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핫불도그 Aug 22. 2024

주요 용어 (3)

악곡의 형식

국악은 종합예술이자 복합예술입니다.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있고 노래를 부르는 소리꾼이 있으며 춤사위를 펼치는 무용수가 있습니다. 이들이 국악의 갈래에 맞추어 편성이 되어 주거니 받거니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합니다. 이렇게 주고받는 악곡의 형식을 몇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메기고받는 형식

선창하는 것을 메긴다고 하고 후창하는 것을 받는다고 합니다. 메기는 부분과 받는 부분으로 구성된 악곡 형식을 메기고받는 형식이라고 합니다. 주로 메기는 사람은 한 명이고 받는 사람은 여럿으로 구성합니다.  민요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노래 형식입니다. 선후창방식이라고도 불립니다.


주고받는 형식

노래하는 사람들을 두 패로 나누고 각 패가 번갈아 소리를 주고받으며 노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선창자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메기고받은 형식에 비하여 주고받는 형식은 두 소리패가 대등하개 주고받으며 노래를 합니다. 사설과 선율이 대구를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교환창방식이라고도 합니다.


긴 자진 형식

자료: 국립무형유산원

이전 글에서 확인하였듯이 장단이 빠르거나 느린 정도를 한배라고 합니다. 이 형식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긴’은 한배가 길다는 의미이고 ‘자진’은 한배가 짧다는 뜻입니다. 즉, 빠르기가 다른 한배를 짝으로 묶어 연주하는 형식으로 순서는 느린 장단 이후 빠른 장단이 이어집니다. 사진의 아리랑이 긴자진형식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한배에 따른 형식

느린 곡에서 시작하여 점차 빠른 곡으로 구성하는 형식으로 느림, 보통, 빠름의 세 가지 순서로 진행됩니다. 세 가지 빠르기를 하나로 묶었다는 의미로 세틀형식이라고도 부릅니다.


시조 형식

시조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된 시조시를 정해진 박자 안에서 선율을 얹어 노래 부르는 음악 형식입니다. 평시조는 엄격한 글자수의 제한이 있으며 이를 완화하여 사설이 많아지면 사설시조가 됩니다. 시조 형식은 사설이 많아지더라도 장단의 틀 안에서 노랫말을 펼치며 종장의 마지막 음보는 부르지 않습니다. 

아래에 예가 있습니다.

4음보 평시조 <동창이>

초장: 동창이 / 밝았느냐 / 노고지리 / 우지진다

중장: 소 치는 / 아히놈은 / 상긔 아니 / 일었느냐 

종장: 재 너머 / 사래긴 밭을 / 언제 갈려 / 하느니(부르지 않음)

불도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