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핫불도그 Aug 20. 2024

주요 용어 (1)

궁중음악과 민속음악

궁중음악(왕실음악, 궁정악)

궁중에서 연주되던 모든 의식음악을 포괄하는 명칭입니다. 의식은 조정과 왕실에서 행하는 제례(제사)와 연례(향연, 잔치), 왕의 출궁이나 환궁, 사신의 영접 등을 포함합니다. 궁중음악은 기악, 성악, 무용이 복합적으로 행해지면서 종합예술로 승화합니다.

자료: 국립국악원

기악(연주)

연주는 궁궐의 댓돌 위와 아래에 배치되어 진행되는데 전자를 등가 혹은 당상악이라 부르며 후자는 당하악으로 헌가 혹은 궁가라고 부릅니다. 등가와 헌가는 궁중음악의 악기들을 배치한 악대를 지칭합니다. 악대는 관현악단이라 할 수 있고 타악기도 포함됩니다. 당상악과 당하악은 각각 대궐의 대청 위 혹은 아래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뜻입니다.


고려 1116년(예종11) 중국에서 아악이 유입되면서 고려의 향악과 더불어 궁중음악의 두 축을 형성하게 됩니다. 조선 초에는 고려 음악의 선율을 차용하고 가사를 붙여 의식에 사용한 악장(시가)을 사용하다가 세종 때 새로운 틀로 음악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이 새로운 음악 즉 악곡에는 여민락, 정대업, 보태평 등이 있습니다. 의식에 기반한 궁중음악은 규범에 따라 음악의 사용 절차, 악기, 의식에 쓰는 물건, 춤에 쓰는 도구, 관복 등을 정리하여 <악학궤범>에 집대성하였습니다.


이 책에는 연례에 사용하는 악대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연례악의 악대에는 위에서 설명한 등가와 큰 규모의 헌가인 전정헌가가 있습니다. 또한 군악계통의 악기편성인 고취가 따로 있는데 궁중의 뜰에서 베풀던 행사에 연주된 전정고취, 왕의 출궁과 환궁 시 궁내에서 연주하던 전후고취, 어가 앞을 따르며 연주하는 전부고취, 어가 뒤를 따르며 연주하는 후부고취 등 네 가지가 있습니다.  


성악(노래)

노래는 악장 혹은 악곡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자 노랫말 형식으로 의식의 단계에 맞는 가사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또한 제례 의식에 따라 복수의 제관이 참여하여 순서를 알리는 역할을 말로써 행합니다.


무용(춤)

춤은 크게 두 갈래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째, 일무는 제례에 행하는 군무를 가리킵니다. 궁중의 제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일무란 일렬로 줄을 만들어 추는 춤이란 뜻으로 줄의 수에 따라 8일무, 6일무 등이 있습니다. 8일무는 여덟 명이 한 줄로 여덟 줄을 만들어 추는데 총 예순네 명의 무용수들은 무구(무용도구)를 사용합니다.

양 손에 쥐는 무구는 단소와 유사한 세로 악기 약과 기역자 모양의 막대기에 용 머리와 장식을 단 적이 쌍을 이루거나 방패인 간과 도끼인 척을 쌍으로 사용합니다. 평화를 상징하는 약과 적은 학문, 예술 등 문사를 칭송하는 춤에 사용하며, 간과 은 전투나 무예 등 무사의 공적을 칭송하는 춤에 활용합니다. 문사의 춤을 문무라고 하고 무사의 춤을 무무라고 합니다.


둘째, 정재는 재주를 보인다는 뜻으로 춤과 재주를 포함합니다. 궁중의 연향에서 볼 수 있는 춤입니다. 연향은 국가의 경사에 행하는 잔치로 규모나 형식에 따라 진연, 진찬, 진작이 있고, 목적에 따라 사신을 접대하는 사신연, 전현직 70세 이상 문신관료들을 위한 기로연, 노인들을 공경하는 취지로 8월에 열리는 양로연 등이 있습니다. 정재는 사극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민속음악(민속악)

궁중음악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백성들의 삶과 연관된 음악입니다. 유교, 도교, 불교, 토속 또는 무속 신앙 등이 녹아 있고 지역별 특징이 잘 나타납니다.

자료: 국립국악원

기악(연주)

민간 기악의 갈래에는 산조, 줄풍류, 대풍류, 봉장취, 시나위, 농악, 길군악 등이 있습니다.


첫째, 산조는 독주를 의미합니다. 병창은 독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판소리, 민요 등의 대목을 노래하는 것입니다. 병주는 두 대의 악기가 연주하는 이중주입니다. 세 대 이상의 악기가 편성되면 합주 혹은 협주로 확대됩니다. 협주는 특정 독주 악기가 부각되는 합주를 의미합니다.

산조는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 모든 종류의 악기가 가능하며 주요 악기별로 명인들이 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제자들이 형성한 유파가 있습니다. 보통 악기별로 OOO류라고 칭합니다. 우리가 감상할 수 있는 산조로는 현악기에 가야금산조, 거문고산조, 아쟁산조, 해금산조, 철현금산조를 꼽을 수 있으며 관악기에는 대금산조, 피리산조, 단소산조, 태평소(호적)산조, 퉁소산조 등이 있고 타악기에는 꽹과리산조, 장구산조, 소리북산조 등이 있습니다.


둘째, 줄풍류는 줄로 구성된 악기(거문고, 가야금, 해금 등의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풍류(합주)를 의미합니다. 주로 거문고나 가야금이 중심에 있으며 육중주(거문고, 가야금, 해금, 세피리, 대금, 장구) 편성을 기본으로 합니다. 단소와 양금을 추가하여 구중주까지 확장됩니다. 풍류는 관악기, 현악기로 구성된 합주곡으로 서양음악의 관현악곡에 해당합니다. 줄풍류 작품으로는 천년만세, 영산회상, 보허사, 가즌회상, 별곡, 향제줄풍류 등이 전승되었습니다.


세째, 대풍류는 줄풍류가 현악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로 연주하는 풍류입니다. 대풍류에는 삼현육각이 포함되는데 삼현은 가지 현악기(거문고, 가야금, 비파)이고 육각은 여섯 가지 악기(향피리 두 , 대금, 해금, 장금, 북)입니다. 전승된 갈래 또는 작품으로는 반염불, 긴염불, 염불풍류, 취타풍류, 굿거리, 당악, 해서삼현육각, 경기삼현육각, 삼현육각, 지진한잎, 함녕지곡, 삼현영산회상 등이 있습니다.


네째, 봉장취는 한반도의 남부지방(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등)에 전승되어 오던 민속 기악곡입니다.


다섯째, 시나위는 남도의 무악(무당이 굿할 때 사용하는 음악)에서 유래된 기악곡으로 여러명이 같이 하는 즉흥 연주 성격을 띱니다. 향피리, 대금, 해금, 장구 사중주로 편성합니다. 록 밴드의 잼 세션이나 재즈 그룹의 즉흥 연주에 대응되는 스타일입니다. 시나위를 심방곡 또는 신방곡으로 불리기도 하며 심방은 무당을 가리킵니다. 지역별로는 남도시나위와 경기시나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 농업국가인 조선의 농촌 마을에서는 두레를 만들어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였는데 여기에 따라다닌 음악이 농악입니다.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 등 타악기 중심으로 노동, 행진, 의식, 놀이 등의 다양한 행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곱째, 길군악은 길에서 부르는 노래 혹은 연주라는 뜻으로 노요곡 또는 군악이라고도 부릅니다. 군악대의 관현악 편성을 의미하는 취타의 뒤를 이어 연주되며 대금, 향피리, 해금, 소금, 장구, 좌고의 섹스텟 편성입니다.


이외에도 여민락, 웃도드리, 밑도드리, 청성자진한잎, 평조회상 등의 기악 갈래가 있습니다. 여민락은 백성과 함께 즐긴다는 의미로 조선 궁중의 여러 행사에서 연주되다가 민간으로 전승되었습니다. 되도는 것 혹은 돌아든다는 의미의 도드리(환입)는 고려 때 송나라 음악인 보허자가 들어와 파생된 곡입니다. 웃도드리는 높은 음역에서 연주하고 밑도드리는 낮은 음역에서 연주합니다. 청성자진한잎은 조선후기 잔치나 연회에서 시를 노래하던 것이 확장되어 만들어진 기악곡입니다. 평조회상은 줄풍류의 영조회상을 음역을 옮겨 연주하는 곡입니다.


성악(노래)

민속악의 노래 갈래에는 판소리, 민요, 잡가, 병창, 광대소리, 시창송서 등이 있습니다.


첫째, 판소리는 소리꾼과 고수가 전래되는 고전문학을 마당이라 불리는 장소에서 부르고 연주하는 것을 뜻합니다. 판소리는 총 열두 마당이 있으며 현재 전래되는 판소리는 흥보가에서 적벽가까지 다섯 마당입니다. 여기서 마당은 길게 제대로 하는 소리 혹은 판소리를 펼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단가는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워밍업으로 부르는 노래입니다. 고법은 고수가 소리꾼의 소리에 맞추어 북으로 장단을 만드는 주법을 의미합니다. 판소리도 산조와 유사하게 유파가 형성되었습니다. 산조에서는 누구누구류라고 부르며 판소리는 지역별 특징에 따라 OO제라고 하는데 서편제, 동편제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둘째, 민요는 민중의 노래라는 뜻으로 갈래로는 향토민요, 통속민요, 신민요가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의 포크 송에 대응되는 노래입니다. 향토민요는 전문 소리꾼이 아닌 일반 백성들이 노동 등을 하면서 부른 노래로 토속민요라고도 불립니다. 민요의 전형에 가장 근접한 종류입니다. 통속민요는 향토민요를 다듬어 전문 소리꾼이 부르는 노래입니다. 신민요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유행한 민요를 말합니다. 통속민요와 신민요는 전문 가객이 부르기 때문에 잡가에 해당하기도 합니다.


세째, 잡가는 전문 가객이 부르는 노래로 정악 노래를 제외합니다. 그러므로 민요 통속민요와 신민요가 잡가에 포함됩니다. 잡가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경기, 서도, 남도입창 등이 있습니다.


네째, 병창은 독주자가 연주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입니다. 가야금병창, 거문고병창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병창에서 부르는 노래는 판소리가 대표적입니다. 판소리의 일부 혹은 주요 장면을 노래로 선뵙니다. 또한 단가나 민요 등을 부르기도 합니다.


다섯째, 광대소리에는 장대장타령과 배뱅이굿이 있습니다. 장대장타령은 소리꾼이 장대장 이야기를 소리와 재담으로 엮어 부르는 노래로 조선 말기 서울에서 유행하였습니다. 배뱅이굿은 장구 반주에 곁들여 소리꾼이 배뱅이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여섯째, 시창송서에는 당음, 독서성, 송서, 시창 등이 있습니다. 송서는 산문을 낭송조로 부르는 것이며 시창은 5언 또는 7언으로 된 한문시를 낭송조로 부르는 것입니다. 산문이냐 한시냐의 차이를 제외하면 유사합니다.


무용(춤)

민속음악을 형성하는 춤에는  관아 및 교방의 춤, 놀이춤, 농악춤, 예인춤, 의례춤, 탈춤 등이 있습니다.


첫째, 관아 및 교방의 춤은 관아 또는 교방에서 행하는 춤을 뜻합니다. 관아는 조선(고려) 시대 행정구역에 따라 나눈 지방의 행정기구입니다. 관아는 행정기구인 청사가 위치한 마을이며 여기의 장으로 수령이 있었습니다. 교방은 기녀들이 가무를 배우는 기관입니다.


둘째, 놀이춤은 세시풍속, 사회풍자 등과 관련되며 놀이에 중점을 둔 춤입니다.


세째, 농악춤은 우리나라의 농업과 관련되어 자연스럽게 형성된 춤을 말합니다. 농사는 지금도 산업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농사가 생계수단이자 주요산업인 전국의 마을 단위로 연중 행사가 진행되며 농경 활동과 관련된 춤입니다.


네째, 예인춤은 춤을 전문으로 하는 예인들이 행하는 춤으로 놀이춤, 농악춤과 대별됩니다.


다섯째, 의례춤은 민속에서 보이는 다양한 의례에 추는 춤입니다. 주로 무속신앙에 영향을 받은 무속춤과 불교와 관련된 불교춤으로 나뉩니다.


여섯째, 탈춤은 양반을 포함 다양한 백성들을 얼굴 모습을 탈로 만들어 이를 쓰고 춤으로 표현합니다. 예외적으로 동물이 중심이 되는 사자탈춤이 있습니다.


이상 민속음악을 형성하는 여섯 갈래의 대표적인 춤을 요약하였습니다.


또한 이들 춤을 구성하는 춤사위가 있습니다. 춤사위는 장단에 맞추어 머리, 몸통, 팔, 다리, 손, 발로 추는 춤의 기본 단위입니다. 춤사위는 춤의 갈래이지만 다른 갈래를 구성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춤사위들이 연결되어 동작절을 만듭니다. 춤사위는 동작절에 따라 맺는 춤사위, 어르는 춤사위, 푸는 춤사위가 있습니다.

불도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