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용현중 Nov 12. 2024

'개미가 크다.' 라는 말을 듣고.

비교대상이 되어버리는 것들


며칠전 땅바닥을 보며 아이가 말했다.


'개미가 커.'


그 말에 살펴 보니, 병정개미라 다른 개미들보다 몸집이 큰 개미가 어디론가 바쁘게 기어가고 있었다.
분명 다른 개미와 비교해 큰 개미라 말할 수 있으나  작디작은 개미에게 크다라는 표현을 쓰는게 나에게 어딘가 어색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내 어색함과 상관없이 '개미가 크다.' 는 말은 분명 주어와 비교대상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틀린 말이 아니었다.

언급한 상황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명제는 이를 사용하는 개인을 기준으로 의미가 부여된 또 다른 세상이다. 그리고 이 언어가 대화나 텍스트라는 표현매개체를 통해 화자를 벗어나 청자에게 전달되면, 화자의 의미와 또다른 의미로의 세상이 청자에게 펼쳐지게 된다.

개미를 보며 '이야기 한 '작다'와 '크다'를 사람마다 조금은 다르게 인식하고 사용하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와 문장으로 서로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어느정도는 온전히 다 전달하지 못한다. 천천히 두고 앞뒤로 보아야 그것의 의미를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맞이하게 될 뿐이다.


잘 정리 된 문장은 잘 정리된 문장 그 자체일 뿐. 타인의 완벽하고 온전한 이해를 100% 뽑아내는 기계장치가 아니다.

sns에서도 개인의 투자성과 등의 인증에서도 이러한 경향의 이슈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우선 그런 인증자료들은 작성자의 감정과, 융통할 재정적상황과, 의중이 다 표현되어 있지 못하다. 그렇게 태생적으로 부분적인 표현 정보는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주관마다 그것을 더 크거나 더 작게 받아들이게 만든다. 분명 같은 숫자인데 계산기의 결과처럼 똑같은 정보해석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는 것이다.

어떤 이에게 자랑스러운 기록이 누군가에겐 아주 미미하고 초라해 보이는 수준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로 누군가에는 범접할 수 없는 거대한 보이는 결과로 보일수도 있다.) 병정개미가 일개미보더 크게 느껴질 수 있지만, 흔히 '개미'라고도 불리는 개인투자자의 자금을 기관이나 더 큰 글로벌대형 투자자의 자금에 비교하면 작게 보일 수 있는 일이다.

비교는 아래로도 위로도 끝이 없다. 기준은 그저 기분의 차이일수도 있다. 나는 그저 작은것을 크다고 듣게 되었을때, 어색하다 하더라도 그것을 다른것과 비교하여 초라하게 만드는 일보다 한번쯤은 웃어주는 여유가 많은곳에 찾아오길 바란다.

이전 14화 그랜저 포지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