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8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동짓날

팥죽 한 그릇

by 정현 Dec 24. 2024
아래로

동지를 지나자 해뜨는 시간이 점차로 빨라지고 있다. 하루에 평균 1분씩 빨라진다고 한다. 참으로 자연의 질서는 상서롭다. 이 변화를 인류는 수십만년을 보아왔을 것이다. 우리나라에 인류가 등장한 지가 70만년 전이라고 하니 그 때부터 우리 조상은 이 자연의 변화와 함께 생활해 왔을 것이다.


마트에서 구입한 동짓날 팥죽을 한그릇 먹었다. 새알이 없어서 조금은 아쉬웠지만, 알밤이 새알을 대신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두운 밤을 팥이라하면, 새알은 해를 뜻한다>고 한다.


동짓날 밤이 가장 길다는 것을 우리 조상들은 이미 알고 있었고, 농사에서 가장 중요한 해를 기리는 마음으로 새알을 넣어 팥죽을 쑤었을 것이다.


밤과 낮을, 팥과 새알로 표현을 하다니, 우리 조상들의 <자연의 섭리를 기리는 멋스러운 음식 문화>가 참으로 맛깔스럽다.


 해는 다행스럽게도 팥죽을 생각해내어, 동짓날을 허전하지 않게 보낼수 있었다. 따뜻한 팥죽  그릇이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이전 06화 오늘도 해는 뜬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