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길을 찾기
아픈 몸으로 하루하루를 버티는 건 생각보다 복잡하다. 증상은 매일 변하고, 어제 가능했던 일이 오늘은 불가능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변화를 이해해 주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결국 나는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걸 깨닫는다.
어릴 적부터 몸이 약했던 나는 병원비 몇천 원을 마련하려고 부모님께 사정해야 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그런 순간들은 단순한 경제적 어려움을 넘어 심리적 불안과 두려움으로 자리 잡았다. 병원에 가야 하는 상황이 올 때마다 부모님의 눈치를 봐야 했고, 그때마다 느꼈던 부담감과 죄책감은 습관이 되었다.
어린 아이에게 ‘부모에게 부담이 되지 말자’는 생각은 아픔을 참는 습관으로 이어졌다. 시간이 흐를수록 가족 안에서의 차별도 뚜렷해졌다. 형제들은 필요한 걸 쉽게 얻었지만, 나는 늘 '안 된다', '나중에'라는 말을 들어야 했다. 결국 병원에 가는 것조차 죄책감과 불안 속에서 참아야만 했다.
이런 경험들은 '아프다는 걸 표현하면 안 된다'는 무의식적인 믿음으로 남았다. 성인이 되어서도 혼자서 아픔을 참고 해결하려는 습관으로 이어졌다.
어떤 사람에게는 하루의 계획을 세우고 그대로 실행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나는 매일 아침 내 몸 상태부터 살펴야 한다. 컨디션에 맞춰 계획을 다시 조정하고, 할 수 없는 일은 내려놓는 연습을 한다. 예전엔 계획을 지키지 못하면 게으른 사람처럼 느껴졌다. 하지만 지금은 생각이 달라졌다. 내 몸이 버틸 수 있는 선에서 하루를 보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잘 살아내고 있는 거라고 스스로를 다독인다.
하지만, 때때로 무력해지는 기분이 싫어서 하고 싶은 일을 무리해서 해버린다. 며칠 전, 내가 좋아서 시작한 단순한 번역 작업이었지만 하루를 넘기는 게 내 몸에 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결국 밤을 새워 아침까지 해버렸고, 그 여파로 며칠을 제대로 일어나지 못했다.
그런 날은 두통과 전신 피로가 몰려오고, 조금만 움직여도 식은땀이 흐르며 잠깐 깼다가 다시 기절하듯 잠드는 것이 반복된다. 최근엔 신경계 증상까지 악화됐다. 다행히 내일은 병원 진료가 예약되어 있다.
아프다고 하면 돌아오는 건 늘 비슷한 조언들이다. 운동해라, 건강식 먹어라, 햇볕 쬐어라.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내게 필요한 건 그런 조언이 아니라 내 몸의 리듬을 찾는 일이다. 처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시작했을 때도 '햇볕을 쬐라'는 권유에 매일 짧은 산책을 시도했다. 하지만 일주일쯤 됐을까, 얼마 못 가 몸이 무너졌고, 그 후 몇 달 동안 침대에 누워 지내야 했다.
무엇을 먹으면 덜 아픈지, 어느 정도 움직이면 내일이 덜 힘든지. 매일 바뀌는 조건들을 내 몸으로 겪으며 조금씩 배운다.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는, 나만의 감각으로 쌓아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엔 실패가 늘 따른다. 해보다가 무너지고, 다시 돌아오는 반복. 하지만 그 반복되는 좌절감 속에서 내 몸의 한계와 리듬을 배워가야만 한다. 그게 내가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전략이다.
어릴 땐 아프면 혼이 나기도 했고, 병원에 가도 별 소득 없이 돌아오는 날들이 반복됐다. 그러다 보니 '그냥 참으면 지나가겠지' 하는 게 습관이 됐다. 언젠가부터 아무리 참아도 호전되지 않는 날들이 이어졌고, 지금 나는 하루 대부분을 침대에서 보낸다. 이 글도 침대에서 쓰고 있다.
혼자라는 외로움은 여전하다. 하지만 그 안에서 내 몸의 소리를 듣고, 맞춰가려 한다. 무리하지 않고, 비교하지 않고, 내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 어쩌면 이것이 원인 없이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가장 중요한 기술일지도 모른다.
이제는 목표가 바뀌었다. 남들처럼 건강해지겠다는 희망보다 내 몸이 견딜 수 있는 하루하루를 만들어내는 것. 내 컨디션을 중심으로 하루를 설계하고, 무너지면 다시 감각을 바로잡는 연습. 좌절감이 들어도 완전히 무너지지 않는 마음 챙김. 이런 하루하루가 모여 내 삶이 될 것이다.
어쩌면 내가 '잘 산다'는 건 결국 내 몸의 조건 안에서 내 삶을 만들어가는 일이 아닐까. 오늘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내일을 위해 남겨두는 것. 그렇게 살아내는 것이 지금의 나에게 가장 현실적인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