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시유 Apr 30. 2024

나무들도 성깔이 있다는 걸 아시나요

- 가슴 차크라가 열리다




가슴 차크라가 열리면 부작용(?)이 있는데


타인에 대한 연민이 흘러넘쳐 (가뜩이나) 눈물이 많은데 감정을 주체할 수가 없게 된다는 거다.


실제로 처음 가슴 차크라가 열렸을 땐 그늘에서 말라비틀어진 식물 한 포기만 봐도 마음이 아파 물을 사 아이들에게 적셔주고 왔었다.


그러다 신기한 경험을 한 적이 있었는데, 뜨거운 여름이었고, 한참 코로가나 기승일 때였다.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맞은편 빌딩 앞에 네 그루의 나무가 보였다.


큰 빌딩이었고, 빌딩의 그늘에 가려 나무들은 햇빛 한 점 받을 수 없었다.


그 나무들을 보는 순간 쿵. 심장이 가라앉으면서 눈물이 주르륵 흘렀다.


이럴 수가. 태어나 한 번도 빛을 보지 못했다니. 인간이 만들어 놓은 욕심 (빌딩) 때문에 일생 단 한 번도, 햇빛을 쐬지 못했다니...






충격과 미안함. 나무들에게 미안하다고, 인간의 욕심 때문에 너희들이 빛 한 번 쐬지 못하고 살아가는구나, 마음으로 계속 이야기를 했다.


마스크를 쓰고 있어서 안으로 계속 눈물이 흘렀고, 주변에는 여고생들이 꺄아 떠들고 있었고 햇빛은 강렬했다 아아 이 생들을 어찌해야 할까. 미안해 미안해.


그러다 버스가 와서 카드를 삑, 찍었는데 순간 머릿속으로 강렬한 느낌이 하나 왔다.



'... 너는 이 우주에서 가장 사랑받을 거야'


나무들의 메시지란 걸 알았다.


고요하고도 부드러운 어투. 인간들은 아직 자라나는 과정에 있으니까 어느 정도 우리들도 이해해. 네 잘못이 아니야. 그래도 그리 말해줘서 고마워. 그런 마음을 품은 너.

... 우주에서 사랑받을 거야.

라는 메시지가, 그 한 마디에서 흘러나왔다.






채널링에서 들은 건 나무들이, ( 인간들의 행태를 보다 못해 ) 인간들에게 입을 닫았다고 했다. 예전에는 나무와 인간들도 서로 마음을 나누고 소통할 수 있었다, 고 했다.


그래서인지 나무들이 내게 먼저 말을 거는 법은 없었다. 다만, 내가 강렬한 마음을 보내면 - 나무들이 - 짧게는 몇 분, 길게는 며칠 침묵하다 답한다는 걸 알았다.


참다 참다 인간들에게 마음을, 영혼을 닫아버린 나무들의 마음은 도대체 어떤 마음인 걸까.


비단 짧은 시간이었던 건 아니겠지. 인간들의 이기, 전쟁, 짐승처럼 서로 물어뜯으며 자연을 망가뜨린 일. 몇 백, 몇 천 년을 인내하다 마음을 닫아버린 거겠지.


얼마나 많은 인내가, 망설임이, 그럼에도 애정이, 슬픔과 통곡이 있었던 걸까.


그리고 결국 스스로도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있는 우리 인간들. 우리들은 도대체 이 지구에서, 어떻게 살아가야만 하는 걸까.





한번은 길을 가는데 산에 송신탑이 꽂혀 있었다.

몸에 탑이 꽂혔다니. 얼마나 고통스럽고 아팠을까. 미안해 산아. 멈춰서 산에게 미안하다고 하고 왔다. 그때도 역시 울면서 한참을 서있었다.


( 물론 지금은 그 정도는 아니고요. 지금은 닫혔다 열렸다. 그때는 처음 가슴 차크라가 확 열려 감정을 주체할 수가 없던 상태 )


그리고 집에 왔는데, 갑자기 머릿속에서 ' 우리들한테는 왜 (미안하다고) 말 안 해줘? ' 라는 말이 강하게 들렸다.


순간 베란다를 보니 아뿔싸, 베란다 뒷산에도 탑이 꽂힌 산이 있었다. (...)





별 신경을 안 쓰고 살아서 뒷산에도 탑이 있는 줄 몰랐던 것. (…) 가까이 있는 우리들한테는 안 해주고, 다른 애한테만 왜 말해줘? 툴툴거리는 뉘앙스였다. 그때서야 나는 부랴부랴 미안하다고 뒷산에게도(?) 말을 했다.


그때 나는 나무들도 다 자비롭고 고요한 것만은 아니구나, 툴툴거리고 질투도 하고, 어떤 나무는 신중하고 어른스럽고, 어린아이처럼 좀 제멋대로인 (?) 나무도 있다는 걸 알았다.


그리고, 나무들은 자신에게 단 한 번이라도 시선을, 말을 건넸던 사람을 평생 기억한다고 들었다. 마음으로 건넨 말을 들을 수 있는 것도 물론이고.






만약, 당신이 나무나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니면 출근하는 길목에 매일 마주치는 나무가 있다면 그 나무에게 시선 한 자락을 줘보면 어떨까요? 제안을 한다면, 당신은 내가 왜요? 먹고살기도 바쁜데? 돈이 되나요 그게? 라고 할까.


마음을 닫아버린 나무들. 그 마음을 열 수 있는 건 결국, 마음뿐.


나는 이 지구가, 인간과 동물, 식물도 함께 잘 살았으면 좋겠다. 결국 다 아픔을 느끼고 행복을 느끼는 존재들. 결국, 사랑스러운 존재들.


- 내가 왜 그래야 하죠? 라고 한다면 사실은 당신도 그걸 기다리고 있으니까. 따뜻한 한마디, 고맙다는 그 한마디에 우리의 마음은 무너져 내리고 새로이 태어나기도 하니까.


그리고 그건 그들도 마찬가지 일 테니까. 그들 역시 인간이 먼저 손을 내밀어 주기를, 사실은 간절히 원하고 있는지도 모르니까.


이 세상이 바뀌는 첫걸음은 결국 당신이니까.


당신이, 이 우주의 첫걸음이니까.



                                     *


                        그림 - 류미영 작가


https://www.instagram.com/monster_city_ryu_art/

                     

이전 06화 "인간이란 무지해. 자식이 죽고 있는데도 몰라. “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