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ll or review Aug 02. 2024

본질의 중력

2024년 8월 첫째 주

오늘은 다소 어려운 얘기를 하겠습니다. 본질과 비본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심지어 꽤 깁니다. 안전벨트 단단히 메시고 출발.


출처 : unsplash


2024 파리 올림픽


2024 파리 올림픽이 개막했습니다. 메달의 개수와 색깔을 다투는 기사들이 하나둘씩 쏟아집니다. 선수들의 노력이 명확한 숫자로 표현되는 보도 방식 때문에 우리는 자연스레 그 숫자들에 집중합니다.


몇 등, 몇 점, 몇 초, 몇 번째, 몇 살, 몇 년 등등


일주일 내내 올라오는 그런 기사들이 조금 불편했습니다. 숫자 밖의 이야기들은 찾아보기 어려웠기 때문이죠.


설사 그런 기사들이 이른바 '얘기(기자들의 아이템 선정 기준)'가 되는 '야마(주제)'를 정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구분 짓기라 하더라도요. 스포츠란 결국 경쟁이며, 그 경쟁의 승패는 결국 숫자로 치환될 수밖에 없다는 맹점을 감안하더라도요.


결국 그 숫자 밖의 이야기들이 '라디오스타'나 '유퀴즈 온 더 블럭'이라는 예능을 통해 [비하인드]라는 명찰을 달고 웃으며 등장하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겠습니다. 작가님들 파이팅.



본질을 잊었나


누군가에게 침을 뱉는 것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언론을 언론답게 만드는 건 저열한 조롱이 아닌 차가운 비판이다.


최문선 기자가 쓴 이 칼럼(20191003 한국일보發 <[36.5℃] ‘기레기’ 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면>)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침이 아닌 차가운 비판이 우리 언론에게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생각해 봤습니다. 지금도 끊임없이 생산되는 올림픽 보도의 문제는 뭘까.


그 문제는 바로 '본질의 망각'에 있지 않을까.


이 생각의 이유는 저 또한 모 언론사에서 본질과 먼 '2022 카타르 월드컵 기사'를 양산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성하는 반추(어떤 일을 되풀이하여 음미하거나 생각함)'랄까요.


출처 :  unsplash

올림픽의 본질은 평화입니다. 올림픽 가치를 교육하기 위한 올림픽 정신 교육 교재 한국어 버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인간 존엄성의 보존에 관심이 있는 평화로운 사회로 고취하고자 하며,
 그 관점에서 스포츠의 의무는 인간의 조화로운 발전을 이바지하는 데 있습니다.


번역투라서 말이 좀 꼬여 있는데, 쉽게 말하자면 올림픽 정신은 총 두 개입니다.


1. 인간이 소중하고 평화로운 사회로!

2. 그 조화로운 사회를 스포츠라는 방식으로!


2024 파리 올림픽 공식 홈페이지에 나온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남긴  한 번 보시죠.

올림픽 정신은 수많은 갈등과 희생자가 있는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평화의 상징입니다.

올림픽 정신은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모이고, 서로를 존중하며, 관용과 상호 이해라는 주제를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이는 평화의 기본 요소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의 문장들 또한 사실상 위와 똑같은 말이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얘기까지 첨언하진 않겠습니다.


법제처 홈페이지에 올라온 우리 정부의 공식 문서에서도 마찬가지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올림픽 경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기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참가하는 데 있다.
인생에 있어서도 본질적인 것은 정복하는 데 있지 않고 멋있게 싸우는 데 있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낭만적인 말입니까. 스포츠의 본질을 '1등을 위한 경쟁'에서 찾는 게 아니라 '탁월함(Arete)을 이루기 위해 함께 도전'하는 것에서 찾는다는 뜻입니다(4년간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보람이 느껴지는 몇 안 되는 순간입니다).


조화로운 사회를 위해 스포츠라는 방식을 가져온 것일 뿐, 스포츠의 목적 자체가 메달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죠. 그러니 올림픽의 메달 개수를 집요하게 따지고, 그걸 대한민국의 자존심으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지 않을까? 그게 본질은 아니지 않나? 혼자 생각해 봅니다.



어린 왕자가 된 오늘


출처 : unsplash

바로 이 지점에서 <어린 왕자>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른들은 숫자를 좋아한다. 어른들에게 새 친구에 대해 말할 때 본질적인 것에 대해 물어보는 법이 없다. 어른들은 "그 애 목소리는 어떠니? 그 앤 어떤 놀이를 좋아하니? 그 애는 나비를 수집하니?" 따위의 말을 결코 하지 않는다. 그 대신 "그 앤 몇 살이니? 형제는 몇이니? 몸무게는 얼마니? 아버지 수입은 얼마니?" 따위만 묻는다. 그래야만 어른들은 그 애를 속속들이 알게 됐다고 믿는 것이다. 만일 어른들에게 "장밋빛 벽돌로 지은 예쁜 집을 봤어요. 창에는 제라늄이 있고 지붕에는 비둘기가 있고요."라고 말하면 어른들은 그 집에 어떤 집인지를 생각해 내지 못한다. 그들에게 "십만 프랑 짜리 집을 봤어요"라고 말해야 한다. 그러면 그들은 "이야 참 멋진 집이구나!"라고 소리를 지른다.


아주 거칠게 말하자면, 바로 그런 기사와 메달의 숫자를 따지는 건 '어른들의 생각'입니다.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는 꾸준한 노력으로 한 땀 한 땀 빚어낸 메달'이라는 표현보다 '에펠탑의 실제 철제 조각이 새겨지고, 루이뷔통 가방에 담겨 있는 메달'이라는 표현이 더 매력적으로 들리는 이유입니다.


그러한 어른들의 생각들은 하나씩 겹쳐지며 점점 더 강력한 중력을 형성하죠. 느리지만 강력하게, 흐트러짐 없이 차곡차곡 쌓이면서요.


정세랑 작가의 소설 <지구에서 한아뿐>에 나오는 표현대로라면, "대개의 인생을 사는 사람들은 그렇게 철저히 벤다이어그램의 중심으로 포함되고 포함되고 또 포함"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탁월하고 독창적인 사람들이 만든 세계에 기생할 수밖에 없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똑같이 기여하는 것이 아니다. 거인이 휘저어 만든 큰 흐름에 멍한 얼굴로 휩쓸리다가 길지 않은 수명을 다 보내는 게 대개의 인생이란 걸 주영은 어째선지 아주 어린 나이에 깨달았다.

끊임없이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세계에, 예수와 부처의 세계에, 셰익스피어와 세르반테스의 세계에, 테슬라와 에디슨의 세계에, 애덤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세계에, 비틀스와 퀸의 세계에, 빌 게이츠와 스티브 잡스의 세계에 포함되고 포함되고 또 포함되어 철저히 벤다이어그램의 중심이 되어가면서 말이다.

출처 : unsplash

그래서 역설적으로, 이 중력에 이끌리지 않는 사람을 보면서 말하는 거죠.

"저거봐! 우리 별에서 떨어져 나간 우주인(혹은 어린 왕자)이야!"


제2의 이소연 박사가 될지언정, 전 커져가는 중심의 너머에 다소곳이 짱 박혀있는 본질을 보고자 합니다.


이근상 작가의 <당신의 브랜드는 브랜드가 아닐 수 있다>라는 책에 따르면, 그러한 본질은 실제로 돈이 됩니다!

마케팅이 시장을 흔들던 질풍노도의 50년을 지나 다시 본질의 시대로 돌아온 것이다.

이제 제대로 된 본질이 없다면 그 무엇의 도움도 소용이 없게 되어버렸다.

뒤집어 말하면 본질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잘 만들어가면 별다른 도움 없이도 성공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게 위안이라면 위안이고, 헛소리라면 헛소리로 들리시겠지만요.



최근 여러 도전들에 실패(정확히는 원하는 회사에 취직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걸어가는 길이 잘못됐나 싶은 생각이 하루에 17번 정도 듭니다.

동시에, 저 길은 아니라는 생각도 하루에 15번 정도 듭니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식은 얼추 깨우친 것 같은데요.

반대로 삶의 의욕이 사라졌습니다.

이건 제가 본질을 바라보지 못해서일까요.

아니면 너무나도 본질을 바라봐서일까요.

수십, 수백 개의 고민들로 채워가는 오늘입니다.

일단 평양냉면을 먹어야겠습니다.

이전 14화 아주 가벼운 말들의 심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