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만의한국사 Jan 07. 2021

현실과 명분, 그 갈림길의 역사

<남한산성>의 최명길과 김상헌, 경순왕과 마의태자

<남한산성>

지난밤 폭설이 내렸다. 하얀 눈으로 뒤덮인 풍경을 볼 때면 영화 <남한산성>을 떠올린다. 영화 속에서 설국의 풍경은 병자호란 시기를 더욱 혹독하게 보이게 했고, 최명길(이병헌)과 김상헌(김윤석)의 대립을 보다 장엄하게 느끼게끔 만들었다. 


명나라를 몰아내고 새로 중국의 주인이 될 청나라와 화친을 맺어야 한다는 최명길의 현실론과 임진왜란 때 우리를 도와준 명나라와의 의리를 지키고 오랑캐인 청과 싸워야 한다는 김상헌의 명분론이 부딪쳤다. 두 주인공에 대해 당신은 어떤 평가를 내리겠는가. 


현실론과 명분론의 우열을 가르는 기준은 백성(국민)이다. 백성이 잘 사는 게 기준이라면 현실론이 유리한 입장에 서기 마련이다. 현실은 가까이 있고 명분은 멀리 있기 때문이다. 


신라가 멸망할 때 경순왕과 마의태자는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눈다. 


 경순왕 왈

"외롭고 위태로움이 이와 같으니 형세를 보전할 수가 없다. 이미 강해질 수도 없고 더 약해질 것도 없으니 죄 없는 백성으로 하여금 간과 뇌를 땅에 바르도록 하는 것은 내가 차마 할 수 없는 바이다." 
마의태자 왈,

"나라가 존속하고 망함에는 반드시 하늘의 명이 있습니다. 단지 충성스러운 신하와 의로운 선비들과 더불어 합심하여 백성의 마음을 한데 모아 스스로 지키다가 힘이 다한 이후에 그만둘 일이지, 어찌 천년 사직을 하루아침에 가볍게 남에게 줄 수 있겠습니까."


후대의 역사가는 경순왕의 현실론에 손을 들어주었다. 고려의 공양왕이 조선에, 조선의 순종이 일본에 나라를 넘길 때도 경순왕과 같은 전철을 밟았다. 반면 고조선의 우거왕은 명분론을 택하고 나라와 함께 생을 마쳤다. 


현실과 명분, 어느 길을 취할지 어려운 일이다. 분명한 것은 현실과 명분 어느 쪽이든 그것 자체로 끝나지 않고 역사가 된다는 것이다. 수나라와 당나라를 물리쳤던 고구려를 기억하고 있는 원나라는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가 항복하자 그에 대한 대우를 해주었다. 청은 옛날 고려가 원나라에 항복하고 조공을 바친 것에 빗대어 왜 자기 나라에 조공을 바치지 않느냐 하며, 조선의 왕에게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삼배구고두례'를 행하게 했다.


최명길과 김상헌은 그들이 갈 길을 갔다. 그들의 후계자가 역사를 어떻게 이끌고 나갔느냐로 우리는 그들을 평가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가 평가받을 때다. 현실과 명분, 그 어느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길을 가든 '국민'과 '역사'에 떳떳해야 한다. 



*본 글은 조경철 <나만의 한국사> 책 일부를 토대로 재편집했습니다.

브런치에 연재되는 글은 오랫동안 한국사를 공부하고 가르친 역사학자 '명협 조경철'이 쓰고, 영화 에디터(기자) 출신 편집자가 현대적인 시선을 담아 재편집, 업로드합니다.


* 필진 소개


_명협 조경철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나와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연세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2013년 한국연구재단에서 조사한 인용지수 한국사 분야에서 2위를 했다. '나라이름역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고자 노력 중이다.  


_편집자 부

대학에서 미디어문예창작학과를 전공했으며, 매체에서 영화 기자로 근무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관점으로 한국사를 쉽고 흥미롭게 편집해 업로드할 예정이다. 트위터 '한국의 맛과 멋' 계정을 운영 중이다.


'나만의 한국사 편지' 뉴스레터 신청하기 >>


'나만의 한국사'의 다른 글 읽기


매거진의 이전글 단군신화 속 호랑이를 위한 변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