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괄호로 쓰면 뭔가 약해 보이니 대괄호로
[이 글은 고백으로도, 투정으로도 보일 수 있지만 당신이 읽어보면 좋겠다]
나는 아프다.
이 명제를 정립하려한다.
긴 말 필요없다.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여기까지 읽고 나가지 말아달라. 나의 우울함을 풀어 당신까지 전염시키 않을 것이다.
하지만, 글을 쓰기엔 충분하다
어쩌면 글거리로 생각할 수도 있고,
또 어쩌면 사랑받을 핑계일 수도 있다.
또 하나의 명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당신도 아플 것이다.
안아픈 사람은 없다. 그리고 아픔은 수치로 비교되지 않는다.
작가 본인은 당신의 아픔에 공감해보고자 이 글을 쓴다.
-----------------------------------------------------------------------------
기나긴 하루를 보냈을, 혹은 보낼 당신에게
수고했다. 고생많다.
진심으로,
힘들고 아파도 어쩔 수 없다는 클리셰스러운 말이 작가 본인은 너무 싫다.
특히 어쩌겠는가, 이겨내야지라는 말은 말도 안된다.
내가 아픈데, 너무 힘든데,,
그치만, 그치만
작가 본인이 감히 한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당신만의 방법을 찾아보면 어떻겠는가?
이 맥락에서는 클리셰가 들어와도 괜찮을 듯하다.
어쩌면 물질이, 사람이, 행동이, 시간이, 장소가 그 답일 수 있다.
작가본인은(예를 들어보자면),
음식이, 애인이, 노는게, 오늘이, 카페가 그 답 중 하나다.
즉, 오늘 카페에서 음식을 먹고 애인이랑 노는게 방법 중 하나인 것이다.
이 방법에 좋고 나쁨은 없다.
최소한 도덕이라는 선 안에서는 말이다.
그리고 그 도덕또한 당신이 정의하는 것이다. 남을 개의치 말자.
오늘 밤 자기전 눈감고 생각해보자.
나만의 방법은 뭘까,
이 자그마한 방법이
당신의 삶을 다스리는 크나큰 무기가 되길 바라며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