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아빠 나, 삼각관계의 희생양
“저는 왜 이렇게 마음이 답답한지 몰랐어요. 왜 이렇게 무기력하고, 옴짝달싹 아무것도 못할 것 같고 정신적으로 힘든지. 나약해서 그런 걸까. 단지 아빠가 악마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왜 이런 아빠를 만났을까. 그래서 정말 죽이고 싶을 정도로 아빠가 미웠는데…….”
정신적으로 피폐해져서 상담실을 찾아왔지만 자녀들은 처음엔 무엇 때문에 힘든지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오로지 아빠를 향한 분노 때문이라고 생각했지만 상담을 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로 엄마의 감정은 받아내야 하고, 변하지 않는 상황 속에 갇혀 있던 자녀들의 고통이 차곡차곡 쌓인 결과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 집에 있지만 어렸을 때부터 아빠와의 관계는 단절된 상태였습니다. 아빠의 존재가 필요했던 적도 있었지만 엄마를 생각하면 아빠와는 결코 가까워질 수 없었습니다.
“저는 애들 생각해서 이혼할 수는 없어요. 저만 참고 이해하면 돼요.”
“엄마가 이혼하기를 어렸을 때부터 바랐어. 정말이야. 우리는 원하는 일이야. 그렇게 불행한데 왜 그러고 사는 거야. 왜 우리 때문이라고 하는 거야.”
자녀를 사랑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자녀들을 옭아매는 엄마. 그리고 자녀들에게 큰 고통을 주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엄마였습니다.
삼각관계로 일어나는 문제들
엄마와 자녀의 갈등 중에서 삼각관계의 역동으로 인한 문제들을 많이 봅니다. 자녀나 타인을 끌어들여 불안한 부부관계를 안정시키려고 하는 관계 유형을 보웬은 삼각관계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삼각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불안입니다. 불안한 마음이 클수록 사람들은 삼각관계를 통해 이 감정에 대처하려 하고 정서적으로 미분화된 부모는 미분화에서 오는 불안을 자녀와 이룬 삼각관계를 통해 해소하려고 합니다.
부부관계가 나빠서 가족이 멀어질 때 가장 큰 피해자는 자녀입니다. 자녀들은 이러한 삼각관계에서 깊은 심리적인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엄마의 편이 된 자녀는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 불안해지고 아빠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갖기 어렵습니다. 오랫동안 엄마와 형성한 관계에서 엄마가 원하는 감정을 느끼고 생각해야 한다는 충성심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엄마와 자녀는 개별적인 존재입니다. 부부로서는 좋은 인연이 아니나, 아빠의 존재는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이것이 자녀들에게 얼마나 큰 상처를 주는지 부모는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를 위해 다시 찾는 기억들
자녀들은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엄마 마음속, 아빠 마음속에 숨어 있는 마음들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엄마의 입장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시선으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아, 그랬구나.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다가 아니었구나’ 하고 그 마음이 재발견되면 그제야 자신을 괴롭혀왔던 상처와 화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발견들이 차곡차곡 내면에 채워지면서 좋은 자존감을 만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이후에 배우자, 자녀와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오래된 상처를 뒤덮을 만큼 과거의 기억에서 자신과 맞닿고, 원하는 이미지를 찾아 새로운 발견을 하는 것이 치유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감정을 반복적으로 느끼면 그에 따라 뇌 구조가 개선되고 긍정 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됩니다.
인간의 마음이 그렇습니다. 이런 마음이 뇌를 움직이고, 참으로 묘하고 강한 회복력을 발휘하게 합니다. 간절히 소망하는, 새로운 이미지를 떠올리는 경험을 반복할수록 그것은 새로운 자신의 내면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