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로그
1. 정의
- 라이프 로그 데이터는 넓은 의미에서 개인의 전반적인 일생생활의 기록이나 정보를 의미함
- 정량화된 자체 분석, 라이프 블로그, 라이프 로그, 개인 디지털 메모리, 평생 상점, 휴먼 블랙 박스 등의 유사어가 존재.
2. 라이프 로그 동기
- 다양한 목적에 따라서 만들어 지고 있음. (라이프 로깅을 한다고 표현하기도 함)
- 정밀한 센서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들이 발달됨.
- 기존보다 훨씬 더 지속적이고 깊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게 됨.
-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의 가격 저하 (일생동안 생산되는 데이터는 1100 Tb 정도 된다고 함)
- 사용자 스스로 일상을 기록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공유 문화의 발달도 한 몫을 함.
3. 의학에서의 라이프 로그
- 0세에서 82세의 주요 의료기록을 기준으로 본다면 평생 중 1925일 (약 6%) 동안 병원을 이용한다고 함.
- 의료 환경에서 수집되는 6%의 자료로 진단/치료/추적을 하는 것
- 라이프 로그는 좀 더 지속적이고 깊은 관찰을 통해 제한된 관찰이라는 한계를 벗을 수 있음.
4. 의학에서의 라이프 로그 적용 사례
- 비침습적으로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해서 남기는 기록.
- 당뇨 분야에 적용.
- 2형 당뇨의 특징 : 인슐린 저항성이 생겨 발생
- 1형 당뇨의 특징 : 면역체계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를 공격해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게 만드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임. 따라서 완치되지 않고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성질환.
- 소아1형당뇨 아동대상으로 DEXCOM이라 하는 지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여 아동의 혈당을 수집, 의사에게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만들어 환자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