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소한 고사리들깨파스타
파스타가 땡기는 날이 있다.
파스타는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요리 소요 시간도 짧아 집에서 자주 해 먹는 요리 중 하나인데, '해외에서 물 건너온 국수'라는 이미지 때문에 특별한 날에만 먹는 요리, 특별한 사람과 함께 먹는 요리로 시작을 했던 것 같다.
특히나 오일 파스타는 '어른이 먹는 파스타'의 느낌이 강해 처음 입에 댄 것도 20대 중반이 훌쩍 넘어서였다.
그러나 늦게 스타트를 끊은 것과는 달리 오일 파스타의 매력에 빠지게 된 것은 시간문제였다. 토마토나 크림의 맛에 묻히지 않고 재료 본연의 맛을 오롯이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제일 좋아하는 파스타는 할라피뇨 파스타.
알리오올리오를 베이스로 할라피뇨가 더해진 것인데 우연히 동생과 식당에 들어가 시켜 먹고 그 맛에 반해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기 시작하였다.
결혼을 하고 나서도 할라피뇨 파스타의 사랑은 여전해서 생각이 날 때마다 한 번씩 해 먹으면서 매콤한 맛으로 스트레스를 풀곤 했다.
그러나 어느 순간 육아를 하다 보니 불 앞에 서서 진득하게 요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한정적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도 50일이 넘으면 아이의 패턴을 알게 되고 호흡을 맞출 수 있어 요리를 하는 것이 가능할 줄 알았는데 역시나 누구 한 명이 아이를 봐주지 않는 이상 힘든 일이었다.
호시탐탐 파스타 만들 기회를 엿보던 중, 지난 주말 아침 남편이 애를 보고 있는 틈을 타 나는 부엌으로 향했다. 오늘은 기필코 할라피뇨 파스타를 만들어 먹으리라. 굳게 결심을 하고 냉장고 문을 열었는데 마침 고사리도 있어서 '고사리파스타'에 도전해 보기로 하였다. 여기에 들깨 가루까지 뿌리면 고사리의 씹히는 식감과 담백함, 들깨의 고소함이 어우러져 꽤나 맛있는 파스타가 만들어질 것 같았다.
<고사리들깨파스타>
*재료 손질
- 삶은 고사리: 끓는 물에 한번 더 빠르게 데쳐 찬물에 헹굼.
- 냉동 새우: 해동하여 후춧가루, 미림 등을 넣고 밑간.
- 마늘: 편마늘로 썰기.
- 페페론치노, 할라피뇨: 잘게 다지기.
**고사리는 삶은 것으로 구입한 상태.
*파스타 만들기
- 올리브유를 넣고 편마늘을 볶다가 새우와 할라피뇨, 페페론치노를 함께 넣고 볶아준다.
- 새우가 익으면 고사리를 넣고 면수(1), 참치액(1)을 넣어 볶는다.
- 삶은 면을 넣고 함께 볶다가 들깨 가루를 넣는다.
(들깨 가루를 넣으면 뻑뻑해지므로 면수(1)를 추가한다.)
- 마지막으로 올리브유를 한 바퀴 더 둘러주고, 후춧가루와 파슬리 가루를 뿌려준다.
**간이 부족한 경우, 참치액이나 소금 추가.
500원짜리 동전 크기 정도가 1인분이라던데, 오랜만에 먹는 파스타라 무리를 해서 3인분용으로 만들었다.
새우와 고사리 등 재료를 아낌없이 넣은 상태였으니 실제 양은 3인분보다 더 많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편이 그릇 안에 들어있던 소스까지 남김없이 먹었으니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고소한 들깨 가루와 매콤한 페페론치노의 만남이 잘 어우러졌고, 무엇보다 고사리의 졸깃하고 씹히는 식감이 요샛말로 '킥'이었다. (여기에 새우 대신 육질이 부드러운 차돌박이를 넣어 먹어도 좋을 것 같다.)
고사리는 양지나 음지에서 모두 잘 적응하고 환경 조건이 나쁜 곳에서도 잘 생육한다고 한다.
먹거리뿐 아니라 약재로도 쓰인다고 하는데,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살아남아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모습이 기특하다.
게다가 특유의 향과 질겅거리는 식감이 있어 호불호가 갈림에도 찜이나 탕, 전, 찌개에 들어가 자신의 몫을 톡톡히 하는 것이 여간 대견스러운 것이 아니다.
서폿 역할을 기똥차게 잘하는 녀석,
하지만 주인공으로 등판하면 더 멋있는 녀석,
"맛있는 거+맛있는 거=진짜 맛있는 거"라는 공식은 이런 녀석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아이가 백일을 맞이했다.
유난히도 뜨거웠던 여름방학, 아이를 데리고 조리원에서 집으로 돌아오며 '백일'이라는 숫자는 나에게 너무도 머나먼 이야기로 느껴졌었다.
작은 배냇저고리 안에 그보다도 더 작은 아이가 이를 실감하게 해 주었다.
나는 임신 기간 내내 입덧 때문에 많이 먹지를 못했고 조산끼가 있어 입원을 했었다.
조산의 우려 때문에 폐성숙 주사까지 맞아야 된다는 이야기에 나는 그만 처치실에서 펑펑 울고 말았고, 의사 선생님께서는 제대로 나오지도 않은 아이의 초음파 사진을 손에 쥐어주며 나를 달래주셨다.
입원하던 날 처치실 옆방에서 자연분만으로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던 한 산모의 비명 소리는 아직도 귓가에 생생하다.
다행히 아이는 예정했던 날짜에 별 이벤트 없이 잘 태어났지만, 3kg도 되지 않는 아이는 또래 아이들에 비해 턱없이 작았다.
조리원에서 저녁 모자동실을 할 때면 아이의 이름과 몸무게를 불러주었는데, 나는 그때마다 죄인처럼 다녀야 했다. 그것이 내 탓인 것 같아 마음 한구석에 늘 돌덩이가 굴러 다녔다.
잘 나오지 않았던 모유수유에 집착 아닌 집착을 하게 된 것도 그 때문이었다. 모유가 아이의 면역에 도움을 준다는 이야기에 두말할 것 없이 모유 수유 길에 오르게 되었고, 그렇게 백일 동안 잘 나오지도 않는 모유로 씨름을 하며 지내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마저도 아이가 몸무게가 늘지 않아 1차 영검 때 의사 선생님께 한소리를 듣고 혼합수유로 바꾸어야만 했다.
아이가 분유를 먹는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된 것도 아니었다. 태어나서 약 50일까지는 분유를 먹기만 하면 두 번 중 한 번은 분수토를 하는 바람에 식사시간은 늘 '5분 대기조'였다.
그랬던 녀석이 아픈 곳 없이 무사히 백일을 맞이해 이제는 200ml나 되는 분유를 쉴 틈 없이 먹고, 뒤집기 연습을 하며 옹알이를 하다가 신이 나 돌고래 소리를 지른다.
이제는 마음속 돌덩이를 조금 내려놔도 괜찮은 걸까.
고사리 같은 아이다.
고사리 같이 자랐으면 좋겠다.
척박한 환경에서 아득바득 산다기보다는, 어떠한 곳이든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여 자신의 삶을 꾸려나갔으면 한다.
매서운 바람에도 유연하게 흔들릴 수 있기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로 최선을 다해 삶을 요리하며 선한 영향력을 실천할 수 있기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