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반차 Aug 04. 2024

우울의 시작을 찾아서

지나쳤던 나의 어린 시절에 대하여

우울증 치료를 하다 보면 '내 우울의 시작은 어디일까?' 생각을 하게 된다. 나의 경우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인 것 같다. 돌이켜보면 우울하지 않을 때가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랄까. 시작이 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우울하지 않은 상태가 '평안'이나 '안정'이라 한다면, 난 그 상태에 있었던 기억이 없다. 항상 망망대해에 혼자 떠다니는 듯한 기분으로 살았다. 조금 균형을 잃으면 바다에 빠져버릴 것을 걱정하며. 물론 어린 시절로 돌아가 볼 수 없어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다만 몇 가지 기억들로 '내 우울의 시작이 아주 어린 시절이구나' 하고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어린 시절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좋은 것이던 나쁜 것이던 기억자체가 별로 없다. 그래서 상담 초창기에 "어렸을 때는 어땠어요?" 하면 떠오르는 게 없었다.


내가 대충 하는 말을 듣고 선생님이 구체적으로 질문을 주시면 그제야 몇 가지의 기억이 떠올랐다. 내가 오랫동안 떠다니던 물속에는 많은 기억들이 묻혀있다. 빠질까 두려워서 차마 그 속을 들여다보지 못했다. 많은 것들이 그 물속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뿐이었다. 그래도 상담을 받으며 떠오른 몇 가지 기억들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의 일이다. 우리 집은 맞벌이 가정이었다. 하교를 하면 거의 대부분의 날들은 아무도 없는 집에 들어가야 했다. 고요한 적막을 깨는 것도, 어두운 집안 곳곳에 불을 밝히는 것도 내 몫이었다. 가끔 밥을 사 먹으라며 엄마가 쪽지와 함께 돈을 두고 가셨다. 그 돈으로 뭘 먹었는지는 기억에 나지 않는다.

어머니와 아버지는 집안의 청결문제로 종종 다투었다. 그 다툼을 막기 위해 부모님 퇴근 전에 주방과 집을 청소를 하기도 했다. 부모님이 퇴근하면 별문제 없이 밥을 맛있게 먹고 싶어서. 여느 아이들이 그렇듯 부모님을 좋아했다. 부모님이 모임에 나가면 여러 번 전화했다. 받지 않으면 조금 화도 났던 것 같다. 그래서 울고 떼썼던 기억이 얼핏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 때까지 그랬다. 엄마의 언니인 이모는 그런 나를 '태태 쟁이'라고 불렀다. (떼쟁이라는 뜻이다.)  부모님이 외출하고 전화를 받지 않을 때면 나를 버린 것 같은 기분에 휩싸여 엉엉 울었다. 그때 우리 집 거실에서 바다가 보였는데, 밤이 되면 까만 바다와 어두운 색의 가구가 쓸쓸하게 느껴졌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쓸쓸하다는 기분을 너무 빨리 알아버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나는 공포에 취약한 아이였다. 귀신의 집에 가면 엄마의 품 안에서 나오지 못했다. 아무것도 보지 않았으면서 귀신의 집에 다녀온 날은 밤에 잠에 들기 어려웠다. 꿈에 귀신이 나왔다.

가장 강렬한 기억은 환영을 본 것이다. 나는 어린 시절 과학 만화를 즐겨 읽었다. 그 과학만화책의 부록으로 인체 골격계 모형이 있었다. 신나게 조립해 벽에 걸어뒀는데, 막상 걸어두니 그게 너무 무섭게 느껴졌다. 밤이 되면 그 모형이 나에게로 걸어오는 환영이 보였다. 눈을 감으면 없어지겠지 싶어 눈을 감아도, 인체 골격계 모형이 나를 향해 걸어오는 장면이 반복되었다. 어린 나이에도 초 현실적이라 느껴 진짜인지 아닌지 수십 번 생각해 봤다. 그런 생각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혼자 깨어서 울었다. 그렇지만 부모님을 깨우지 못했다. 인체 골격계를 혼자 조립할 수 있는 나이가 돼서는, 이미 누군가의 달램을 받는 것이 어색해졌기 때문이다. 그게 부모라 할지라도. 어쩌면 부모님이 잠에 깨 짜증을 내는 것이 무서웠던 것 같기도 하다. 잊고 있었는데, 상담을 하다 보니 이런 기억들이 하나둘 떠올랐다.


눈이 간지러운 날이 있었다. 눈을 마구 비비다 보니 눈이 빨개졌다. 그런 눈을 보며 '내일 눈을 뜨면 눈이 안 보이면 어쩌지? 실명하게 되는 것 은 아닐까?'와 같은 걱정을 했다. 비슷한 생각으로 죽거나 아픈 것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했다. 그런 생각을 하다 보면 잠이 안 왔다. 정확한 시기는 기억나지 않지만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생이 될 때까지 불면증이 있었던 것 같다.


걱정들은 청소년기를 지나면서 다양해지고 깊어졌다. 은은하게 우울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중학생이 되어서는 잠이 안 오면 극복하는 나만의 방법을 찾았다. 바로 걱정이 들면 종이에 써두고, 내일 생각하는 것이다. 자려고 하는데 어떤 생각이 들면 종이에 그 생각을 썼다. 그 종이에 쓰면 생각을 더 이상 하지 않기로 다짐했다. 14살부터는 일기를 썼다. 그래서 항상 내 일기장엔 걱정이 가득했다. 중학생땐 한창 친구 문제가 고민이었다. 나는 무리로 어울려 놀지 못했다. 대신 친구 한 두 명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에 집중했다. 대학생 때는 평범하게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내가 이상하게 느껴졌다. 아직까지도 무리에 섞여 들지 못한다.


수험생활이나 취업준비 같은 시기에는 외로움이 큰 적이 되었다. 나의 편이 없다는 생각은 나를 쉽게 무너뜨렸다. 다음 기회가 없는 것처럼 나를 몰아세웠다. 벼랑 끝에 나를 세워두고 스스로 질책했다. 그런 행동들로 쉽게 우울에 빠졌다. 누군가에게 나의 힘든 일을 잘 말하지도 않았다. 내가 힘든 줄도 몰랐고, 말로 표현하는 것은 더욱 어려웠기 때문이다. 부모님께는 말해본 적이 한 번도 없다. 힘든 마음을 그저 두고 모르는 척했다. 나의 어린 시절은 그랬다.




나는 어렸을 때부터 차곡차곡 잘 눌러 쌓아 온 혼자만의 감정들이 있다. 그 마음의 바구니가 언젠가 감당이 안될 만큼 무거워질 줄도 모르고, 흘려보내지 못해 끝없이 눌러 담기만 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