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호동호 Oct 21. 2020

12. 어디까지 먹을 거야

돼지를 부탁해

길었던 봄 가뭄, 그 끝에 단비가 내린다. 마을 어르신들은 어디서 기운이 샘솟는지 ‘이때다!’ 아우라를 뿜으며 밭에 나와 콩이며 참깨를 심었다. “뿌리가 벌써 물내를 맡았다"고 했다. 나도 부랴부랴 돼지 집에 지붕을 설치한다. 소 이동용 철장의 지붕은 뚫려 있었다. 진즉에 했으면 비 안 맞고 했을 걸. 자연은 공평하다. 준비된 자에겐 기쁨의 비를, 게으른 자에겐 좌절의 비를 내린다. 돼지우리 만들기라는 한고비를 넘기며 마음의 고삐가 풀렸다. 돼지들이 하루 대부분을 보내는 곳은 운동장, 잠자는 집은 철장이었다. 습지를 좋아하는 돼지지만 잠자는 곳은 뽀송하게 유지해줘야 한다. 봄 가뭄이 길었던 덕에 긴장을 놓고 있었다. 내리는 비를 보고 급히 달려간 돼지우리. 돼지들은 비가 신기한지 가만히 비를 맞고 있다. 오랜만에 맞는 비는 시원하다. 


게으르다는 이미지와 달리, 돼지는 활동량이 많고 호기심이 강하다. 울타리에 들어가면 쫓아와 냄새를 맡아댔다. 장화 냄새를 맡고 다리도 툭툭 친다. 일에 집중하기 어려울 정도로 치근치근 한다. 개보다 큰 동물이 옆에 있다는 것이 흥미롭고도 낯설다. 오늘은 돼지들이 비 맞기에 젖어 있다. 한마리는 멀뚱히 서서, 한마리는 누워서, 한마리는 목을 세우고 앉아 단비를 느낀다. 덕분에 방해받지 않고 지붕을 빨리 설치할 수 있겠다. 비가림막 아래로 열기를 막아줄 덮개를 하나 더 설치한다.


겨울부터 시작됐던 긴 가뭄이다. 옛말에 큰 눈이 오면 풍년이 든다 했다. 눈이 건조한 겨울바람으로부터 땅속 수분을 지켜주는 덕분이란다. 지난 겨울엔 눈은커녕 비조차 오지 않았다. 반년 가까이 이어진 가뭄이었다. 진즉 왔어야 할 비가 오지 않아 땅은 깊게 말라갔다. 급한대로 지하수를 뽑아 물을 주지만,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것이라는 것을 사람들은 알았다. 단비를 기다린 것은 농부만이 아니었다. 나무도 벌레도 비를 기다려왔다. 물 만난 세상은 일제히 생명을 뿜어내기 시작한다. 풀도 마찬가지다. 뒤돌아보면 풀이 자라 있다. 바야흐로 풀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밭이 풀에 점령되는 것은 순식간이다. 아차 하는 순간 전선은 무너진다. 시골에서 풀밭을 만드는 것은 범죄행위로 간주된다. 풀밭은 마을 멤버십의 '예’나 ‘아니요'로만 평가되는 근면성 항목이다.


생태계의 시작에 식물이 있다. 식물은 태양광 입자를 질량이 있는 식량으로 만들어낸다. 지금은 풀의 다원적 기능이 알려지고 있지만, 농촌에서 풀은 여전히 박멸의 대상이 되곤 한다. 풀에 대한 질색은 뿌리 깊다. 주워들은 정보에 의하면, 풀이 미움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잡초가 작물의 영양을 뺏어 먹는다는 설. 또 풀은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햇볕 경쟁도 유리하다. 풀섶에 덮인 작물은 살아남지 못한다. 미운 놈 고운 데 없다고, 생긴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마을 경관 저해 요소다. 풀은 벌레를 부르고, 두더지를 부르고, 뱀을 부른다는 설도 있다. 그래서 풀을 없애야 한다고. 풀밭 주인은 마을 안위를 해치는 사람으로 간주된다. 잡초는 어마무시한 개수의 씨앗을 맺는데, 남의 풀씨가 내 밭으로 넘어올 것에 대한 우려도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 밭도 감시 대상에 들어간다. 365일 레이더를 가동하고, 서로서로 불온식물 전파자가 되지 않도록 독려한다. 집집마다 가축이 있던 시절에는 꼴로 베어다 먹였기 때문에 풀이 남아나지 않았단다. 시대가 바뀌었다. 사료로서의 효율이 떨어지고, 거두기도 번거로운 풀을 가축에게 먹이는 일은  시대에 뒤처진 행태가 되었다. 꼴 베어가는 풍경은 옛 추억이 되었다.


올해가 시작되자마자 예초기 교육을 받았다. 2행정 엔진의 매연과 소음, 진동은 지금도 싫다. 하지만 예초기를 돌리면 어떤 공무수행을 하는 기분이 든다. 마을 경관을 정리하는 이미지랄까. 마을에서 일 좀 하는 사람 대우를 받는다. 농업기술원에서 기초 수리와 관리법을 교육받았다. 사실 교육까지 받아가며 올해 예초질을 기다려온 이유는 따로 있다. 벤 풀을 돼지에게 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그동안은 예초기로 베어낸 풀이 아까웠다. 썩어서 땅으로 돌아간다지만 그래도 아쉬웠다. 이제 돼지 덕분에 한 차원 높은 쓸모가 생겼다. 


돼지가 풀을 먹는다는 사실이 처음에는 낯설었다. 풀을 먹는 동물로 주로 소를 연상한다. 소는 진화과정에서 세상 풍부한 풀을 먹이로 선택했다. 소는 4개의 ‘위’를 갖고 있다. 4개 위는 각각 다른 역할을 한다. 그중 ‘반추위’는 포유류 중 가장 진화된 형태의 소화기관이다. 섬유질을 에너지로 만들어낸다. 소는 오늘 저녁에 뭘 먹을까 고민할 필요가 없다. 세상 어디에나 있는 풀만 먹으면 된다. 소가 풀을 직접 소화하는 것은 아니다.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셀룰로오스를 당분과 탄소로 분해한다. 미생물이 만들어주는 당분을 흡수하는, 공생관계인 것이다. 최근 인간의 대장에도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비슷한 미생물이 발견됐다. 아직 연구 초기 단계지만, 우울증과 치매 같은 정신 건강과 뇌질환도 장내 미생물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채소를 많이 먹으라던 엄마 말씀이 옳았다. 자연 양돈과 양계 농가에서는 가축의 건강을 위해 풀을 먹인다. 어려서부터 풀을 먹이면 장이 길어진다는데, 장이 길어진 만큼 면역력과 소화력이 좋아진다고 한다.


미생물을 생각하며 예초기를 돌린다. 감동의 전율인지, 예초기의 거친 진동인지 모를 무아지경에 빠진다. 손수레를 가져와 벤 풀을 옮긴다. 물을 가득 머금은 여름 풀은 무겁다. 예초기를 돌린 직후라 힘도 잘 안 들어갔다. 기계 진동은 근육을 피곤하게 한다. 수레를 잡은 손이 덜덜 떨린다. 뒤뚱뒤뚱 외발 수레를 밀고 가는 와중, 뒷집 아주머니와 마주친다. "그려, 옛날엔 다 그렇게 키웠어~"라고 웃으며 말씀한다.  


하루는 돼지에게 싹이 난 감자를 줬다. 뒷집 아주머니가 싹이 나서 버린다는 걸 얻어 왔다. 감자 싹에는 솔라닌(solanine)이라는 독이 있다. 싹이 난 부위를 도려내면 문제없지만, 이 감자는 싹이 반이다. 돼지에게 먹이의 범위는 넓고, 배탈이 나는 경우는 드물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돼지는 침과 위액, 간과 신장의 기능을 진화시킨 덕에 자연에서 더 많은 영양분을 얻을 수 있었다. 또 다른 잡식 동물인 인간은 요리를 통해 자연의 독을 제거해왔다. 식문화는 누적된 경험이다. 나는 감자를 싹이 난 채 주고 싶은 호기심과 게으름에 사로잡힌다. 솔라닌에 대해 들어본 적 없는 돼지들은 마치 사과를 먹듯 감자를 맛있게 먹는다. 혹시 탈이 날까봐 두세개씩만 주고 하루 동태를 살핀다. 다음날, 똥 상태 문제 없음이다. 오케이, 나머지를 전부 쏟아준다. 동물의 건강은 보통 똥 상태로 판단한다. 


먹이에 따라 돼지 똥은 변했다. 풀만 먹는 때는 염소똥을 누었다. 자그마한 검은 똥을 초콜릿처럼 동글동글 쌌다. 토끼, 고라니, 염소 같은 초식동물의 똥이었다. 미강이 포함된 다양한 먹이를 먹으면서 똥은 노랗고 굵은 고구마 똥이 되었다. 동네 이모가 어렸을 때는 아이들의 소일거리 중 하나가 개구리 잡기였다고 한다. 한솥 삶아서 돼지에게 줬다고 한다. 장마가 왔을 때는 논까지 올라온 물고기를 잡아다가 역시 돼지에게 줬다고. 나는 돼지가 먹는 것과 먹지 않는 것을 보며 일희일비한다. 과수원에서 접과(알 굵은 열매를 위해 다른 과일은 딴다)한 새끼 사과를 모아와 돼지에게 줬다. 사람이 먹지 않는 오디와 벌레 먹은 자두를 아주 맛있게 먹었다. ”츄릅츄릅“ 동네 빵집에서 팔고 남은 빵을 가져다주었다. 비품 요구르트를 섞어주었다. 고구마 쭉정이, 상처 난 감자 같은 농부산물은 계절을 돌아가며 나왔다. 어느 날은 돼지우리에 먼저 다녀간 사람이 있었다. 무 한 무더기가 돼지 앞에 놓여 있다. 누굴까, 앞서 다녀간 이 사람은. 나와 비슷한 재미를 맛보고 있는 것 같다. 사료를 먹이면 편한데, 왜 나는 고생해가며 부산물을 먹이고 싶었을까. 


가축은 부산물을 먹어왔지만, 이제는 농산물 자체를 먹는다. 콩 꼬투리나 옥수숫대 같이 인간이 먹지 않는 부산물을 먹었는데, 지금은 동물을 위해 콩과 옥수수를 키운다. 세계 농지 83%가 동물을 먹이기 위해서 쓰인다. 주객이 전도됐다. 옥수수와 콩은 대표적인 사막화 작물이다. 표토를 사라지게 하는데, 사람으로 비유하면 표토는 지구의 피부다. 표토 없이는 농사를 지을 수가 없다. 


21세기를 맞이하며 미국 공학한림원(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이 회원을 대상으로 ‘공학이 해결해야 할 21세기의 난제(NAE GRAND CHALLENGES FOR ENGINEERING)'를 조사했다. 14대 과제 중 하나로 ‘질소 순환 관리'가 선정됐다. 질소는 생물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산업시대 이전까지 지구 생태계의 질소는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 공기 중의 질소는 미생물에서 식물로, 식물에서 동물로, 동물에서는 다시 토양과 공기로 순환했다. 그랬던 질소가 급격히 유입된 주요 원인은 질소 비료, 축산 폐기물, 자동차의 배기가스다.  


질소는 우리가 마시는 물의 오염원이다. 빗물에 의해 하천으로 흘러드는 질산염은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질소 과다의 지하수를 마시는 어린이는 청색증에 걸린다. 질소는 하천에서는 녹조를, 바다에서는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질소가 기후변화의 원인 물질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질소가 기화되면서 생기는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더 강력한 온실가스다. 


질소 유입의 주요 원인인 질소 비료 사용과 축산 폐기물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화학 비료의 많은 양은 사료 생산을 위해 쓰인다. 산업은 동물의 빠른 성장을 위해 질소질의 사료를 먹이고, 이를 먹은 동물의 분뇨에는 질소가 많이 들어 있다. 토양에 과잉 유입된 질소는 기화되어 온실가스가 된다. 


이런 내용을 접하면, 업계에서는 외양간에서 가축을 키우던 시절로 돌아가자는 말이냐고 묻는다. 그렇게 키워서는 지금처럼 먹을 수 없다고 사람들은 말한다. 대안에 대한 이야기를 막는다. 하지만 지금처럼 먹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점점 드러나고 있다. 변화가 필요하고 대안을 찾아야 하는 때이다. 

이전 13화 덧. 축산 동물의 임신과 출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