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on Jun 27. 2024

낯선 사람들, 서툰 시작

중증장애우라 명명된 사람을 만났습니다


 사람들 시선이 내쪽으로 모이면 레이저를 맞는 기분이 든다. 그렇지만 초짜처럼 보이고 싶지 않아 수업 전 '무대에 선 희극배우'라 상상하며 잠시 나를 버린다. 집에 오는 길에 사탕이나 초콜릿을 입에 넣고 나면 그제야 긴장이 확 풀린다. 몇 년째 그림책 수업을 하고 있지만 편하게 내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날이 과연 올까 싶다. 그렇게 '내가 뭐라고'를 버릇처럼 내뱉다가 지역 발달장애인주간보호센터에서 수업을 하되었다. 어쭙잖은 책임감과 호기심 때문이었다.


 중증장애인 논문과 교육 이론서를 찾아 공부하고 미리 건네받은 수강생 정보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특수교사 윤상원 님의 '누구를 위해 특수교육은 존재하는가'에서 그들을 장애우가 아닌 '장애우라 명명된 사람'으로 지칭해야 한다는 구절을  단어 안에 박힌 편견을 반성했다. 혹시 모를 말실수에 대비해 어떤 이야기를 할지 원고까지 만들어 연습했다. 그러나 몇 달간의 고민과 다짐은 수업 첫날 흔적도 없이 날아갔다. 몇 초간 머릿속이 하얗게 변했다.

 내가 맡은 반은 신체장애나 지적장애, 자폐, 강박과 의사소통장애를 함께 갖고 있는 중복장애인이라 명명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발화 자체가 가능한 학생은 둘 정도 있었지만 대화가 두 마디를 넘어가지 못했다. 열몇 명 중 내 눈을 마주쳐 주는 이는 한 사람뿐이었다. 나를 봐주지 않으니 더 난감하다. 소통, 성장, 보람 이런 것을 바랄 수 없겠구나. 내가 여기서 무엇을 가르쳐 줄 있을까. 머리가 저렸다.


 딱! 뇌 전구에 불이 들어온다. 내 몸은 수업을 끝냈선생님들과 다시 정식으로 인사를 나누며 필요한 것을 여쭈었다. 교실 입구 벽에 학생 사진과 이름이 붙어 있어 허락을 맡고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었다. 빨리 얼굴과 이름을 익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센터 문을 나서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면 이런 기분일까 싶었다. 기분이 이상했다. 길 위의 세상이 이전과 다르게 보인다. 이런 기분이 드는 자체가 미안했다. 아직 추운 2월인데도 땀이 났다. 집에 도착해서도 30분간 멍하니 앉아 있었다.


  다시 노트북을 다. 오늘 수업 내용을 간단히 적고 학생의 이름과 특징을 입력했다.



<그림책 추천>

*위를 봐요/정진호 글그림/현암주니어/2014.2.25

*뛰어라 메뚜기/다시마 세이조 글그림/정근 옮김/보림/2000.1.31

*물결 속에서/메리첼 마르티 글, 사비에르 살로모 그림/최문영 옮김/봄의정원/2020.8.25

*바다까지, 다섯 블록/가브리엘라 미르사 글, 알리시아 발라단 그림/유지연 옮김/현암주니어/2023.2.25

*아빠, 미안해하지 마세요!/홍나리 글그림/미디어창비/2024.4.20

*누나에겐 혼자만의 세상이 있어/마르코 베레토니 카라라 글, 치아라 카레르 그림/주효숙 옮김/한울림스페셜/2017.2.14

이전 10화 서로의 품위를 지키는 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