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건빵 Aug 15. 2016

남의 큰 상처보다 제 손톱 밑 가시가 더 아프다

‘김대중 자서전’이 나를 읽다 3

김대중은 첫 번째 문턱인 한국전쟁과 부산정치파동을 겪으며 욕망에 따라 살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현실적인 모습에서 정치를 통해 썩어빠진 현장을 바꾸겠다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변했다.. 

하지만 아무리 고난을 헤쳐 나가며 생각에 변화가 생겼다 할지라도, 냉혹한 현실 속에서 그런 이상적인 생각을 고집하기는 힘들다. 여차 잘못하면 ‘삶이란 원래 그런 거야’라는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이상적인 생각을 회의하며, 일제시대에 ‘이 나라가 독립이 될 것 같냐?’며 친일 행위를 서슴지 않고 하던 사람처럼 지독히 현실의 욕망만을 따라 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은 도구란 무수한 담금질을 거쳐야 하듯, 사람도 여러 문턱을 넘으며 자신의 생각을 갈무리할 계기들이 필요한 것이다.           



▲ 무수한 담금질이 강한 쇠를 만든다. 사람에겐 문턱을 넘는다는 게 담금질 같은 거다.




두 번째 문턱의 맛보기교통사고

     

그에게 두 번째 문턱은 필연적으로 다가온 느낌이다. 정치인 생활은 그리 녹록치 못했다. 몇 번 낙선을 했고 아내도 잃었다. 그럼에도 인제 재보궐 선거에서 뽑혔고 목포 선거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실력 행사’가 있었음에도 당당히 맞서 이기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 



▲ 67년 6.8 목포선거에서 박정희의 지원유세와 국무회의를 목포에서 여는 등 관권 선거를 했음에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그가 이겼다.



그런 만큼 그는 유명해졌고 그에 비례하여 정적에겐 제거할 대상이 됐다. 이것이야말로 연암이 말한 ‘움직이면 문득 비방이 따르고, 명예 또한 따른다(動輒得謗 名亦隨之 『答洪德保書 第二』)’는 말과 같이, 명예와 비방은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 따라 붙는 꼴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선거 유세를 하러 광주로 향하던 중 교통사고를 빙자한 살인사건을 당한 것은 두 번째 문턱의 맛보기에 해당된다. ‘네 목숨은 내 손 안에 있다’는 섬뜩한 권력의 충고였으니 말이다. 지금도 내가 하는 것들이 권력에 위배되는 행위여서 언젠가 후한이 될지도 모른다면, 알아서 ‘자기검열’을 하곤 한다. 우린 이명박 정권 시절에 있었던 ‘미네르바 사건’을 보면서, 내가 그런 일을 당하지도 않았음에도 알아서 설설 기었던 경험이 있다. 그에 반해 그는 이미 권력의 따끔한 충고를 몸소 맛봤기에 오히려 더 복지부동하며 권력의 입맛에 맞춰 살 수도 있다.   



▲ 71년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해, 그는 발을 절게 된다. 권력의 눈에 보일 정도로 치사한 경고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문턱죽음의 순간 찾아온 삶에 대한 갈망

     

그러나 그는 주눅 들지 않고 일본과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하며 ‘한국의 진실’을 폭로했다. 그걸 가만히 보고 있을 권력이 아니다. 국경까지 넘나들며 권력의 시선과 폭력은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 때 발생한 ‘김대중 살해 미수 사건’이 바로 두 번째 문턱이라 할 수 있다. 

현장에서 살해하려던 계획이 변경되어 배에 실려 바다에 떠있게 되었다. 망망대해의 한 가운데서 ‘쥐도 새도 모르게’ 그를 바다에 빠뜨려 죽일 생각이었나 본데, 그때 정체불명의 비행기가 나타나는 바람에 그렇게 하진 못한다. 전 세계의 이목이 ‘김대중 납치 사건’에 몰려 있다는 것을 알게 됐던지, 그들은 그를 죽이지 못하고 한국의 시골민가를 거쳐 그의 집 앞에 버리고 도망가게 된다. 



▲ 교통사고는 정말 맛보기였다. 납치와 감금, 그리고 살해위협, 수장될 위기 등의 상상도 할 수 없는 조치들이 연이어 펼쳐졌기 때문이다.



글로만 읽어도 숨이 턱턱 막히고 소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까딱 잘못하면 이승과 인연을 끊어야만 하니, 얼마나 두려웠을까? 그렇다면 그는 초인이라도 된단 말인가? 아니었다. 그도 사람이었다. 두렵고 무서웠지만 그만큼 삶에 대한 욕구가 컸을 뿐이다. 바다에 빠지기 직전 ‘살만큼 살았으니 죽어도 된다’고 체념을 했다가 이내 맘을 바꾸며 속으로 외쳤다.            



아니다. 살고 싶다. 살아야 한다. 아직 할 일이 너무 많다. 상어에게 하반신을 뜯어 먹혀도 상반신만으로라도 살고 싶다.(『Ⅰ』 313p)  


        

남루한 삶일지라도 산다는 것 자체가 축복이 될 수도 있다. 그는 그 순간 ‘삶’을 떠올렸고, 해야 할 일도 많다는 것을 떠올렸다. 처절했기에 더욱 진심어린 고백이다. 그가 살게 된 건 기도의 힘과 함께 수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 죽음의 고비를 넘고 자택에 돌아와 기자회견을 열고 있는 모습.




두 번째 문턱은 연대감을 안겨줬다

     

이 문턱을 통해 그는 더 이상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맘 속 깊이 느끼게 됐다. 그건 곧 연대감이었다. 자신의 목숨이 자기 혼자만의 것이었다면, 권력에 의해 은밀하게 죽임을 당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의 목숨은 더 이상 그 혼자만의 것이 아니었고, 그와 함께 뜻을 모으는 사람들의 것이었다. 그래서 그가 납치당했을 때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백방으로 움직여 그 사실을 알렸고, 그 결과 망망대해에 비행기가 뜰 수 있었던 것이다. 연대감이란 나의 삶이 누군가의 삶에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것이고, 함께 살아갈 힘을 전해 받는 것이다. 첫 번째 문턱을 넘으며 넓어진 시야는, 두 번째 문턱을 넘으며 좀 더 현실적인 감각으로 자리하게 된다. 

또한 국경을 뛰어넘는 정치의 타락상도 목격하였기에, “사건의 실체가 밝혀졌는데도 정치 결착으로 진실을 은폐하려는 한국과 일본의 저급한 정치인들의 작태에는 아직도 분노한다. (『Ⅰ』 325p)”라고 말하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저급한 정치의 세계, 부패한 정치의 세계를 보며 ‘고급한 정치’를 꿈꿀 수 있었다. 





훗날에 대통령이 되었을 때, 그는 일본 문화 개방을 주도한다. 일부에선 그를 ‘신매국노’라 했지만, 그것이야말로 그의 이런 마음을 모르는 왜곡이 아닐까 싶다. 그는 일본을 무조건 신봉하여 그런 정책을 펴려 한 것이 아니다. 일제시대와 정치 결착을 경험하며 일본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개방하여 좋은 점은 배우고 우리가 우수한 점은 더욱 발전시켜 나가자는 생각에서 그렇게 한 것이다.           



선진 문화를 받아들이더라도 우리 것으로 재창조하는 독특한 능력이 우리에게 있다. 해방 이후 그 많은 이질적 문화들이 물밀듯이 들어왔지만 이내 버릴 것은 버려서 우리 것으로 만들었다. 나는 일본 문화를 받아들이는 데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믿었다. 오히려 일본 문화를 막는 것이 더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양질의 문화가 들어오지 않으면 폭력, 섹스 등 저질 문화만 몰래 스며들 것이기 때문이다. 문화를 역사의 어느 한 시점의 우열로만 판단하여 교류할 수는 없다. 문화는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끝없는 상호 학습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볼 때 문화 교류는 서로를 배우는 과정이다. 일본 문화를 막는 것은 우리에게는 수치스러운 일이다. (『Ⅱ』 114~115p)  


        

일본 문화 개방에 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애초에 우려했다시피, 일본문화가 개방되면 급속도로 우리의 문화가 먹히고 일본 문화만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문화가 개방되면서 한동안 과도기적 상황도 있었지만, 지금은 일본 문화에 무작정 심취하지 않으며, 일본의 성문화에 경도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서로의 다른 문화를 보고 느끼며 지금은 각자 인정해주는 상황이 되었으니, ‘문화는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끝없는 상호 학습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는 그의 주장이 올바른 판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이 당시의 핫이슈라면 일본문화 개방이었을 거다. 많은 우려가 있었지만, 그렇게까지 걱정스런 상황은 일어나지 않았다.




세 번째 문턱사형선고를 받다

     

세 번째 문턱은 신념 자체를 뒤흔드는 사건이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의 주동자로 몰려 사형선고를 받았다. 이미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겼기에 사형선고쯤은 아무 것도 아닐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 그 당시의 광주는 현재진형행이다. 여전히 주요신문사나 방송사에선 사실을 날조하고 여론 몰이를 한다.



하지만 죽음의 고비를 반복했다고 익숙해지는 건 아니다. 공지영이 『지리산 행복학교』라는 책에서 ‘사람들은 누구나 남의 큰 상처보다 제 손톱 밑 가시가 쓰리고 아프다’라고 말했다시피, 아픔에 경중이 있다기보다, 아픔에 무뎌진다기보다 더욱 그 아픔은 선명한 느낌으로 자리하는 것이다. 그래서 조그마한 아픔에도 사람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두려움에 벌벌 떨게 만든다. 쌍용 자동차 사태의 피해자들이, 용산참사의 피해자들이 작은 소리에도 벌벌 떨며 몸을 움츠리는 건, 고통은 심연에 파고들어 한 개인을 파멸에 이르게 만들기 때문이다.           



죽고 싶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나도 살고 싶었다. 나는 제발 사형만은 면하기를 간절히 바랐다. 법정에서도 속으로 기도했다. 재판장의 입 모양을 뚫어지게 보았다. 입술이 옆으로 찢어지면 사, 사형이었고, 입술이 앞쪽으로 튀어나오면 무, 무기 징역이었다. 입이 나오면 살고, 찢어지면 죽었다. 재판관이 입을 열었다. ‘김대중, 사형’ (『Ⅰ』 424~425p)  


        

재판관의 판결처럼, 자신이 ‘민주화운동’의 배후였다면 그렇게까지 억울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박정희 정부 시절에 사법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사형을 선고한지 18시간 만에 사형을 집행하여 억울하게 죽어야 했던 ‘인혁당 사건’처럼, 자신도 억울한 누명을 쓰고 사형 선고까지 받았으니 그 마음을 가눌 길은 없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니 삶에 정의란 있는지 의심까지 당연히 들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는 마지막 편지에, “막상 이제 죽음을 내다보는 한계 상황 속에서의 자기 실존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약한 믿음 속의 그것인가 하는 것을 매일 같이 체험하고 있습니다. (Ⅰ 428p)”라고 쓸 수밖에 없었다.                 



▲ 정말 말도 안 되는 일들이, 그렇게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났고 처리되었다.




세 번째 문턱엔 어떤 가르침이 있을까? 

    

우린 그가 사형 선고를 받았음에도 사형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15대 대통령이 될 수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세 번째 문턱이 그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 그리고 그런 순간들이 그에게 어떤 삶의 자세를 갖게 했는지는 알지 못한다. 

다음 후기에선 그가 감옥에서 인동초처럼 차디찬 겨울을 버티어 나가며 무엇을 느꼈는지, 그리고 그 이후엔 어떤 문턱들을 넘게 되었는지 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 그에게 감옥은 인동초처럼 겨울을 견뎌내며 성장해야만 하는 곳이었다.




목차     


1.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

감정을 가감 없이 드러낼 때 사실이 된다 

『김대중 자서전』이 건빵을 읽다     


2. 인간 김대중을 추억하는 법

김대중, 그는 완벽한 인간이 아니다 

신화나 영웅전이 아닌, 인간 김대중에 포커스를 맞추다

첫 번째 문턱, 전쟁에 휩쓸리다

첫 번째 문턱은 시야를 넓혔다

  

3. 남의 큰 상처보다 제 손톱 밑 가시가 더 아프다

두 번째 문턱의 맛보기, 교통사고

두 번째 문턱, 죽음의 순간 찾아온 삶에 대한 갈망

두 번째 문턱은 연대감을 안겨줬다

세 번째 문턱, 사형선고를 받다

세 번째 문턱엔 어떤 가르침이 있을까?

   

4. 기회란 준비된 사람에게만 온다

세 번째 문턱, 작지만 큰 대학 감옥에서 만든 희망

세 번째 문턱은 거짓 희망이 아닌, 참 희망을 이야기하게 하다

자신이 스스로 만든 마지막 문턱

마지막 문턱을 넘어 마침내 꿈을 펼 수 있는 기회를 얻다

     

5. 김대중을 추억하다 나를 만나다

건빵을 있게 한 세 개의 문턱

극심한 변화엔 혼란이 뒤따른다

혼란 극복법 1 - 정의를 품어라

혼란 극복법 2 - 행동하는 양심으로 살기

그를 추억하다가 나를 만나다

매거진의 이전글 인간 김대중을 추억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