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균형 Dec 18. 2022

쓸모를 찾아라


    열정 가득한 신입사원 때에는 입사만 하면 내가 무언가가 될 줄 알았다. 나는 이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이며, 이 회사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직원이 되어 승승장구하여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안타깝게도 이 허상이 깨어지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년 정도 걸린 것 같다. 사회의 섭리를 이해하고, 생태의 법칙을 깨닫고, 조직의 소모품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들자 삶이 힘들게만 느껴졌다. 사회에서의 내 쓸모가 대단치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꽤나 쓰라린 과정이었다.  


    회사를 옮기게 되었다. 자발적 이직은 아니었으나 스카우트도 아니었다. 어떤 (아마도 정치적인) 파도의 흐름을 타고 계열사 중 하나로 옮겨가게 되었다. 10배 정도 큰 조직, 더 큰 기업으로 옮겨졌기에 누군가는 택출 받은 것이라고 하였으나, 애초에 내가 지원한 곳이 아니었다. 최종 선발이 되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취준생 시절 지원조차 하지 않았던 회사였다. 나는 첫 회사에 대한 애정이 있었고, 공채 신입사원으로 뽑혔으며 몇 년간의 수련과정을 거쳐 일 시키기 딱 좋은 대리가 되었으므로 회사에서 나의 쓸모를 인정할 줄 알았다. 저쪽에서 선택받았다는 기쁨보다 이쪽에서 버림받았다는 배신감이 더 컸다.  


    발령받은 부서는 다름 아닌 현장. 전혀 새로운 업무였다. 하달받은 업무를 위해 협의를 하는 데 한 팀장님이 뒤에서 내용을 가만히 듣더니 거침없이 내뱉었다. '최대리도 전달받은 업무인 건 아는데 말이야. 야, 말로만 하면 다 되는 줄 알아? 공사가 장난이냐, 씨발.' 근무를 시작한 지 일주일 만이었다. 놀라웠다. 업무 중에 씨발이라는 단어가 내 귀에 꽂히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욕이 난무하는 일터에 와 있구나. 절대 그러고 싶지 않았는데 눈물이 났다. 다행히 눈물을 보이기 전에 말없이 자리를 떴다. 화장실에서 말없이 흐르는 눈물을 닦아 냈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안 되는 곳에 서 있는 느낌이었다.


    일이 곧 나였고, 내가 곧 일 그 자체였다. 다시 돌아갈 곳도 없고, 고용형태에 대한 차별적 대우가 눈에 보이는 상황에서 회사가 나를 책임질 거라는 기대를 접었다. 그저 이 현장이 이 회사에서 내 마지막인 것처럼 일했다. 내 거취의 보장을 위해 잘 보여야 한다는 생각은 스스로 접었기에 맘 편히 오로지 일만 했다. 잘 보여야 한다는 마음이 없었기에 관계에 있어 누구보다 자유로웠지만, 일에 관한 한 빈틈이 없기를 바랐기에 다소 거친 태도로 임했다. 보이는 욕도 보이지 않는 욕도 난무했던 그곳에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해야 할까. 오로지 나 스스로에 대한 쓸모, 일터에서 쓸만한 가치를 찾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었다.


    처음 발령받을 때는 환영받지 못하는 인물이었으나, 현장이 끝날 무렵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직원 중 한 명이 되었다. 마지막 회식자리에서는 수고했다며 박수도 받았다. 막상 쓸모를 인정받으니 쑥스러웠다. 다행히도 최선을 다 한 나의 시간이 헛되지 않았다. 그뿐이면 되었다. 대단한 승진도, 급여 보상도 전혀 바라지 않았다. (실제로 주어지지도 않았고.)   모든 순간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과정은 의미 있었고, 그 순간의 기억과 경험을 토대로 지금의 내가 있다. 조직에서 나의 쓸모를 늘 찾아 헤매었다. 내게 필요한 것을 찾기에 앞서 내가 어떤 용도로 소모될 수 있을지를 생각했다. 지금도 여전히 나는 일터에서 스스로 소모품이 되고자 한다. 아 그래, 내가 물건은 아니니 소모인 정도로 해 두자. 다른 이익을 바라지 않고 일 자체만을 생각하며 일터에서 나의 쓰임새를 찾는 것. 나는 그것만이 일을 통해 추구할 수 있는 가치라고 여기고 있다.


    아, 일은 연봉과 비례해야 한다고? 일정 부분 맞는 말이지만, 정비례하지는 않다. 돈과 재화는 별개로 개인에게 부여된 운과 다름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애초에 내가 이 회사와 연이 닿은 것도 운이고, 누군가에게는 혜택처럼 느껴질 나의 상황을 같은 소속의 다른 누군가와 비교해서 박탈감을 느끼고 싶지는 않다.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에 안착한 것만으로도 돈을 버는 일로써의 역할은 다했다. 그다음은 나의 일상을 살아내는 데에 있어, 일에 어떤 가치를 부여하여 나의 일상을 풍요롭게 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나는 얼마 전 복직했다. 28개월의 휴직기간 동안 2인 가족에서 4인 가족으로 변모했다. 나만 바라보는 두 꼬물이가 생겼고, 이들은 당연히 내 인생의 제일 꼭대기에 앉아 있다. 예전처럼 일할 수는 없다. '일이 곧 나는 아니다. 일은 내 삶을 살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적당히 하자. 적당히만 해도 된다.'라고 매일같이 되뇐다. 그럼에도 막상 복직에서 일을 하다 보니 이 일에 대한 책임감을 저 끝까지 행사하고 싶을 때가 많다. 그러나 무조건 많은 일을 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님을 알 정도의 연륜은 쌓였으므로, 적당한 낄낄 빠빠를 위해 노력 중이다.


        복직 이후 나의 쓸모를 내세울 수 있는 세련된 언어를 발견했다. '조력자'. 나는 직장에서 만인의 조력자가 되고자 한다. 상사를 돕는 사람, 후배를 돕는 선배, 협력업체의 업무 진행을 위해 돕는 담당자, 등등. 나 스스로를 조력자로 인식해버리면 회사에서 내가 관계 맺는 사람들은 나에게 일을 시키는 자들이 아니라 내가 도와야 하는 사람들이 된다. 어쩌면 내게 주어진 상황은 바뀌지 않으나 내 인식을 바꾸려는 나만의 노력인지도 모르겠다. 조력자의 마음가짐으로 무장하며 업무전화 업무상 통화를 하면서 자주 물어본다.  


"제가 oo님께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이전 08화 올해의 소비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