아무래도 일반 사람들도 살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제품, 이를테면 테크놀로지의 명품이다. 다른 명품과 달리, 조금만 투자하면 최고의 제품을 쓴다는 만족감이 있다. 그런 세련됨이 주입되지 않는다면, 정말 아이폰이 그 불편한 요소를 감수할 만큼 훌륭한 제품은 아닐 수 있다.
그러지 마. 그걸 산 나는 뭐가 되냐고?
단순히 제품의 성능에 대비되는 가격만을 책정하는 시대는 예전에 끝났다. 그것을 통해서 동종 제품보다 앞서 나가는 제품 브랜드가 생긴다. 아파트에도 다양한 프리미엄 브랜드를 붙인다.
이제 그러한 브랜드를 붙일 수 있는 곳이라면 다 붙이고 있다. 계속 성장해야 하는데, 어떤 분야든 경쟁하는 업체는 차고 넘치기 때문이다. 그냥 그 제품, 자동차나, 가방이나, 휴대폰을 사라고 한다면, 필요한 것 이상으로 사야 할 이유는 없다.
그러니 벤틀리를, 샤넬을, 최신 아이폰을 사라고 해야 한다. 중년이 되었는데, 명품 하나 없으면 초라하니까 가방이 있어도 원하는 명품 하나쯤은 구입한다. 주기적으로 신제품을 사게 하는 유행을 만들어내는 데에 성공했다. 광고를 통해서, 유명인을 광고 모델로 고용해서 이러한 유행을 주도한다. 그래야 자본주의가 굴러가고, 무한 경쟁에 적응한 기업은 살아남는다.
“기업들은 광고나 마케팅을 통해서 기업과 상품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죠. 명품처럼 브랜드가 기업 자체가 되기도 하고, 명품과 보급형 상품을 세분하기도 하면서요. 이를 위해 광고 모델을 고용하여 그 이미지를 적용하고요. 오래도록 기업의 사회적 기여를 통하여 경쟁력을 높이기도 하죠.
우리의 가치를 고객에게 각인시킨다는 건 정말 쉽지 않아요.”
이제 더 많은 상품을 만드는 시대에서 시장의 포화 상태를 견디는 기업이 이기는 시대에 이르렀다. 이 시대는 동종의 경쟁 제품을 이겨야 하는 차별화의 시대다. 그동안 쌓아둔 자산을 지키고, 미처 몰랐던 무형자산을 개발해 내는 시대다. 그 시대엔 소비를 해야만 자본주의 경제가 원활히 돌아간다. 너무 풍요롭고 포화되어 그걸 소비해야만 하는 시대인 셈이다. 그래야 전년 대비 성장이 가능해진다.
“키는 어느 순간부터 자라지 않는데, 왜 맨날 성장해야 하는지. 천성이 게으르다 보니 힘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