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의 토속적인 매운탕
오늘날 사람들은 고려 초에 금강 이남을 강남도(江南道)라 부른 데에서 유래된 호남과 소백산맥의 준령인 조령의 남쪽 지방을 일컫는 데서 유래한 영남지방은 익숙한 지명이다. 호남 음식과 영남 음식은 차이가 있다. 영동과 영서는 대관령을 기점으로 가른 것으로, 대관령의 동쪽을 영동이라 하고 서쪽을 영서라 부른다. 영동은 다른 이름으로 관동인데 정철의 관동별곡은 바로 그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읊은 노래이기도 하다.
문경새재를 흘러 내려오는 영강에서는 많은 먹거리들이 있다. 고모산성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한 음식점들은 영남지방의 음식점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다. 영남 매운탕은 그곳 중 한 곳이다.
하천에서 어린 잡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먹는 것을 두루치기라 하기도 하고, 매운탕 국물에 국수를 넣어 끓여 먹는 것을 제물 국수라 부르기도 했는데 두루치기, 제물 국수 모두 문경에서 맛볼 수 있는 맛이다.
매운탕을 먹을 때 가장 무난하게 먹어볼 수 있는 음식은 잡어 매운탕이다. 하나의 어종으로 만든 매운탕도 좋지만 다양한 물고기가 들어가서 다채로운 맛을 느껴볼 수 있는 잡어매운탕은 무난한 선택이다.
처음 끓일 때는 국물이 담백하지만 끓이면 끓일수록 국물이 진해지면서 걸쭉하게 되어 제맛이 나는 민물고기 매운탕은 푹 끓일수록 맛이 난다. 푹 고아내듯이 끓여낸 다음에 한 그릇 퍼서 먹으면 바닷물고기로 만든 매운탕에서 나지 않는 흙의 토속적인 맛이 우러난다.
민물매운탕이 맛이 좋기 위해서는 민물 생선은 세척이 중요하며 생선의 점액질을 얼마나 제거하느냐가 관건인데 생물을 써야 매운탕으로 끓일 때 시원하고 담백한 데다가 고기 자체 육질이 부드럽게 된다.
모든 음식은 좋은 식재료에 정성이 들어가야 맛이 좋다. 무조건 좋은 식재료가 들어가면 맛이 좋은 것이 아니라 사람이 이 음식을 먹고 어떤 맛을 느낄지 상상하면서 정성스러워진다면 자연스럽게 맛이 좋다.
영남 매운탕집에서는 오래전 사용했던 물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필수품은 시간이 지나고 시대가 변하면 바뀌기 마련이다. 必 (반드시 필), 需 (쓰일 수), 品 (물건 품)이 시대에 따라 변하듯이 우리가 주식으로 먹는 음식들도 시대에 따라 변한다. 민물매운탕은 주식은 아니지만 문경새재에 가면 맛볼 수 있는 특별한 맛 중에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