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스럽게, 본질과 본성에 따라
원문은 생략했다. 한글로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괄호 안의 부연 설명으로 최대한 자연스럽게 다듬었다.
편안할 때 지키기 쉽고, 조짐이 보이지 않을 때 도모하기 쉬우며, 여릴 때 잘라내기 쉽고, 미미할 때 분산시키기 쉽다. 아직 (무언가) 있지 않을 때 해야 하고, 아직 혼란스럽지 않을 때 다스려야 한다. 아름드리나무도 털끝 같은 싹에서 시작하고, 아홉 층에 이르는 누대도 한 줌 흙을 쌓아올려 지으며,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시작한다.
무언가 (애써) 하려다 보면 (오히려) 실패하고, 어디엔가 (지나치게) 매달리다 보면 (오히려) 잃는다. 그리하여 성인은 무위로 하니 실패하지 않고, 너무 매달리지 않으니 잃지 않는다. 뭇사람이 어떤 일에 종사할 때에는 어떤 기미가 보일 때에 시작하기에 늘 실패하기 마련이다.
끝을 시작과 같이 조심스레 고려한다면(언제나 한결같다면) 무엇이든 실패할 일이 없다. 그리하여 성인은 무욕(욕심 없음)에 따라 욕구할 뿐이고, 구하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며(돌같이 보며), 무학(不學, 배움 없음)으로 배우고자 하여, 뭇사람들의 과오를 복구시키려 할 뿐이다. 이렇게 하여 세상 모든 것이 자연스러움(본성)을 회복하도록 도와줄 뿐, 결코 무언가를 관여하려 하지 않는다.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라는 속담이 도덕경에서 비롯된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64장이다. 한편으로, “세상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것에서 시작하고, 세상의 큰 일은 작은 일에서 시작한다.”는 63장을 다른 어감으로 서술한 느낌이기도 하다. 63장에서는 ‘출발’을 강조한 느낌이라면 64장에서는 ‘맺음’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조짐을 보이기 전에 도모하고, 혼란스럽기 전에 다스려야 하는 것처럼, 사소한 문제가 큰 문제를 만들고 미세한 균열이 붕괴를 가져오기 마련이다. 조심조심, 끝과 시작을 한결같이, 담담하고 잠잠하게 가야 문제가 발생하질 않는다. 그리하여 노자는 시작과 마찬가지로 끝을 잘 둘러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개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방심하여 일을 그르치는 경우가 많다.
성인은 미리 준비하고 대비한다. 이 점이 뭇사람들과 다른 점이다. 뭇사람들은 미리 준비하고 대비하기보다는 조짐이 보일 때, 다시 말해, 눈에 보일 때가 되어서야 움직인다. 그마저도 일이 커져서야 움직이기 시작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그것은 대개 게으름에서 비롯되고, 될 대로 되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그것이 세상에서 가장 쉽고 편해 보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무슨 일이든 지나치면 또 문제, 무언가를 애쓰면 실패를 가져오고 지나치게 매달리면 잃게 만든다. 오히려 실패할지 모른다는 마음, 잃어봐야 본전이라는 생각으로 임할 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와 마주하기도 한다. 다만, 그 결과가 순전히 자기 능력이라 여기거나 그 결과에 도취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르기도 한다.
성인은 눈에 보이지 않을 때에 조치를 취하고 기본을 다져 두어, 위기가 닥칠 때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그리하여 성인은 무위로 이루고 집착하지 않기에 바라는 것을 얻을 수 있고 원하는 것에 이를 수 있다. 이는 3장에서 보았듯이 배와 뼈를 위해야 한다는, 다시 말해, 근본을 중요시해야 한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그리하여 성인은 욕심이 없는 것에 욕심을 내고, 금은보화를 돌같이 보며, 배웠어도 배운 티를 내지 않는다. 무언가를 탐하는 마음이 없으니 자기자신을 만족시키는 것에 관심이 없고 이기적이지 않다. 몸에 좋은 것들은 대개 맛이 없거나 맛 자체가 없어 사람들이 탐내지 않는다. 성인은 그런 것들로 세상을 건강하게 만드는 사람이다. 물질적 욕망이 없으니 부정부패가 없다.
그리고 너 잘 나고 나 잘난 게 없다. 모두를 동등하게 대하니 배움 없이 배운다. 여기에서의 배움은 단지 학습을 의미하지 않는다. ‘지식의 차등’을 의미한다. 그것은 지배와 피지배를 나누는 기준이기도 하다. 과거 글자를 아는 계급은 지배층이었고 그들이 문자를 모르는 계급을 지배했다. 노자가 유가와 다른 점이 여기에 있다.
이처럼 노자는 무언가에 개입하거나 관여하려 하지 않는다. 내가 잘났다고 위에 서서 모두를 지배하려 하거나, 남을 굴복시키려 하는 것에서 만족을 느끼는 것은 지배욕이다. 성인은 지배욕이 없다. 성인의 최종 목표는 이 세상 모든 것이 가진 자연스러움의 회복에 있다. 자연스러움이란 곧 본성이자 본질이다. 곧 각자가 각자가 지닌 결대로 사는 일.
*노자 도덕경 1-30장은 아래에서
https://brunch.co.kr/brunchbook/taoteching
*노자 도덕경 31-60장은 아래에서
https://brunch.co.kr/brunchbook/taoteching0
*관련 도서(내 책)
2023 세종도서 선정 <어른이 되어 다시 만나는 철학>(믹스커피)
살림지식총서591 <도가>(살림출판사)
*블로그 바스락(홈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