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5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AI 커뮤니티 '지피터스' 분석 인사이트 6가지

사이트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가장 쉬운 방법

by 누리 Jan 28. 2025
아래로

많은 분들이 랜딩 페이지를 정성껏 만들지만, 실제로 사용자들이 얼마나 스크롤을 내리고, 어느 버튼을 눌렀는지는 막연히 짐작만 할 뿐입니다. 그런데 뷰저블같은 분석 툴을 통해 실제 데이터를 살펴보면 의외의 결과들이 드러납니다.
‘상단 CTA가 플로팅 버튼보다 훨씬 많이 클릭된다’, ‘요일 검색이 주제(카테고리)보다 관심도가 높다’, ‘하단 후기까지 내려가서 꼼꼼히 읽는 사람들이 있다’ 등등. 이러한 발견들은 곧 전환율 개선의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지피터스 스터디 신청 페이지를 뷰저블로 분석하고 얻은 핵심 인사이트 6개를 소개합니다.



뷰저블?


뷰저블은 아주아주 간단하게 고객의 서비스 이용 여정(Journey Map)과 UX 히트맵(화면에서 유저의 행동 패턴)을 볼 수 있게 구현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자체 개발하거나 wix, 카페24, 아임웹 등 웹페이지 제작 툴로 만든 웹페이지에 아주 간단하게 트레킹 코드를 붙여서 구현할 수 있어요. 5분 컷? 이면 대기업 UX팀에서 보는 듯한 대시 보드가 짜라란하고 만들어집니다. 단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나 브런치처럼 스크립트 코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는 도입이 불가합니다.


트레킹 코드만 심으면 이런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트레킹 코드만 심으면 이런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1. 예상밖 결과: 최상단 CTA가 가장 많이 클릭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스크롤을 어느 정도 해서 정보를 확인한 뒤, 결정을 내릴 때 플로팅 버튼을 누를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상으로는 페이지 상단(히어로 섹션)의 ‘신청하기’ 버튼이 클릭 1위를 차지했습니다.

클릭 1순위는 상단 '신청하기 버튼'클릭 1순위는 상단 '신청하기 버튼'

왜 그럴까요?  

혹시 재방문 사용자들은 이미 스터디를 알고 있어서 그런가해서 재방문/신규를 비교해보았는데,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첫 화면에 시선 집중: 모바일·PC를 막론하고 상단 CTA가 가장 먼저, 가장 크게 눈에 띄어서이겠죠?

브런치 글 이미지 3


개선 아이디어  

상단 CTA와 플로팅 CTA 간 디자인, 텍스트, 색상을 다르게 하여 A/B 테스트를 해보세요.

신규 유입 경로(광고·SNS)에서 쓰는 문구와 히어로 섹션 문구가 일치하면, 바로 신청하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요일”을 먼저 본다: 카테고리보다 요일 필터에 집중

“스터디를 찾을 때, 주제(카테고리)보다 ‘언제 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점이 데이터로 확인됐습니다. 요일별 클릭 수가 훨씬 높았습니다.

요일은 전체 클릭 수 6위, 카테고리는 25위요일은 전체 클릭 수 6위, 카테고리는 25위

왜 그럴까요?  

사용자 입장에서는 “내 스케줄에 맞는 요일인가?”가 가장 큰 결정 요인.

취미·직무·외국어 등 어떤 카테고리든, 일단 시간이 맞아야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개선 아이디어  

메인 목록에서 요일 탭을 전면에 배치하거나, 달력 형태로 노출해 사용자가 빠르게 탐색하도록 유도하세요.

카테고리는 ‘필요하면 추가 필터링하는’ 보조 역할로 배치해도 무방합니다.



3. 후기, 아래에 있어도 사용자들은 끝까지 본다

페이지 하단에 배치된 “후기 섹션”이 생각보다 높은 클릭·체류 시간을 기록했습니다. 신청 전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을 꼭 확인하려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이죠.

후기가 상당히 하단에 위치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후기 좌우를 넘기는 클릭이 전체 페이지의 35위를 차지했습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5

개선 아이디어  

후기를 중간중간에도 짧게 노출: 주요 후기나 한두 줄짜리 추천 문구를 스터디 목록 사이, 혹은 진행 방법 섹션 아래 등에 배치해 스크롤 이탈을 줄이고 클릭을 유도하세요.

“후기 OO개 더 보기”처럼 구체적인 수치를 강조하면 사용자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4. Expert 스터디, 분리하지 않고 통합하니 노출률이 높아졌다

전문성이 있는 사람만 참여할 수 있는 Expert 스터디를 이번에 출시했는데, 초기에는 별도 섹션으로 강조했습니다. 다른 스터디 목록을 보다가 Expert 스터디 영역에서는 이탈해 버리는 유저가 많았습니다. 반면, 일반 스터디와 하나의 목록에 섞어두니 스크롤 도중 자동으로 시선이 닿았습니다.

Expert 스터디를 분리했을 때Expert 스터디를 분리했을 때


Expert 스터디를 하나로 합쳤을 때Expert 스터디를 하나로 합쳤을 때

개선 아이디어  

스터디 전체 목록 안에서 Expert 스터디를 카드로 구분 표시하되, 화면 흐름은 합쳐주세요.

특별한 혜택이나 난이도만 카드 디자인에서 간단히 언급해도 충분히 강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무엇을 배우는가” vs. “어떻게 진행되는가”

데이터로 본 체류 시간: 스터디 주제 목록(카드) > 진행 방식(운영 방법) 섹션  

사용자는 주제(내게 맞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그다음에 운영 방법을 궁금해합니다.

스터디 진행 방법 설명 섹션 체류 시간 7초, 스터디 목록 체류 시간 10초로 30% 차이가 났습니다.

화살표가 있는 영역 = 스터디 카드가 있는 부분. 스터디 진행방식 탐색보다 훨씬 오래 체류화살표가 있는 영역 = 스터디 카드가 있는 부분. 스터디 진행방식 탐색보다 훨씬 오래 체류

개선 아이디어  

주제 목록을 먼저 충분히 보여주고, 진행 방식은 개괄적 개념+자세히 보기 링크 정도로 구성해 보세요.

다양한 아이콘·짧은 문구를 활용해 직관적으로 “이렇게 진행됩니다”를 표현하면, 텍스트 과잉으로 인한 스크롤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모바일 환경, ‘작은 화면에서 첫인상’이 더더욱 중요

모바일은 스크롤을 활발히 하는 편이지만, 분석에서는 모바일에서도 상단 CTA 클릭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오히려 pc보다 상단 CTA를 누르는 비율이 2배 가까이 되었습니다.

왜 플로팅의 신청하기 대신 상단 버튼을 누를까..?왜 플로팅의 신청하기 대신 상단 버튼을 누를까..?

왜 그럴까요?  

작은 화면 탓에 “처음에 보이는 버튼”이 눈길을 사로잡으면, 바로 클릭이 이뤄짐.

플로팅 버튼이 있어도 디자인·배치 문제가 있다면 오히려 상단 CTA만 눈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개선 아이디어  

플로팅 CTA나 고정 메뉴가 충분히 시인성을 갖추도록 디자인·레이아웃을 재검토하세요.

“처음 화면에서 간단히 스터디 핵심 장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최적화해, 이탈을 줄이고 전환율을 높이세요.



데이터가 말해주는 진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보기 전에는 “어쩌면 이런 식으로 클릭하거나, 이런 식으로 스크롤할 것이다”라는 예상으로 기획하고 디자인합니다. 하지만 뷰저블 분석 결과가 보여준 실제 사용자 행동 패턴은 생각과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사례에서도 그 점이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플로팅보다는 최상단 CTA가 압도적

카테고리보다 요일이 우선

후기는 끝까지 찾아 읽는다

Expert 스터디, 함께 노출하는 편이 효과적

첫 화면 정보가 모바일에서도 더욱 중요


여러분의 페이지에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지는 않을까요? 뷰저블의 히트맵·스크롤맵 툴을 사용해 확인해 보시면, 예상치 못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작은 UI·UX 조정만 하셔도 전환율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니, 꼭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뷰저블 서포터즈 1기로 제품을 무료로 제공받아 작성된 솔직한 후기입니다.' #뷰저블 #뷰저블서포터즈


누리 스레드 구경 가기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윤누리

운동과 술을 사랑하는 자유로운 영혼. 석유화학회사를 때려치우고 와인 공부하다 스타트업에 정착했다. 창의성과 영감이 샘솟는 삶을 위해, 인생을 변화시킨 사람과 문장들을 수집 중이다.


(현) 국내 최대 인공지능 커뮤니티 지피터스, 커뮤니티 리더

'일곱잔' 와인바 사장 @신사


(전) 와이아웃 커뮤니티, 운영 리드

와디즈 경영추진팀

패스트파이브 커뮤니티 크리에이터팀

독일 UNCCD(유엔사막화 방지기구) FCMI 팀

석유화학회사 환경안전경영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 글로벌환경경영 전공

산림청 주관, 유네스코 - DMZ 지역 산림 생태 연구 인턴

한국장학재단 홍보 대사

4-H 동시통역사, 캐나다 파견 대표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1기 인턴 팀장

서울대학교 국제 협력본부 학생대사 이벤트 팀장

와인 21 객원 기자, 레뱅드매일, 파이니스트 와인 수입사 홍보 대사


매거진의 이전글 개발자랑 커뮤니케이션 효율 58000% 높이는 프롬프트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