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림 Jan 12. 2024

창피한 나와 만나다

워드에세이: manner, mannerism

   아침은 늘 바쁘다알람 소리에 맞춰 일어나면 스트레칭을 한 후침구 정리면도머리감기양치질커피 내리기옷 갈아입기아침 식사 등등 모든 것을 30분 내로 마쳐야 한다바쁘다모든 일이 기계 돌 듯 무의식적으로(혹은 자동으로돌아간다그러다 문득 어느 날 여유로운 아침거울 속에서 이를 닦고 있는 내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물었다. “누구니뭘 하고 있어?” 손은 짧은 막대를 입 속에 넣고 왔다 갔다 하고입은 부글부글 새어나오는 거품을 억지로 머금고 있는 사람매일 보았지만 매일 본 기억이 없는 낯선 모습순간 멍해졌다.


   생각해 보면 그런 일은 꽤 많다늘 다니던 길이 처음 온 것처럼 느껴지고늘 보던 사람이 딴 사람처럼 느껴지고잘려나간 내 손톱이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것처럼 신문지 위를 굴러다닐 때그리고 퇴근 후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타면 늘 누르던 2층 버튼을 백화점 지하 주차장 엘리베이터에서 아무 생각 없이 눌렀을 때.


 “2층에서 뭐 사려고?”


   아내의 말에 정신을 차리고 본 빨간불이 켜진 2층 버튼낯섦과 당황스러움그리고 매너리즘(mannerism)에 빠져 있는 내 모습을 직면하는 순간의 창피함그 순간 난 4살 난 꼬마와 나누었던 대화가 생각났다.


아빠피라미드는 누가 만들었어?”

사람이 만들었지.”

한 사람이 만들었어?”

아니수천 명이 만들었지노예가 만든 거야.”

노예가 뭐야왕을 좋아하는 사람이야? 피라미드도 만들어주고.”


   웃음이 났지만 당황스러웠다노예나는 한 번도 노예가 왕을 싫어할지좋아할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노예라는 단어에 대한 나의 매너리즘과 이 단어를 처음 듣는 꼬마의 매너리즘 없음이 충돌하는 순간이다충돌 순간그제야 나는 나의 틀에 박힌 고정 관념을 보았다낯섦과 당황스러움과 창피함. ‘노예가 뭐지노예는 정말 왕을 좋아했을까?’


   매너리즘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매너(manner)에서 나왔다manner는 어떤 일을 하는 방식 혹은 관습이나 예의를 뜻하는데‘man-’은 고대어에서 손을 뜻하는 말이었다그러니 ‘man-’이 들어가는 단어에는 손과 관련된 뜻이 많다manicure(손톱손질), manage(관리하다), manipulate(조작하다), manufacture(만들다), manuscript(필사본), manual(손으로 하는/설명서), maintain(유지하다등이 그렇다우리말도 보면 수공업수동수제품처럼 ()’는 만든다는 말과 잘 어울려 쓰인다그러고 보니 동서양을 막론하고 손은 만든다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손은 뭔가를 다룬다는 상징성이 있어서 manner는 어떤 일을 하는 방식을 뜻하게 되었다그리고 그 방식이 사회적으로 굳어지면 관습이 되고 예의도 되는 것이다그래서 매너가 있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합의된 관습을 잘 따른다는 뜻이다우리말에도 뭔가를 하는 방식을 뜻하는 말 중에 수단(手段)’이 있는데이 또한 손()이 들어간 걸 보면 참 재미있다.


   그런데 매너가 어떻게 매너리즘이 되었을까서양 미술사에서는 매너리즘을 16세기 유럽에 널리 퍼진 예술 양식을 일컫는데이 시기 유럽은 극도로 복잡하고 어지러운 기교와 부자연스러운 색채를 쓴 그림이 유행하였다정확한 인체의 비율과 자연의 질서를 균형감 있게 담으려는 르네상스의 고전주의 작품들과는 너무나도 달랐다이런 풍의 그림을 두고 비평가들은 “16세기 유럽의 정신적 위기”, 혹은 고전주의에 대한 반발” 등 혹독한 평을 쏟아 냈다이러한 예술적 흐름은 르네상스 시대의 조화미와 균형미라는 틀을 깨 보려는 시도였음이 분명하다그러니 매너리즘 예술은 기존의 예술에게 이런 질문을 했을 것이다.


당신들은 관습(manners)에 푹 젖어 있어.”

우리가 그 틀에 박힌 것을 낯설게 해주마.”

어때 당황스럽지?”


 르네상스가 신에 대한 도전에서 탄생했듯이 매너리즘은 르네상스에 대한 도전에서 탄생한 셈이다그렇게 역사는 돌고 돈다조화와 균형이라는 르네상스 철학의 답답함에 대한 반발그들은 최소한 그림 속에서만이라도 손으로 자유롭게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기존 관습을 깨려는 시도에서 등장한 16세기 매너리즘은 오늘날 틀에 박힌 습관이나 타성에 젖어 있음을 뜻한다누군가가 나에게 너는 매너리즘에 빠져 있어.”라고 말한다면 내가 타성에 젖어 있으니 그걸 좀 깨우치라고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너무 틀에 박혀서 아예 틀 속에 갇혀 있다는 의식조차 못 하는 상태그러니 그걸 좀 의식해 보라는 말이다.


   우리는 과거 우리 조상들이 만들어 놓은 관습을 끊임없이 깨려고 하지만 결국은 그 관습의 틀 속에 있다는 것을 인식조차 하지 못할 때가 많은 것 같다그러니 늘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마치 언어의 틀을 언어로 깰 수 없는 것처럼그러나 관습과 타성은 깨지기 마련일까우리의 아이들이 과감히 그 전면에 나선다. “아빠노예가 뭐야왕을 좋아하는 사람이야? 피라미드도 만들어주고.” 아이들은 길을 만들고 어른들은 길을 열어준다역사가 돌고 돌 듯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