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힐링 노트

The Story of
Future Writers

by 새내기 권선생 Mar 14. 2023

카톡 생일 기능을 끄기로 했다

고등학생 때쯤이었던 거 같다. 한 친구를 둘러싸고, 시끌벅적 대는 소리가 복도까지 들려왔다.

'오~ 오늘 재헌 생일이래!'

'야, 인마! 생일 축하한다!'

장난 섞인 말투로 부대끼며, 친구들이 격정적으로 생일을 축하해 줬다.


생일인 친구가 참 부러웠다. 그들의 우정이 부러웠다.


생일이 1월인 우들에게 생일 축하를 제대로 받은 적 없는 거 같았다. '내 생일' 장면 떠올려보면 단지 마, 아빠, 동생만 삼삼오오 작은 케이크 하나를 두고, 초를 켜는 게 전부였다. 속상했다. 방학이 지나서야 내 생일이 있었기에, 친한 친구들 마저도 생일을 잊곤 다. 학하고 "방학 중에 왜 내 생일 때 연락 안 했어?" 하묻자쪼잔했고, 엇보다도 러기에는 이미 지나간 일이었다.


대학생쯤이었을까. '카톡 생일' 기능이 생긴다고 했다. 카톡이 드디어 일 냈구나 싶었다. 디어 여태 받지 못했던 축하를 받을 수 있나 싶었다. '카톡 생일' 기능은 나날이 발전했는데, 프로필 사진에 귀여운 꼬깔콘을 씌어주는가 하면, 나중엔 하루 동안 생일인 친구들을 한 번에 모아 볼 수도 있었다. 그 이후부터 친구 목록을 보는 습관이 생겼고, 그렇게 친하지는 않지만, 모르는 척하기에는 민망한, 친구들에게 선물을 주기 시작했다. 실낱같은 추억을 억지로 끄집어내며 식상한 축하 멘 함께.


기다리던 생일이 . 여러 생일 축하 카톡과 함께 많은 기프티콘을 받았고 화장품, 먹거 등 많은 선물이 집으로 도착했다. 그런데 하게 모를 찝찝함과 함께 의문이 생겼다. '걔는 왜 안 오지?' 친하지도 않은, 하지만 내가 챙겨줬던 친구들선물을 바라고 있었다. 기다리다 뒤늦게 연락 오는 친구도 있었지만, 안 오는 친구도 당연히 있었다. 슬프게도 이제는 방학이어서 몰랐다는 핑곗거리도 없다. 섭섭함을 감당해야 하는 건 오로지 내 몫이었다.


 년의 시간이 흐르자, 문득 생일이라는 게 원래 이런 건가 싶었다. 선물을 하나씩 수거하고, 있어야 할 선물이 없으면 찝찝해야 하는, 그런 날.

마치 하나의 투자처럼. 내 생일을 위해 탑을 여 만들듯이. 또 네게 선물을 줬으니, 내게 선물을 주는 게 당연하게 요기는 것처럼. 비슷한 금액과 비슷한 멘트는 덤이다.


카톡 생일 기능을 한 번 꺼보기로 했다.


그리고 웃기지만, 절친한 친구들을 빼고 다른 친구들의 생일은 선택적으로 무시했다. 카톡을 켜면  친구들이 매일 새롭게 등장했지만, 석연치 않고 스크롤을 내렸다.


그렇게 또다시 내 생일이 왔다. 프로필에는 생일이라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았다. 어딘가 허전했지만, 영혼 없는 답장과 선물을 굳이 받고 싶지도 않았다.


놀랍게도 내가 진심으로 아끼는 친구들은 문자나 전화가 오더라. 그들의 문자나 목소리를 보면 진심이 느껴졌는데, 참 고마웠다.


결국, 내가 여태 받고 싶었던 타인의 관심은 날 구속했고, 더 상처받게 했다.


살면서 모든 사람 어떻게 다 신경 쓰고 살겠는가. 짧은 인생 소중한 사람들 만큼이라도 잘 챙기면서 살자.


매거진의 이전글 다대포를 보내지 못하고

매거진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