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자꾸만 뒤를 돌아보는 이유

잔잔히, 분위기가 고요하고 편안하게

by 유진 jjinravel Mar 24. 2025

잔잔히 웅장한 곳이 있어요. 마음속이 아릿한가 싶으면서도 이내 가뿐해지는 곳.


제겐 이 여행지가 바로 그런 '곳'이었어요. 혼자 떠났지만 여럿이 되어 돌아왔죠. 처음 보는 사람들과 보내는 일주일 남짓의 시간이라니, 조금은 낯설고 확신이 없었지만 그래서 더 맞서고 싶었어요. 이때의 저는 이런 새로움과 낯섦이 필요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떠나오길 잘했다는 말을 몇 번이나 했는지 몰라요.



몽골

저답지 않은 방식으로 몽골로 떠나왔어요. 원래의 저라면 '이때쯤 여행을 떠나야겠다.'는 가벼운 계획이라도 세워두곤 하는데, 적잖이 충동적으로 떠나온 곳입니다. 지금 생각해도 왜 그랬나 싶을 정도로요.


카페에서 친구와 각자 일을 하고 있을 때였어요. 흰 바탕의 검은 글씨들만 줄곧 보다가, 타자기 위에서 쉼 없이 손가락을 움직이다가 문득 제 세상이 참 비좁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갑갑했어요. 좀 쉬어야겠다는 생각으로 SNS를 열었고, 그곳에서 한 풍경을 마주했습니다. 드넓은 초원에 자유로이 배회하는 동물들, 그 초원을 달리는 사람들. 끝이 보이지 않는 초원의 광활함에 제 마음은 속절없이 동요하기 시작했나 봅니다. 한참 그 풍경을 들여다보다가, 대뜸 친구에게 외쳤습니다.


"나 저기 갈래!!!"


친구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가라~"고 대답했고, 쓸데없이 강한 책임감이 발동해버린 저는 제 말에 책임을 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날 집에 돌아가자마자, <러브몽골>이라는 인터넷 카페에서 몽골 동행을 알아보기 시작했고, 우연히 한 팀을 만나게 되었죠. 말을 내뱉은 당일에 동행을 구하고, 다음 날 비행기 티켓을 사고, 두어 달 뒤에 몽골로 떠났습니다. 친구는 그저 놀라서 눈만 껌벅거릴 뿐이었죠. 저도 저에게 놀랐습니다.



생각한 그대로였어요. 자지러지게 좋았습니다. 드넓은 초원 속에 뛰노는 동물들, 그리고 저. 이게 꿈인가 싶었어요. 같이 온 사람들도 하나같이 좋았고, 처음의 어색했던 마음들은 몽골의 자연들이 서서히 녹여 주었습니다. '우리는 자연에게 참 잘해야겠다.'는 마음도 들었어요. 이전 글에서도 말했지만, 자연이 저희에게 주는 것들은 단연 풍경만이 아닌 것 같았습니다.


모든 여행이 그렇다시피 좋은 것만 있지는 않았어요. 조금 불편하기도 했죠. 익숙하지 않은 게르에서 자는 것, 오랜 시간 차를 타고 굴곡진 길을 달리는 것, 향신료 냄새가 진했던 음식, 이따금씩 씻기 어려웠던 환경 등 새로운 곳에서의 적응의 시간도 필요했습니다. 그럼에도 제 스스로에게 놀랐던 건, 생각보다 저는 이런 환경에 개의치 않아 하는 사람이더라고요. 조금 못 씻고, 못 먹고, 못 자도 눈앞의 풍경 앞에선 그저 가벼운 투정으로 여겨지고 말았어요. 그리고 생각보다 잘 먹고 잘 잤습니다. 마음이 평화로우니 몸이 좀 힘든 건 괜찮았던 건지, 그래서 몸과 마음 이 둘이 타협을 했던 건지 싶기도 하네요.


이런 마음으로 여행을 했어요.

내가 언제 이런 게르에서 잠을 청해 보겠어!

길게 이동하는 차 안에서 사람들과
스피커로 노래를 듣고 부르니 이게 청춘이지!

몽골 사람들은 이런 음식을 먹는구나!

낯선 환경에 놓이니까 진짜 몽골 여행 온 것 같다..!


어디에 놓여 있든, 주어진 환경 속에서 바꿀 수 있는 건 제 마음가짐뿐이니까요. 생각보다 저는 '마음가짐'에 따라 쉽게 동요를 하는 사람이더라고요. 이걸 좋게 이용해 보는 것이죠.



"행복한가요?"라는 질문에 주저 없이 "네"라고 답해 보는 경험은 귀하다는 걸 새삼 느끼고 있어요. 일상을 살아가다 보면, 이런 답변이 쉽사리 나오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나 진짜 행복한가'하는 마음과 '내가 지금 행복해도 되는 걸까' 그 사이 어딘가에서 방황하다가 얼버무리고야 말죠.


이 몽골이란 여행지에선 행복의 총량 따위 문제가 되지 않았어요. 그저 달리고 싶으면 달리고, 멈추고 싶으면 멈추고, 행복하고 싶을 땐 힘껏 행복할 뿐이었죠. 좋은 감정을 느끼는 것도 습관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엔 그 좋은 풍경을 보고도 이게 맞나 싶었지만, 나중엔 그저 웃음부터 머금기 시작했어요. 그 습관은 일상에 와서도 좋은 거름이 되어 주었네요. 긍정적인 좋은 감정을 느끼고 싶다면, 지금 당장 행복해질 수 있는, 와하하 웃어도 볼 수 있는 곳으로 가세요. 그러고는 그곳에서 좋은 감정을 온몸으로 느끼고 기억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세요. 좋은 감정을 떠올리는 것, 그 감정을 놓치지 않고 충분히 만끽해 주는 것도 습관이 될 수 있기에.



(같이 갔던 동행 분의 사진입니다.)

살면서 이렇게나 많은 별을 본 건 처음이었어요. 별이 쏟아진다는 표현은 그저 동화 속에만 존재하는 줄 알았는데, 제가 그동안 보고 있던 하늘은 너무나도 비좁았네요. 정말로 별이 쏟아지고 있었습니다. 다들 자러 가고, 별이 더 보고 싶어서 잠깐 나왔던 적이 있는데요.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두컴컴한 곳에서 별들과 저만 있자니, 우주 속으로 들어온 기분이었습니다. 조금 무섭기도 했지만, 그 무서움이 무색할 만큼 입을 쩍 벌리고 한동안 바라보았어요. 이 별들 앞에서 제가 고를 수 있는 말은 몇 개나 될까요. 그 말이 이 풍경에 가닿기나 할까요. 네, 맞습니다. 말로 표현하기에 어렵다는 말을 돌려한 것이죠.


상황이 되신다면, 직접 보고 오셨으면 해요.

아, 저처럼 상황 따지지 않고 가셔도 괜찮습니다.

무작정 떠나오니 와닿는 것들도 더 많았던 것 같아요.



어딘가에서 이런 글을 읽었던 적이 있어요.

몽골 초원에서 말을 타고 달리는 현지인들은 초원을 달리다가, 잠시 멈춰 자신이 달려왔던 길을 뒤돌아보며 기다린다. 너무 빠르게 달려와서 자신의 영혼이 자신을 따라오지 못한 채 잃어버리고 방황할까 봐 말이다.

이 글을 보고 우리의 인생과도 참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만 보고 줄곧 내달리다 보면, 빨리 나아갈 수는 있겠지만, '나'를 잃어버리게 되는 건 아닐까. 어쩌면 가장 많이 마주해야 할 평생 친구인 나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자꾸만 뒤를 돌아봐 주어야 하는 건 아닐까. 지금 제가 가장 먼저 봐야 할 것은 제 앞을 지나고 있는 사람, 어지럽게 펼쳐진 수많은 길이 아니라 내 속도에 따라오고 있는 나 자신이겠구나 싶었죠.


못난 마음이 자꾸만 뺨을 저미고, 나뭇조각에라도 앉아 쉬어가고 싶을 때. 자꾸만 뒤를 돌아봐주세요. 몽골에서 제가 배웠던 건 그거 딱 하나였습니다. 내가 잘 따라오고 있나, 버겁지는 않나 자꾸만 뒤를 돌아봐주기.

이전 07화 일년에 4번을 가는 곳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