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indsbird Mar 06. 2024

배고픈 영국 회식 문화

영국도 회식을 할까? Yes and No. 업무를 끝내고 같이 어울리긴 하지만 한국 회식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일 끝내고 근처 펍에 가서 맥주 몇 잔 하는 정도. 특히 주말을 앞둔 금요일 저녁의 펍은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북적거린다. 


영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은 한국인들이 신기해하는 풍경 중 하나가 밖에 서서 술을 마시는 영국 문화다. 워낙 펍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서일까, 아니면 그냥 영국 문화일까 - 그 역사와 유래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영국엔 서서 술을 마시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펍 안에도 서서 마실 수 있도록 높은 테이블이 여러 개 구비되 있고 특히 날씨 좋은 여름의 펍 바깥은 맥주와 함께 햇빛을 즐기는 사람들로 시끌벅적하다. 술 마시는 사람들이 좁은 인도를 꽉꽉 채워 지나다니는 사람은 오히려 차도를 이용해야 하는 이 풍경 - 이게 바로 영국의 회식 모습이다. 


영국에 반평생 살면서 아직 적응이 안 되는 건, 영국 사람들은 회식 때 밥을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5-6시에 퇴근하면 배는 꼬르륵거리는데, 영국 사람들은 저녁 먹을 생각은 안 하고 밤늦도록 같이 술을 마신다. 맥주 안주로 과자나 땅콩을 같이 주문하기도 하지만 저녁으로 때우긴 턱 없이 부족하다. 예전 다니던 회사 부서엔 유독 비유럽인이 많았는데 다들 한결 같이 볼멘소리를 하는 게 바로 이거였다. 왜 저녁시간인데 밥을 안 먹냐고!


사실 퇴근 후 펍에서 함께하는 시간을 회식이라 부르긴 좀 애매하다. 팀 간의 화목을 도모하고 더 친해지기 위한 회사 내 '활동' 보단 그냥 시간 나는 사람들끼리 모여 캐주얼하게 수다 떠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참석해도 그만 불참석해도 그만인, 오늘 하루 열심히 일 했으니 끝나고 긴장을 푸는 그런 분위기다. 


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거나, 팀원 중 누군가 이직을 하게돼 송별회를 해야 하는 일이 생길 때도 영국 사람들의 발걸음은 펍으로 향한다. 세네 시간 넘게 맥주만 마시니, 나처럼 술을 잘하지 않거나 종교적인 이유로 금주하는 사람들은 참석해 얼굴만 보이고 집에 일찍 돌아가기도 한다. 


끝까지 남아 있어야 한다는 부담이 없어 편하긴 하지만 빈속에 술만 마시는 영국의 회식은 그리 내키지 않는다. 




이전 10화 글로벌 기업 속 한국인의 강점은 바로 '이것'이랍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