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혜인 Hye in Choi Sep 12. 2022

월인천강(月印千江): 만월(滿月)

 사방에 달이 차오르다

<달의 인력>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가장 강한 만월 상태를 군집된 콩과 함께 표현하였다.


두둥실~~~! 달이 차오른다. 만월이다.

하늘의 달은 하나뿐이지만 천하의 모든 강에 달이 비쳐 있다. 하나의 개체에 삼라만상의 정보가 들어있다. 강에 비친 달은 부처님의 자비와 공덕을 뜻하기도 한다는데... 수확된 햇곡식을 보면 이면의 수고로움이 생각나면서 부처님, 하느님, 자연과 농부, 모든 존재에 감사하다. 


달과 피는 함수 관계에 있다고 한다. 보름달이 되면 인력이 더 강해지고 에너지가 충만한 상태가 된다. 사람의 피도 달의 인력으로 인해 더 당겨서 수행자들은 달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기를 받기 위해 음식의 섭취를 평소보다 줄인다고 한다. 뜨끔했다. ‘복 팔 할, 무병(腹八割, 無病)’. ‘배를 80%만 채우면 병이 없다’는 이 문구는 한낱 평범한 인간인 나로서는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일이다. 배가 그득한, ‘만복감(滿腹感)’도 즐거움의 한 요소라…^^


추석은 넉넉한 명절이지만 우리 몸은 과잉이 되는 순간 고장이 나기 시작한다. 누가 중년 이후의 삶은 플러스(+)의 삶이 아니라 마이너스(-)의 삶이라 하던데… 아이러니하게도 수확의 풍성한 식탁에서 ‘결핍과 불 충족’을 떠올렸다. 부족한 환경이 몸과 마음의 생존, 성장 의지를 더 강하게 만드는, 인간의 몸에는 필수 영양소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월일 상태의 달 그림들을 모아 보았다. 보름달일 때 생성되는 여성의 충만한 생명력을 촉수가 있는 생명체로 붉게 표현한 그림의 부분도는 2017년 갤러리 담에서 열린 <흡수> 개인전 표지가 되었다. 


<만월> 장지에 과슈, 백토, 안료_46x86cm_2015 제작, 2017년 전시장면
생명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듯한 촉수 이미지와 최혜인 개인전 <흡수> 전시도록_갤러리 담_2017


<한낮의 달>의 달은 밤의 달보다 '드러나는' 존재감이 없지만 조용히 존재하고 있다. 면 캔버스에 과슈, 아크릴_100x100cm_2017


<번식하다> 장지에 백토, 안료, 진주분_105x115cm_2019  만월을 중심으로 갖가지 씨앗을 함께 그렸다.


나에게 ‘인월(印月)’이란 호가 어울릴 것 같다고 예전에 어떤 분께서 글씨를 써 주신 것도 있고… 이렇게 저렇게 달과 나는 여러 인연이 있다. 


다채로운 달의 흔적을 마음에 새긴다. 나는 늘 일정한 형태의 태양보다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달의 속성에 마음이 더 간다.


달 표면의 짙은 색 토끼 무늬가 ‘달의 바다’ 부분이라고 한다. 실제 물은 없지만 지형이 평평해 탐사선이 착륙하거나 달 기지를 짓는데 최적의 환경이라는 곳. 나만의 ‘기지’는 어디에, 어떻게 지을까? 인생은 바다 위 항해와 비슷하다. 순풍도 있지만 풍랑도 만난다. 이제 인생의 반은 지났다. 남은 인생의 반, 종국에 달의 ‘고요한 바다’ 같은 평안함을 희망하면서… 소원을 빌며 물어본다.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달."

"어디 어디 떴니?” 

“내 맘 속에 떴다!” 


더하기보다 빼고, 

서로 나누는 풍성한 한가위.


마음도, 달도,

두둥실~~~~~~~~~~~~~~~!”


사방에 달이 꽉 차오른다. 풍요로운 수확의 보름달과 검붉은 바다에 곡식을 그린 <달과 곡식>


2022.9.10 서울의 보름달. 핸드폰 사진 기능 덕분에 움직이는 하늘의 달을 내 손에 담을 수 있었다.


http://www.hyeinchoi.com


이전 15화 달과 여성: 곡식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