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미국 실리콘밸리 성공한 창업가의
메세지가 임팩트 있어서 공유합니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오셔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이요? 투자자 만나지 말고, (고객이 아닌)한국 사람 만나지 말고, 저도 만나지 말고, 고객부터 만나세요.
역량의 단계 (Hierarchy of Competence)
이 도표는 역량의 단계(Hierarchy of Competence)를 피라미드 형태로 나타내며, 개인이 특정 기술이나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거치는 4단계의 인지적 발전 과정을 설명한다.
각 단계는 무의식적/의식적 + 유능/무능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개인이 자신의 역량과 한계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1. 역량의 4단계
무의식적 무능 (Unconscious Incompetence, 가장 낮은 단계)
• 특징:
• 자신이 부족하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 특정 기술이나 개념에 대해 알지도 못하며,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함.
• 잘못된 직관(Wrong Intuition)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결과적으로 잘못된 결정을 내리기 쉬움.
• 예시:
• 운전을 배운 적 없는 사람이 자동차 운전이 쉬울 거라고 생각함.
• 초보 투자자가 아무런 분석 없이 주식 투자 결정을 내림.
⸻
의식적 무능 (Conscious Incompetence)
• 특징:
• 자신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시작하는 단계.
•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아직 능숙하게 수행할 수 없음.
• 잘못된 분석(Wrong Analysis)을 하면서 실수를 하지만, 학습을 통해 점진적으로 성장.
• 예시:
• 운전 연습을 하면서 자동차 조작이 어렵다는 것을 깨닫는 초보 운전자.
• 처음으로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 분석을 하려 하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투자자.
⸻
의식적 유능 (Conscious Competence)
• 특징:
• 자신의 기술이나 지식을 인지하고 있으며, 분석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
• 하지만 여전히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자동화되지 않음.
• 올바른 분석(Right Analysis)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지만, 아직 능숙함이 부족할 수 있음.
• 예시:
• 운전할 때 신호, 차선 변경, 속도 조절 등을 신경 쓰면서 조심스럽게 운전하는 초보 운전자.
• 주식 투자 시, 기업 분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투자자.
⸻
무의식적 유능 (Unconscious Competence, 가장 높은 단계)
• 특징:
• 기술이나 지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
• 더 이상 의식적인 노력 없이 직관적(직감적)으로도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음.
• **올바른 직관(Right Intuition)**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 가능.
• 예시:
• 수년간 운전 경험이 쌓여 별다른 고민 없이 자연스럽게 운전하는 숙련된 운전자.
•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짧은 시간 안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베테랑 투자자.
⸻
2. 역량의 단계와 학습 과정의 관계
학습의 시작: 무의식적 무능 의식적 무능
• 처음에는 자신이 모르는 것조차 모르는 상태에서 출발함.
• 배움을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고, 학습과 연습을 시작함.
숙련 과정: 의식적 무능 의식적 유능
• 실수를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분석 능력을 향상시킴.
•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점점 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됨.
마스터 단계: 의식적 유능 무의식적 유능
• 경험이 쌓이면서 더 이상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지 않음.
• 직관적으로도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
⸻
3. 시사점
1. 배움의 과정에서 “나는 모른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다.
• 많은 사람들이 “무의식적 무능” 상태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배우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음.
•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부터 성장이 시작됨.
2. “의식적 유능”에서 “무의식적 유능”으로 가는 과정이 숙련의 핵심이다.
• 반복적인 훈련과 실전 경험을 통해 기술을 자동화하는 것이 중요.
• 예를 들어, 프로 운동선수는 연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몸이 반응할 수 있도록 훈련함.
3. 경영 및 비즈니스에서도 “무의식적 유능”의 리더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경험이 많은 CEO나 경영진은 빠른 의사결정과 직관적 판단을 통해 기업을 이끌어감.
• 하지만, 초보 경영자는 “의식적 유능”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림.
⸻
4. 결론
• “역량의 단계(Hierarchy of Competence)“는 단순한 기술 습득 과정이 아니라, 개인의 학습과 성장의 본질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 성공적인 학습과 숙련을 위해서는 자신이 어느 단계에 있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음.
• 궁극적으로 “무의식적 유능(Unconscious Competence)“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는 반복적인 실전 경험과 훈련을 통해 가능해진다.
⸻
출처
• Hierarchy of Competence Model,
분석
• Noel Burch(1970), The Four Stages of Learning Any New Skill
• Bloom’s Taxonomy & Learning Theories
#기술창업
#esg창업
#제이씨앤컴퍼니
#기후테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