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https://brunch.co.kr/@eduinsight/54
https://brunch.co.kr/@eduinsight/56
https://brunch.co.kr/@eduinsight/58
실험 2에서는 아기들이 같은 소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음성 스트림에서 규칙성을 찾아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아기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한 그룹은 같은 화자가 두 스트림을 들려주는 '일관된 화자 조건'에 있었고, 다른 그룹은 서로 다른 화자가 들려주는 '변동 화자 조건'에 있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아기들이 음절이 똑같아서 소리로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한 것은 '일관된 화자'라는 추가 정보가 아기들이 두 스트림에서 패턴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아기들이 이 정보를 필요로 할 것이고, 일관된 화자 조건에 있는 아기들만 규칙성을 발견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반대로, 아기들이 소리의 단서에 의존하고 있어서 이런 정보 없이 두 스트림을 구분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도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실험은 아기들이 언어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특히 복잡한 소리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데 어떤 정보가 중요한지를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실험 2는 ANOVA(검사 유형 × 조건) 결과, 실험 1과 달리 검사 유형의 주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F(1, 38) = 0.68, p = 0.42). 검사 유형과 조건 간의 상호작용 또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F(1, 38) = 0.32, p = 0.58). 아기들은 두 조건 모두에서 친숙한 아이템과 낯선 아이템을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더 오래 바라보지 않았습니다. 일관된 화자 조건에서 아기들은 친숙한 아이템을 평균 6.1초, 낯선 아이템을 5.5초 바라보았고(t(19) = 1.09, p = 0.29), 변동 화자 조건에서는 친숙한 아이템을 6.7초, 낯선 아이템을 6.6초 바라보았습니다(t(19) = 0.17, p = 0.87).
일관된 화자 조건에서는 12명의 아기, 변동 화자 조건에서는 11명의 아기가 친숙한 아이템에 대한 선호를 보였습니다. 타겟과 비타겟 음성 흐름이 동일한 소리로 이루어졌을 때, 아기들은 타겟의 규칙성을 학습하지 못했습니다. 일관된 화자 조건에서 화자 정보가 구조와 완벽하게 일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아기들은 이 연관성을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단지 지표적 단서만으로는 두 음성 흐름의 기본 구조를 강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References
Potter, C. E., & Lew-Williams, C. (2019). Infants' selective use of reliable cues in multidimensional language input. Developmental Psychology, 5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