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34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오직 그들의 입술을 보지 말고, 행함을 보라

세력들의 말보다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주목해야

by 아하모 Dec 22. 2024

주식과 부동산, 그리고 상품시장을 비롯한 모든 자산시장은 대외 환경을 비롯하여 그 본연의 가치 및 실적에 따른 변동성이 한 축을 이루지만, 또 다른 한 축은 바로 '투자자들의 심리'에 의해 크게 움직이기도 합니다. 특히 그 자체로 변동성이 심한 크립토 자산 시장은 투자자들의 기대감에 의해 상승하고, 또 투자자들의 두려움, 불확실성, 그리고 의심에 의해 큰 폭으로 조정을 받기도 합니다. 흔히 이를 '퍼드' (FUD)- 두려움(Fear), 불확실성(Uncertainty) 및 의심(Doubt)이라고 부르며, 이는 투자자들의 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세상에 나온 이후 이제 불과 15년에 불과한 이 크립토 자산시장은,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라는 태생적 특성으로 금이나 주식, 채권들과는 달리, 전 세계에 있는 개인들이 그 어떤 기관보다 더 많이 소유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자산입니다. 크립토 자산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각자의 새로운 핑크빛 미래를 그리고 있는 각 기관들에게는 당연히 '싼 가격'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들의 크립토자산을 사 와야만 하는 것이고, 이러한 '손바뀜'을 위해서는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퍼드'를 주는 동시에, 그들이 그리고 있는 크립토 자산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제도화하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입으로는 '비트코인은 사기다, 범죄다, 곧 없어질 가치가 없는 환상이다.' 말로 떠들며, 뒤로는 비트코인을 비밀리에 계속해서 매집하거나, 크립토 채굴회사들을 인수 또는, 크립토 관련 금융상품들을 만드는 매우 상반된 행동들을 보여왔습니다.


말은 언제나 뒤집을 수 있으나, 행동은 뒤집을 수 없습니다.


이번 '제5 계명: 오직 그들의 입술을 보지 말고, 행함을 보라'에서는 어떠한 대표적인 퍼드들이 있었고, 이와 상반된 행동들이 있었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랙락(BlackRock) 래리핑크 회장과 JP모건 제이미 다이먼 회장의 사례


출처: CNBC, 2017년 10월 13일 뉴스, BlackRock 래리핑크 회장과 인터뷰출처: CNBC, 2017년 10월 13일 뉴스, BlackRock 래리핑크 회장과 인터뷰


BlackRock의 래리핑크 회장은, 2017년, 비트코인을 "돈세탁 도구"라고 언급하며 비트코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Bit coin just shows you how much demand for money laundering there is in the world."

그는 암호화폐를 "투기적"이고 전통 금융 시스템에 위협적이라고 비판하며,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에 관심을 가지는 것에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불과 몇 년 후, 2023년, 래리 핑크 회장은 비트코인을 "디지털 자산화의 국제적 가능성"을 강조하며 이를 금과 비교했습니다.

"Bit coin is an international asset that can replace gold as a hedge against inflation."


그동안 블랙락은 2023년 비트코인 현물 ETF(Bit coin Spot ETF) 신청서를 제출하며, 암호화폐 투자 상품을 본격적으로 확대하였고, 암호화폐 생태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Coinbase와 파트너십을 맺고, 블랙록의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와 보관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2024년 12월, 현재, 블랙락(BlackRock)의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인 "iShares Bit coin Trust(IBIT)"는 최근 비트코인 보유량이 50만 BTC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2.38%에 해당하며, 현재 시가로 약 480억 달러(한화 약 63조 8,400억 원)에 이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블랙락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출처: CNBC, 2023년 1월 19일 뉴스, JPMorgan 제이미 다이먼 회장과 인터뷰출처: CNBC, 2023년 1월 19일 뉴스, JPMorgan 제이미 다이먼 회장과 인터뷰


2017년, 제이미 다이먼은 비트코인을 "사기(Fraud)"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직원들을 해고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If you’re stupid enough to buy Bit coin, you’ll pay the price for it one day."

또한, 암호화폐는 "중앙은행과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아 규제될 수 없다"라며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입술에서 나오는 발언과는 정반대로, 이후 JP모건은 상반된 행보를 보여왔습니다. 2019년 이후, JP모건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투자와 연구를 확대하였으며, JP모건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JPM Coin'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한 국제 결제 시스템을 테스트하며 블록체인의 실용성을 적극 도입했습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2021년, JP모건은 고객들에게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펀드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암호화폐 관련 리서치를 발간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접근성을 지원했습니다.

제이미 다이먼은 여전히 비트코인에 대해 개인적으로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했지만,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은 혁신적이고 금융 산업에 중요한 도구"라고 언급하며 암호화폐 관련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확장했습니다.

"Blockchain is real, decentralized finance is real, and cryptocurrencies are real innovations."


이 두 사례는 월가의 대표적인 인사들이 초기 부정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와 관련된 기회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그들이 말한 것"보다 "그들이 실제로 한 행동"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보여줍니다.




위에 언급  블랙락과 JP모건뿐 아니라, 월가를 비롯한 대표적 금융기관 세력들은 아래와 같은 퍼드(FUD)에 상반된 행동들로 대응해 왔습니다.


정부 규제 관련 FUD

중국에서 암호화폐를 전면 금지시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에서 고소를 남발하여 추가적인 규제를 우려하는 상황에서, 크립토 자산 시장은 폭락장이 나타나며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하지만,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월가의 주요 금융 기관들은 추가 규제 우려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관련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JP모건은 2021년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했고, 골드만삭스는 암호화폐 트레이딩 데스크를 재개했습니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ETF 승인을 지속적으로 요청(예: BlackRock, Fidelity)하였고 결국 2024년에 이를 실현시키며, 암호화폐 시장에 장기적 신뢰를 보여줍니다. 이들은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제도권 내 암호화폐 채택을 확산시키려 노력했습니다.


보안 위협 및 해킹

FTX라는 미국 거래소의 파산 및 해외에 있는 거래소들의 해킹과 보안 취약성에 대한 뉴스들은 그 자체로 엄청난 파급효과가 있기에 이러한 뉴스가 나온 즉시 폭락장이 연출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크립토 자산시장의 악재로 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Coinbase는 2021년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월가 주요 투자자들이 이를 환영하며 대규모 자금을 유입했습니다. 이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으며, 피델리티와 같은 전통 금융 기관은 암호화폐 보관을 위한 커스터디 서비스를 개발하여 보안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에너지 소비 문제

비트코인 채굴 시 발생하는 막대한 전기소모와 이로 인한 환경 문제는, 크립토 자산 자체에 대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꾸준히 제기하며, 크립토 자산을 막대한 전기를 소모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나쁜 것이라는 프레임을 씌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미국 내 대다수의 채굴 기업들은 해당 주정부와 협정을 맺어 피크타임 시에는 채굴을 하지 않는 대신, 주정부에 보조금을 받는 등 상생협력을 하고 있으며, 오히려 발전하는 곳 근처에 채굴장을 설립하여, 먼 곳까지 송전 시 발생하는 전기의 낭비를 막고, 가용량 이상의 전기를 크립토자산으로 변화하는 가치저장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BlackRock과 같은 투자 기관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비트코인 채굴 프로젝트에 투자하며 친환경적인 암호화폐 채굴을 지지했습니다.


스캠 및 폰지 사기

FTX 미국 거래소의 횡령과 파산 그리고 테라-루나(Terra-LUNA ) 암호화폐의 폭락이라는 사건 이후, 암호화폐는 사기는 스캠이 펴 폰지사기라는 주장이 팽배해졌을 때, 월가 주요 은행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채택하여 금융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활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JP모건의 Quorum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테라-루나(Terra-LUNA) 암호화폐의 붕괴 이후, 월가 기관들은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의 규제를 지지하면서도 USDC와 같은 신뢰성 있는 스테이블코인에 자금을 투입했습니다.


시장 변동성 및 '거품론'

암호화폐는 거품이며, 가치가 아예 없기에 곧 붕괴할 것이라는 주장은 초기 비트코인 등장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꺼지지 않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비트코인 선물을 도입하며 암호화폐를 제도권 금융 상품으로 통합하였으며, 블랙락을 비롯한 월가는 꾸준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ETF를 승인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요청하였고 끝내, 승인을 받아 현물 ETF를 판매하고 있으며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뿐만 아니라, 시총 상위의 다른 알트코인들의 현물 ETF 역시 SEC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많은 월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를 전통 자산과 결합한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며 장기 투자 상품으로 자리 잡도록 만들었으며, 스위스 UBS, Morgan Stanley, Bank of America와 같은 금융기관들은 암호화폐 기반 금융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퍼드(FUD)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이렇게 세력들의 퍼드(FUD)와 상반된 행동들을 보며, 그럼 이런 퍼드(FUD)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다음은 제가 정리해 본 퍼드(FUD) 대응 전략입니다.

 

1. 정보의 신뢰성을 검증

FUD가 제기될 때, 정보의 출처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인지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미확인 루머나 소셜 미디어에서 출발한 정보는 신뢰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이보다는 공식 정부 발표, 기업 공시,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와 같은 규제 기관의 발표를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며, 데이터와 통계를 활용하여 사실 여부를 검토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시장 동향 및 과거 사례 학습

크립토 시장은 과거에도 여러 퍼드(FUD)를 겪었으며,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극복되었습니다. 따라서, 역사적 패턴 이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중국의 암호화폐 금지 선언 이후, 폭락장이 나왔지만 이후 시장은 금세 반등하고 회복되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변동성보다는 크립토 자산의 기술적, 경제적, 금융적 가치를 평가하며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3. 포트폴리오 다각화

퍼드(FUD)로 특정 자산의 가격이 급락하더라도 분산투자를 통해, 다른 자산의 안정성으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변동성이 높아질 때 일시적으로 스테이블코인으로 자산을 전환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장기 비전과 펀더멘탈에 집중하여 저가매수 기회로 전환

퍼드(FUD)로 인한 단기적 가격 하락이 특정 크립토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으므로, 이는 오히려 저가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해당 크립토 프로젝트나 자산의 펀더멘탈에 리서치 후 확신이 있다면 이를 저가 매수의 기회로 이용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공포에 매도하는 대중과 반대로 행동하여 저가 매수를 시도하는 역발상 투자 전략을 검토합니다.

 

5. 신뢰할 수 있는 커뮤니티 참여

해당 크립토 프로젝트의 공식 커뮤니티(디스코드, 텔레그램, 트위터 등) 등 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고, 어떻게 대응할지, 프로젝트 팀의 대응을 확인합니다. 또한, 크립토 전문 애널리스트나 투자 그룹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도 해당 퍼드에 대한 정보를 얻고, 전문가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향후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 들을 수 있는 유용한 기회입니다.


6. 심리적 안정과 리스크 관리

퍼드(FUD)로 인한 폭락장에서는 감정적 대응하기 쉽기 따문에, 일단 시장의 반응을 따라 휩쓸려서 패닉셀을 하기보다는, 위에 나와있는 대응 전략 등으로 냉철하게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투자 전에 설정해 놓았던 손절 구간을 다시금 확인하고, 감당할 수 있는 손실을 계산하거나, 향후 해당 퍼드(FUD)가 시장에서 진정된 후, 올라간 자산을 팔고 떨어진 자산을 매수하는 리밸런싱을 고려한 리스크 관리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처럼 퍼드(FUD)에 대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이성적 판단과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크립토 자산의 미래에 대한 확고한 믿음으로, 단기적 혼란에 흔들리지 않고 정보를 검증하며, 투자 전략에 따라 계획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성공적인 대응의 핵심입니다.




 '제5 계명: 오직 그들의 입술을 보지 말고, 행함을 보라'을 통해 세력들의 말과 행동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습니다. 직접, 크립토 자산의 핑크빛 미래를 손수 만들어 가는 그들의 족적을 보면, 세력들이야 말로 장기적인 관점과 함께 이에 대한 굳건한 믿음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역시, 일희일비하는 실패하는 개미가 아니라, 쉬지 않고 전진하는 그들의 등에 올라타 그들이 보는 곳을 바라보며, 함께 나아가기를 희망합니다.

이전 04화 절대 Never, 급한 마음으로는 견딜 수가 없으리라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