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RKIM Mar 19. 2023

공공 HR Digital Transformation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들어가며


 이번 공공기관 HR은 어떨까는 공공부문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특히 인사행정 부분의 Digital Tranformation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의 데이터 기반 행정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높아지고 그 결과 2020년 12월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데이터 기반행정법)'이 시행되며 빠르게 도입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민간부문의 Digital Transformation이 경쟁 내에서 생존을 위해 각 기업별로 수행되고 있음에 반해 데이터 기반 행정은 총괄 부처인 '행정안전부'와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 총괄 책임하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본 챕터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부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데이터 기반 행정의 개념, 데이터 기반 행정의 체계,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고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개념,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체계, 사례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데이터 기반 행정의 개념


 1) 데이터 기반 행정의 개념


 2020년 12월 ‘데이터 기반행정법’의 시행에 따라 2021년 2월 행정안전부 내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위원회 출범 및「제1차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데이터 기반 행정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22조(데이터기반행정 실태 점검 및 평가)
① 공공기관의 장은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현황, 데이터 연계·제공 및 공동활용 성과 등 데이터기반행정의 실태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체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➁ 행정안전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점검 결과를 종합하여 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공개하여야 한다.

 데이터 기반 행정이란 정부·공공기관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에 활용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은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 시대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핵심적인 원천으로 여겨짐에 따라 사회현안 해결을 위한 맞춤형 정부 서비스 및 지능정보기술을 사용한 공공서비스의 혁신 요구에 따라 강조되기 시작하였습니다(조세현·차세영, 2022). 아래 표는 데이터 기반 행정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정의를 정리한 표입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 학술적·실무적 정의(출처: 조세현·차세영, 2022)

 

2)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개념


 민간의 경우 기업별로 그리고 분야별로 Digital Transformation이 각각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분야별 용어가 존재합니다. 민간기업의 인사 부문 Digital Tranformation의 경우 HR Digital Transformation이라 지칭하며 이는 인사관리의 Digital Tranfortmation는 3가지 영역(HR Automation, HR Assistant, HR Analytics)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Samsung SDS, 2021).


 반면 공공분야의 경우 분야별 Digital Transformation 용어가 각각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 행정으로 총괄 지칭되어 왔습니다. 그 이유는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을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와 행정안전부 주도로 Top-Down 방식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추진해 왔기 때문입니다. 다만 최근 정부(인사혁신처)와 학계(인사행정학회) 간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에 대한 개념도 점점 더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과 동일한 개념으로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정의해 보자면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이란 "정부·공공기관이 데이터를 수집·가공·분석을 행정 또는 정책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인사와 관련한 행정·정책과정에 직관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합리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 체계


 1)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 체계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의 Digital Transformtaion 관련 정책은 행정안전부와 행정안전부 내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 주도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의 Digital Transformtaion 관련 정책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은 ➀ 데이터기반행정 거버넌스 정립,  ➁ 데이터 현황관리 및 공동활용 지원, ➂ 데이터 분석·활용 지원, ➃ 데이터 활용역량 강화 및 데이터 기반행정 문화 조성 업무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행정안전부, 2021b).


데이터 기반 행정 거버넌스 체계(출처: 관계부처 합동, 2021)


 데이터 기반 행정 거버넌스체계는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 행정안전부, 각 기관별 데이터기관행정 책임관,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 협의회, 데이터기반 혁신 포럼, 데이터기반행정 전문기관으로 구성됩니다(관계부처 합동, 2021). 아래 표는 데이터 기반 행정 거버넌스체계 내 주체별 주요 역할을 정리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조세현·차세영, 2022).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체계별 역할(출처: 관계부처 합동, 2021)

 행정안전부는 매년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데이터기반행정에 대한 운영현황 전반을 점검하고 정책개선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수사례의 경우에는 해당 기관에 정부 표창을 수여하고 미흡 기관에 대해서는 타기관과의 역량 격차 해소를 위해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행정안전부는 공공부문(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분위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행정안전부, 2023).


데이터 기반 행정 실태점검 및 환류체계(출처: 관계부처 합동, 2021)


 2) 데이터 기반 인사 행정 추진 체계


 중앙정부 공무원의 인사를 관리하는 인사혁신처의 데이터 기반 인사 행정 추진 체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사혁신처는 기획조정관의 정보화담당관이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최고정보책임자(CIO)로서 데이터기반책임행정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 정보화담당관은 데이터기반책임행정관으로서 인사행정에 대한 데이터 분석·활용과 처 내외에서 데이터 연계·공유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사혁신처 국가인재 DB와 관련한 업무에 대해서는 인재정보기획관-인재정보담당관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 조직도(출처: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일반적인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의 경우 데이터기반책임행정관은 IT 업무를 관장하는 부서의 관리자가 수행하는 경우가 다수입니다. 또한 IT 업무를 관장하는 부서에서 각 행정 부서와 협업을 통해 데이터 기반 행정을 창출해 내고 있습니다.


3. 데이터 기반 행정 사례


 1) 데이터 기반 행정 사례


 데이터 기반 행정은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 행정안전부 주도 하에 최근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빅데이터·인공지능 등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대비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행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몇 년간 국가공무원 5급, 7급 민간경력자 채용으로 민간 데이터 전문가를 다수 영입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부터는 5급, 7급, 9급 모든 공무원 채용 직급에 데이터직 공무원을 신설하고 공채를 통해 데이터전문가 선발을 시작하였습니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기반 행정은 데이터 전문가가 해당 기관의 업무를 파악하고 각 분야의 담당자와 협업하는 구조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1) 중앙정부 사례

 

 데이터 기반 해정의 중앙정부 사례를 살펴보면 2023년에는 Chat GPT가 크게 이슈화되면서 각 부처에서도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 사례는 아래 표에 명시된 내용 외에도 상당히 많은 사례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 중앙정부 사례(출처: 보도자료를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2) 지방자체단체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기반 행정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서울시의 심야버스 노선 구축입니다. 서울특별시는 심야버스 노선 구축 당시 야간 휴대폰 사용 지점을 파악하고 휴대폰 사용이 가장 많은 지점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심야버스 노선을 만든 바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나 대표적인 사례들을 아래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 지방자치단체 사례(출처: 보도자료를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3) 공공기관 사례


 공공기관의 경우도 데이터 기반 행정 사례는 다수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사례들을 정리하여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기관들은 기관 고유 업무와 관련하여 데이터를 융합하여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안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데이터 기반 행정을 도입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행정 공공기관 사례(출처: 보도자료를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2)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사례


 다음은 데이터 기반 인사 행정 사례입니다. 중앙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인사 행정은 인사혁신처 주도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은 행정안전부가 총괄하며 각 지자체에서 각각 시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공기관의 경우 행정안전부 주도하에 기관에서 자율적으로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위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중 일부 기관은 행정안전부 주도의 데이터 기반 행정 도입 정책과 무관하게 자발적으로 해외 또는 민간의 HR Digital Tranformation 기법을 받아들이고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아래 표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사례 정리표입니다.


  (1) 중앙정부 사례

 

 공공부문에서 인사혁신처는 선도적으로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 적합한 공위공직자를 추천하기 위하여 35만 명의 인재 DB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행정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음에 따라 인재 DB의 포함되지 않는 전문성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AI 기술을 통해 인재를 추천할 수 있도록 '지능형 인재추천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인사혁신처 외 각 부처도 독립적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중앙정부 사례(출처: 보도자료, 보고자료 등을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2) 지방자체단체 사례


 2022년 행정안전부가 차세대 표준지방인사정보시스템을 구축하면서부터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인사행정 분야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해당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한 시스템으로 통합되었으며 이를 통해 HR Data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행정안전부의 인사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인사행정 또한 데이터 기반으로 행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아래 표는 지방자치단체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중앙정부 사례(출처: 보도자료, 보고자료 등을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3) 공공기관 사례


 공공기관의 경우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구축 사례는 중앙정부와 비교하여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다만, 한국전력공사의 경우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도입과 관련하여 특이한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해외 또는 민간의 HR Digital transformation 사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받아들여 공공기관 중 상대적으로 빠르게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공공기관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 공공기관 사례(출처: 언론기사, 발표자료 등을 수합하여 저자가 재구성)


나가며


 2022년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공공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신설되었습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인공지능‧데이터‧클라우드 등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따라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민간의 혁신적인 서비스 경험으로 국민의 눈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통력 직속 위원회입니다.


 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022.12.15.)에서도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강조하였습니다. 해당 회의에서 정부 인사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공직사회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강조하며 HRM, HRD 양 분야 모두에서 데이터 기반의 인사행정이 강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새 정부에서 데이터 기반 행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최근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위원회와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국무총리 소속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와의 연계 강화 또는 통합 등의 공공데이터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강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강화가 이루어 진다면 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의 발전 속도 또한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민간부문에서는 HR Digital transformaion에 대한 폭발적 관심과 함께 다양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HR Digital transformation을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Chat GPT의 등장으로 AI를 활용한 인사관리에 대한 관심 또한 뜨겁습니다. 공공부문에서도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국민에 부응하는 인사행정 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Reference

이정호·이상석, (2023), "AI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HR 구현 사례", '제2회 HAF : HR AI FORUM' 발표자료

조세현·차세영, (2022), "클라우드 전환 시대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전략:  데이터 분석·활용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KIPA 연구보고서 2022-15

행정안전부, (2020), "공공분야의 인공지능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2020년 12월자)

관계부처 합동, (2021), "제1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 (’21년~’23년)", (2021년 11월)

행정안전부, (2021a), "데이터로 국민체감형 공공서비스 새롭게 설계한다", (2월 20일자)

행정안전부, (2021b),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 직무 수행 가이드라인", (2021년 9월)

행정안전부, (2021c),  " 행안부 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결과 발표", (12월 30일자)

행정안전부, (2022), "데이터 기반 지방인사행정 기틀 마련", (7월 20일자)

행정안전부, (2023), "2023년 행정안전부 정책 방향 업무보고", (1월 27일자)

인사혁신처, (2022), "정부 인사행정 전 과정, 디지털화된다", (6월 2일자)

인사혁신처, (2022), "유능한 정부를 위한 '공직 혁신'을 모색하다, 인사처 출범 8주년 기념 한국인사행정학회와 공동학술대회 개최", (11월 25일자)

행정안전부, (2023), "2022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결과 110개 기관 우수", (2월 19일자)

인사혁신처, (2023),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1월 27일자)

인사혁신처. (2023), "2023년 공무원 인재개발 종합계획", (2022년 11월자)

서울특별시교육청, (2023), "AI 시대의 디지털 행정혁신을 위해 '서울교육 챗봇 포털' 구축', (2월 27일자)

문화체육관광부, (2023), "문체부, '한국어 잘하는 K-챗GPT' 만들 문화 기반 마련한다", (2월 23일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2022),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개최 -", (12월 15일자)

서울파이낸스, (2023), "IBK기업은행, 중기 채용지원 'AI 인재플러스' 시행", 2023년 3월 4일 작성. 2023년 3월 19일 접속,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81045

시큐리티월드, (2023), "과기정통부, 챗GPT 교육과 연구모임으로 정부의 업무 혁신 선도", 2023년 2월 23일 작성, 2023년 3월 19일 접소,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4502

SAMSUNG SDS 인사이트, (2021), "HR Digital Transformation 추진 전략", 2021년 11월 3일 작성, 2023년 3월 18일 접속,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hr_dt.html

디지털데일리, (2022), "종이 없는 환경, 일하는 방식 혁신...디지털플랫폼정부 모습은?", 2022년 12월 15일 작성, 2023년 3월 19일 접속,  http://m.ddaily.co.kr/m/m_article/?no=253395

디지털투데이, (2023), "코난테크놀로지, 국방부 스마트 인재관리시스템 구축 착수", 2023년 1월 20일 작성, 2023년 3월 19일 접속,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8816

Datanet, (2021), "인사혁신처'지능형 인재추천 서비스', AI 활용으로 인재 추천 최적화", 2021년 10월 7일 작성, 2023년 3월 19일 접속,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126


이전 10화 공공기관 성과관리 제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