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악기: 농악, 풍물놀이, 사물놀이 악기
나무 막대 혹은 끈으로 만든 손잡이가 달린 작은 북으로 농악대, 선소리패, 사당패 등이 사용합니다.
가죽으로 만든 20cm 정도의 동그란 북 모양에 손잡이를 달고 나무채로 두드려 연주합니다.
음량과 공명이 크지 않아 여러명이 동시에 연주해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춤을 출 때 사용하는 무구로서의 기능이 큽니다.
무용수들의 소고춤이나 농악대나 남사당패가 넘어질듯이 큰원을 그리며 소고를 두드리는 장면을 연상하면 됩니다.
북의 한자어는 '고'이고 악기 이름에 고가 들어가면 북의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무로 짠 통에 가죽을 씌우고 손이나 채로 두드려 연주합니다.
농악에 사용하는 북은 못방고, 풍물놀이 북은 매구북, 걸매기북, 줄북으로 불립니다. 판소리에서는 소리북이라고 하며 고수는 소리꾼의 노래에 반주하고 장단을 조절합니다.
북은 상고시대부터 사용한 가장 오래된 전통악기 중의 하나로 국악 전반에 걸쳐 쓰이고 있습니다.
모래시계형 몸통의 양쪽 북면을 손과 채로 쳐서 연주하는 타악기입니다.
고려때 송나라에서 유입되었으며 허리가 잘록한 나무 몸통 모양으로 세요로라고도 불렸습니다.
몸통 양쪽 끝에 소, 말, 노루, 개, 양가죽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좌우 각각 저음과 고음을 만듭니다.
저음부인 왼쪽 북면은 맨손 혹은 궁글채로 두드리고 고음부인 오른쪽 북면은 사진에 보이는 채편(열채)을 사용합니다.
장구는 북과 더불어 국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대표적인 타악기입니다.
국악 갈래에 따라 변신을 거듭한 장구는 현재 정악장구(궁중음악), 장단장구(민요, 잡가 등의 노래 반주), 풍물장구(풍물놀이나 농악의 연주), 무속장구(굿 등의 의례), 무용장구(장구춤 연주 또는 무용도구)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농악, 풍물놀이, 사물놀이, 불교나 무교 의식 등 민속음악에 자주 편성되며 우리에게 익숙한 타악기입니다.
놋쇠로 만든 둥근 그릇 모양이며 손에 잡거나 끈으로 매달아 놓고 채로 두드립니다.
꽹과리와 함께 고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놋쇠로 만든 우리나라 전통악기로 크기는 지름 20cm 내외입니다.
징에 비해 금속성의 강하고 날카로운 음색에 빠른 비트감을 주는 악기로 궁중음악, 불교음악, 민속음악 등에 두루 쓰입니다.
궁중음악과 불교음악에서는 소금(관악기 소금과 동음이의어)이라 불리며 민속음악에서는 쇠, 꽹과리, 꽹매기라고 합니다.
농악과 풍물놀이에서 꽹과리를 들고 전체 공연을 이끄는 연주자를 상쇠(윗 꽹과리)라고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