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별 Mar 20. 2024

고향의 봄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냇가에 수양버들 춤추는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아동문학가 이원수선생님

'고향의 봄' 노래는

아리랑만큼 진한 민족정서로

불리는 온 나라 동요 애창곡     



울 동네 마산 3.15 해양누리공원

만보 걷기하고 돌아오는 길

그 노래 그리움과 추억의 배경인

고향 냇가에 수양버들이 늘어지고

산수유도 피어나고 있다     


1920년대 지어진 고향의 봄

만주벌판 독립운동가들도

고향을 그리며 불렀다하니

백여 년 전 그 때나 지금이나


냇가에 수양버들 여전하고

천주산 아기진달래 여전하니

그 날은 독립을 위해

지금은 남과 북 하나를 위해


못다 이룬 애잔한 사랑

통일의 봄 기다리는 마음 

아기 진달래로 여전하니

아침 해에 내 염원 실어본다   


   


광교산 진달래 ( 권태주 작가님 )


마산 합포구 냇가 수양버들과 산수유(20240317)
마산합포구 오늘 아침 해 뜨는 광경 ( 240320. 6시 45분)





고향의 봄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대궐 차리인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꽃동네 새 동네 나의 옛 고향
 파란 들 남쪽에서 바람이 불면
 냇가에 수양버들 춤추는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이 노래는 일제 식민지 시절  조국을 떠나 만주, 연해주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하는 이들도 고향을 그리며 많이 불렀다 한다. 


이원수는 마산공립보통학교를 다니던 15살 때,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창원에서의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을 담아 동시「고향의 봄」을 썼다. 그의 동시에 곡을 붙여 원래는 마산지역에서만 불리다가 후일 홍난파가 곡을 붙인 이래 아리랑만큼이나 민족애를 느끼는 동요로 전국적으로 애창되면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이원수는 동시 「고향의 봄」으로 문단에 등단한 이후 56년간의 작품 활동을 통해 동시 309편, 동화와 소년소설 217편, 시 56편, 수필등 모두 994편에 달하는 방대한 문학 작품을 남겼다.        

1971년 한국아동문학가협회를 창립하여 초대 회장을 맡았고, 1981년 세상을 떠났다. (위키백과 참조)   

        

*천주산

 이원수가 노래한 '꽃피는 산골'은 현재 창원역 뒤에 있는 천주산이다.(나무위키)                              

이전 08화 가슴을 여니 보이는 것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