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1 댓글 2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고쳐 쓰는 히말라야 트레킹 일지 8

에필로그_나의 두 부처를 흘려보내며

by 김승요 Mar 21. 2025
아래로


호숫가에서 사람들을 내려다보는 까마귀호숫가에서 사람들을 내려다보는 까마귀


몬순, 밤의 페와 호숫가에는 카페와 레스토랑에서 흘러나오는 재즈 음악에 맞춰 반딧불이들이 제 짝을 찾아다니며 날아다녔다. 그것을 잡았다가, 놓아주었다가 하며 혼자 천천히 걸었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어린 시절부터 나는 기본적으로 조용하고, 생각이 많은 우울한 아이였다. 다행히 머리가 크면서 만난 친구들 덕에 성격이 많이 밝아졌고 그 누구보다 10대와 대학시절을 재미있게 보냈지만, 천성이란 게 무시할 건 못 되는 건지, 내 발목을 꽉 잡고 놓지 않는 그림자는 길어졌다 짧아지기를 반복할 뿐 절대 떨어지지 않아 왔다.


"우리들 만나고 헤어지는 모든 일들이, 어쩌면 어린 애들 놀이 같아."

히말라야에서 주문처럼 되뇌었던 가삿말. 사실 나는 그 '역할 놀이'로부터 벗어나고 싶었다, 사는 내내.


자신 있게 내세울 만큼 뛰어난 건 사회성 밖에 없기에, 더욱 인간관계에 집착하고 모두에게 사랑받고 싶어 했던 나는,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지쳐버려 내향적이었던 유치원생의 모습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졌는지도 모르겠다.


브런치 글 이미지 3


장황한 설명을 늘어놨지만, 요컨대, ‘제발 좀’ 혼자 있고 싶어 떠난 여행이었다, 이건. 


그렇지만 정말 그곳에서 내가 온전히 혼자였다고 말할 수 있을까? 아니, 2주간의 태국과 네팔 여행은 많은 사람들과 개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이로써 나는 혼자 있는 시간이 적잖이 필요한 사람이지만, 오롯이 혼자만의 힘으로 살아갈 수는 없는 사람이란 걸 인정했다. 그후로 당장 눈앞의 사람을 사랑하고 성심껏 대하되, 구름처럼 자연스레 흘러가는 인연은 굳이 붙잡아두려고 애쓰지 않는다. 


8년 전의 여행으로 얻은 인간관계 신조는 여전히 충실히 따르며 살고 있을 정도로 값진 것이었지만, 한 가지 아쉬운 건 K의 이름조차 결국 흘려 보냈다는 것이다. 페와 호숫가에서 손에 쥔 반딧불이의 희미한 빛은 아직도 아른거리는데, 늦은 오후 트레킹을 마치고 K와 택시에서 내려 헤어진 그 끝 장면이 기억나지 않는다. 이 여행기를 다시 쓰면서, 뇌 한구석에 숨어있던 그의 이름을 다시 떠올릴 수도 있을 거란 기대도 해봤다. 하지만 여전히 난 그 이름을 찾지 못했다. 


‘흘러가는 구름 하나하나가 다 부처’라는, 가장 좋아하는 여행기의 가장 사랑하는 구절을 다시 떠올린다. 히말라야의 검은 개, 나에게 왔다가 미련 없이 흘러가듯 떠나가버린 마보이가, 그리고 짐을 나누어 들고 함께 산을 올라 주었음에도 미련 없이 흘려보내버린 K가 바로 나의 두 부처였다는 것을 상기할 때면 가슴이 울렁거리고 눈물이 날 것만 같다.




이전 08화 고쳐 쓰는 히말라야 트레킹 일지 7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