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를 책임지고 있는 설비
첫 번째, 제1종 환기
급기와 배기 모두 기계식 환기를 하는 것이 제1종 환기입니다. 가장 좋은 환기 방법 중 하나입니다!
두 번째, 제2종 환기
급기만 기계식 환기를 하는 것이 제2종 환기입니다. 주로 클린룸 및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세 번째, 제3종 환기
배기만 기계식 환기를 하는 것이 제3종 환기입니다. 화장실, 주방 등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기계식 환기의 종류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종 환기입니다.
창문을 닫고 생활하는 삶을 위해 우리는 건물에 마스크를 씌워주어야 합니다. 환기를 위해 우리는 기계식 환기장치(전열교환기)를 설치합니다. 창문을 닫고 생활을 할 수 있게 밖의 공기를 안으로 넣어주거나, 안의 공기를 밖으로 빼내어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것이죠.
미세먼지가 심할 경우, 밖의 공기를 안으로 넣어주면 결국 창문을 열고 생활하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셨을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계식 환기장치에는 필터가 존재합니다.
필터는 프리필터, (미디엄 ~헤파) 필터 등 2중으로 구성되어 먼지를 차단해 줍니다.
프리필터는 입자가 큰 먼지를 걸러주며, 미디엄필터~헤파 필터는 입자가 작은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미디엄필터와 헤파필터는 등급에 따라 작은 입자까지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모든 건물에 기계식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어 있을까?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10년에서 15년 전 준공된 건물이라면 설치됐을 가능성이 있죠. 즉, 대부분 건물들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살고 있는 집이 약 10년 전에 지어졌다면? 기계식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것인데, 거실 천장에 동그란 디퓨져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것이 바로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숨구멍인 것이며, 공기순환기(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기계장치를 오래 사용하는 방법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전기 요금이 많이 나올 것 같다고 사용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실제로 전기 소모량은 50 ~ 70W로 엄청 낮죠. 에어컨의 소모량은 3000W임으로 환기장치는 상당히 저렴한 편이니, 그냥 하루 종일 작동시키셔도 됩니다.
그래도 주기적인 필터 청소와 교체는 잊으시면 안 됩니다. 필터들은 6개월에서 1년 정도 교체주기가 있으니, 그에 맞춰 교체를 하셔야 됩니다. 교체를 하지 않으면 기계의 효율이 저하되며, 필터의 먼지로 흡입 토출에 문제가 생깁니다. 꼭 교체하는 것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전열교환기에 어떤 필터가 들어가는지 꼭 확인하기.
전열교환기(공기순환기)는 설치연도에 따라서 설치된 필터의 종류가 다릅니다. 최근에 설치된 제품에는 프리필터 + 미디엄필터가 들어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만약 2000년 후반에 설치된 제품이라면 어떤 필터가 장착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품마다 다르겠지만, 프리필터만 장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청소용역 및 필터교체 용역을 진행할 경우 업체 측에서 과한 지출 청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프리필터만 장착할 수 있는 제품임에도 미디엄필터까지 교체했다며 장착하지 않은 미디엄필터 교체가격까지 요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청소용역의 담당자라면 꼭 이 부분을 확인하셔야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