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https://brunch.co.kr/@eduinsight/54
https://brunch.co.kr/@eduinsight/56
실험 1에서는 아기들이 한 사람의 목소리로 들은 익숙한 단어와 여러 사람의 목소리로 들은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구별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각 아기의 평균 응시 시간을 계산하여 익숙한 단어와 익숙하지 않은 단어에 대한 반응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방법으로 혼합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테스트 유형" (익숙한 단어 vs. 익숙하지 않은 단어)은-말하자면-아기 내에서 비교하였고, "조건" (한 사람의 목소리 vs. 여러 사람의 목소리)은 아기들 간에 비교했습니다. 분석 결과, 익숙한 단어와 익숙하지 않은 단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F(1, 38) = 13.05, p = .0009, ² = .008). 이는 아기들이 익숙한 단어와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구별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두 조건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F(1, 38) = .02, p = .88), 이는 한 사람의 목소리와 여러 사람의 목소리에서 학습 효과가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가 분석을 위해 두 그룹의 아기들을 비교한 결과, 두 조건에서 아기들이 익숙한 단어에 더 오랜 시간을 들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즉, 한 사람의 목소리에서 익숙한 단어는 평균 5.2초, 익숙하지 않은 단어는 4.3초 동안 들었고, 여러 사람의 목소리에서는 익숙한 단어가 5.6초, 익숙하지 않은 단어가 4.6초였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20명의 아기 중 14명이 한 사람의 목소리 조건에서, 15명이 여러 사람의 목소리 조건에서 익숙한 단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 결과는 아기들이 배경 소음 속에서도 패턴을 발견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에게서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들을 때 특별한 이점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References
Potter, C. E., & Lew-Williams, C. (2019). Infants' selective use of reliable cues in multidimensional language input. Developmental Psychology, 5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