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읽고
'사랑은 oo이다.'
나는 번번히 사랑에 실패해왔다. 그간 연애에서 같은 이유로 이별을 맞이했다.
더 이상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 구매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에리히프롬의 <사랑의 기술>
사랑에도 기술이 있다고? 그 기술을 배워야 한다고? 정말 그런 기술이 있다면 나는 앞으로 연애에서 실패하지 않을 것만 같았다.
에리히프롬은 사랑의 기술에서 타인에게 베풀지 못하는 사람은 사랑할 수 없다고 말한다. 타인에게 베푸는 마음은 내가 나를 먼저 수용하고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 즉, 나를 대하는 태도가 남을 대하는 태도인 것이다.
흥미로웠던 점은 이기적인 사람은 정작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부분이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기적인 사람은 자기자신 밖에 모르고, 그럼 스스로를 너무 사랑하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그 반대이다. 자신을 싫어하고 혐오하기까지 하는 사람들이 이기적이다. 왜냐면 자신을 대하는 거울이 타인을 대하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사랑에 대한 정의에는 많은 것이 있지만 에리히프롬은 활동의 측면에서 '사랑은 주는 것'이라 말한다.
주는 것? giver(기버)가 되라는 말인가? 맞다. 그러나 희생을 하란 말은 아니다. 여기서 말한 giver(기버)는 능동적으로 사랑을 주는 사람을 의미한다.
주는 행위에서 사랑의 능력은 그 사람의 성격 발달에서 영향을 받는다. 이는 성격이 생산적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을 때 가능하다고 사랑의 기술의 저자 에리히프롬은 말한다.
비생산적성격: 의존선, 자아도취, 전능, 타인 착취욕망, 저장욕망
나의 사랑은 능동적인가, 수동적인가?
어떤 활동이 능동적인지 수동적인지를 알 수 있는 척도는 내가 이 활동을 하면서 즐거운가를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내가 일을 할 때 나는 불안이나 고독에 쫓겨 끊임없이 일하고 있진 않은가?를 생각해봤다.
맞다. 너는 나를 힘들게 하면서까지 운동하고, 공부하고, 일하곤 해왔다. 이것은 수동적인 활동이다.
근데 나는 왜 때때로 나를 힘들게 하면서까지 운동하고 공부하고 일하고 외모를 가꾸는 걸까?
내가 사랑받지 못할 거라는 두려움, 내가 하고 싶은 걸 하지 못할 거라는 두려움, 또다시 사랑할 수 없을거란 두려움, 모든 것은 '두려움' 때문이다.
이 두려움은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솔직히 나는 나를 이렇게 들볶지 않아도 사는덴 지장이 없다. 그럼에도 나는 그저그렇게 살고 싶어하지 않는다. 나의 지금 상태가 경차인데 하루빨리 벤츠가 되고 싶어해서 그렇다.
매일 1%의 성장을 하다보면 10년 뒤엔 벤츠를 몰 수 있다. 그러니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여유를 가져보자. 오늘도 잘 살고 있어. 토닥토닥.
세상의 괴로움도, 행복도 사람으로부터 온다. 따라서 관계를 잘 맺는 공부는 성공적인 인생을 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랑의 기술은 배워야 한다.
그리고 사랑의 기술이야 말고 내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기술이라 생각된다.
'나를 사랑하듯 내 이웃을 사랑하라.'
이 말의 의미가 언제보다 절실하게 다가오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