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건빵 Jul 05. 2017

임용시험은 꿈에 불과했다

2010년에 남긴 꿈에 대한 기록 1

꿈, 그건 깨어날 때에야 ‘꿈’임을 알게 된다. 깨어남은 현실에 대한 재인식의 과정이 있어야 가능하다. 현실이 비현실이었음을, 깨어남이 꿈 자체였음을 알기 위해서는 비약이 필요하다. 그건 내가 처한 상황의 틀에 갇히지 않고 멀찍이 떨어져 제3의 시각으로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절대로 쉬운 일은 아니다. 그리고 또한 깨어났다는 자각이 제대로 된 깨어남이 맞는지 증명될 수도 없다. 『장자』라는 책에서 ‘大覺(큰 깨어남)’ 운운했던 게 그런 이유일 터다.                



▲ 깨어나기 전까지는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 그것도 아니면 둘은 다른 존재였는지 아무 것도 알지 못한다.




꿈에서 깨려는 사람아 

    

지금 나의 현실이 꿈일까? 실제일까? 그런 판단기준은 어디에 있는 걸까? 애초에 꿈과 현실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현재를 사느냐’에 달려있는 듯하다. 

과거에 고착된 사람, 미래의 기획에 현실을 희생시키며 사는 사람이라면 꿈속에 사는 사람이라 표현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것이다. 그와 같은 논리로 자신의 처지를 망각하고 허황된 꿈만 좇으며 사는 사람, 자신의 가능성을 의심한 채 의식의 사슬로 꽁꽁 묶어 자포자기한 사람도 꿈속에 사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즉, 현실을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꿈속에 사는 존재라 표현할 수 있다. 내가 늘 보아온 광경들, 겪고 있는 현실들을 외면한 채 어딘가로 끊임없이 도망치려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꿈에서 깨려는 자라면, 현실에 발 딛고 서려는 자라면 주어진 현실을 인정하고 직면하여 자신의 삶을 만들어 가야 한다. 그때 비로소 우린 꿈에서 깨어나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이 될 수 있다.                



▲ 영화 [라디오스타]에 나오는 최곤은 과거의 영광에 멈춰 있는 사람이다. 그는 현실이 아닌 꿈 속에 사는 것과 같다.




임용시험은 하나의 꿈에 불과했다 

    

‘나에게 임용시험은 꿈이었다’라는 선언을 지금에 이르러선 할 수 있다. 파격적인 선언이고 뜬금없는 선언이지만 나에겐 절실하다. 왜일까? 

바로 임용시험엔 나의 온갖 욕망이 용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현실을 나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임용만 된다면 그 모든 게 햇볕 아래 녹아내리는 눈처럼 사라질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건 마치 로또 복권에 당첨되길 바라는 심리와 똑같은 심리라 할 수 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하다 보니 나의 온갖 비극과 비관이 ‘임용에서 떨어졌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라고 손쉽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 나의 첫 임용시험, 그건 한낱 꿈이었다. 그리고 로또였다.



그렇다면 정말로 임용에 합격했다손 치더라도 나의 모든 문제들이 말끔히 해결되었을까?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 고개를 넘는 순간 오히려 내 스스로 키워놓은 허황된 꿈들은 더욱 도드라져 보이고 그에 따라 내 모습은 더욱 위축되어 보였을 것이다. 처음부터 문제를 잘못 설정했으니, 이것저것에 치이게 되며 결국엔 생을 좀 먹는 방향으로 나갔을 테니 말이다. 

임용은 결코 지금의 이러한 인식, 삶의 가치관을 바꿀 수 없다. 그건 어디까지나 나의 생각, 나의 가치관이 문제였다. 

바로 그게 나에겐 꿈에 가까웠다고 보는 것이며, 그렇기에 ‘임용시험은 꿈이었다’고 말하게 된 이유다. 모든 원한의 해결을 미래의 어느 시점으로 무한정 미루고 지금의 불행을 자초하고 당연시 하는 하는 것. 고로 현재를 산다는 건, 그런 허황된 생각에서 벗어나 현재에 두 발을 내딛는 것이다. ‘임용에 합격되어 미래가 변한다’는 투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현실 인식이 바뀌어 현재가 어떻게 된다’는 투의 이야기여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나의 생각이 굳고 몸이 굳어선 안 된다. 기존의 것들에 의존하려는 마음, 누군가에게 의지하려는 마음은 역시나 꿈에서 깨어나기 두려운 자의 몸부림일 수밖에 없다. 떠나려 생각했으면서도 미련 남는 자의 어리석음. 자꾸 얽어매려는 ‘중력의 령’을 떼쳐버리려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한순간이라도 거기서 방심하는 순간, 마음은 나약해지고 거짓된 삶이라 할지라도 꿈에서 살려할 테니 말이다.                



▲ 두 번째 임용은 광주에서 봤는데 그때 군대 친구 현일이에게 신세를 졌었다.




국토종단을 하며 꿈에서 깨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다  

   

이젠 서서히 깨어날 준비를 해야 한다. 난 이제 광야에 몸뚱이 하나만을 믿고 나서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모든 게 거짓 없이 그대로 드러날 것이다. 그때 과연 나의 20대는 얼마나 치열했는지, 그래서 얼마나 자신의 삶에 충실했으며 사람들과 제대로 관계 맺으며 살아왔다고 자신할 수 있을지 겁이 난다. 

그러나 아무리 겁이 난다 해도 거기에만 빠져 있진 않으려 한다. 오히려 아무 것도 이루어지지 않은 이 순간이 어떠한 것이든 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목포에서 시작하여 고성까지 걸어가는 여행을 시작할 수 있었던 거다. 물론 외로움을 감당하지 못해 누군가에게 의존하려 했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 그게 어찌 보면 ‘익숙한 문법을 떠났지만, 떠나지 못한 것’과도 같은 옥에 티였지만, 첫 시작치고는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식으로 조금이나마 깨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한 것이니 말이다. 첫 술밥에 배부르길 바란다면 그것이야말로 한바탕 꿈이지 않을까. 



▲ 임용이란 꿈에서 깨어날 수 있었기에 나만의 길을 걸어갈 수 있었다.




목차     


1. 임용시험은 꿈에 불과했다

꿈에서 깨려는 사람아

임용시험은 하나의 꿈에 불과했다

국토종단을 하며 꿈에서 깨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다     


2. 김씨표류기의 김씨처럼 깨어나라

이 영화는 깨어남에 대한 보고서다

순식간에 뒤집히는 삶이 아닌 차곡차곡 만들어가는 삶을 살라

깨어남을 위한 여정, 이제야 시작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단재학교, 석촌동에서 새 역사를 쓰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