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이라 쓰고 그림자금융이라 읽는다.
2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주택 시총은 6839조 212억 원으로 전년(6957조 3929억 원) 대비 118조 3717억 원(-1.7%) 줄었다. 주택 시총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도 3.0에서 2.8로 하락했다. 주택 시총은 국내 모든 주거용 건물 가액과 해당 건물의 부속토지 시가를 더한 가격을 영구재고법으로 추계한 결과다. 주택시총은 2년 연속 감소세다. 주택 시총은 지난 2021년 7243조 7057억 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이후 2022년에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 286조 원 3128억 원(-4.0%) 줄었다. 2021년과 비교하면 지난해 말 주택 시총은 2년 동안 무려 404조 6935억 원(5.6%) 감소했다. - 주택시총 404조 증발, 집값 바닥론 고개, 2024.7.22, 머니투데이
한국은행이 오늘(13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0조 3,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2조 원 늘었습니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1,100조 원을 넘긴 것은 2021년 2월 1,000조 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으로, 11개월 연속 불어나는 추세입니다.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860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 지난달 은행 주담대 4.7조↑…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축소, 2014.3.13, KBS뉴스
박상현·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8일 발표한 ‘빚 청구서가 날아오고 있다’ 보고서를 통해 기존 가계부채 국제통계에 집계되지 않는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35.3%로 추산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말 전세보증금을 합친 전체 가계부채 규모 2925조 3000억 원을 기준으로 한 수치다. 여기엔 가계부채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전세보증금 1058조 3000억 원이 포함돼 있다. - 통계 안 잡히는 전세보증금, 가계대출에 넣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조지원의 BOK리포트], 2023.8.30, 서울경제
2008~2023.10까지 정권별로 국내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 현황을 분석했다. 이명박 정부 임기초에는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0.3조였는데, 임기말에는 6.1조가 늘어 6.4조가 됐다. 박근혜 정부 동안에는 29.6조가 늘어 36조가 됐으며, 문재인 정부 때 126조가 늘어 162조가 됐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022년경 전세자금대출은 170.5조까지 늘어났는데 2023년 10월까지 줄어들어 161.4조가 됐다. - 전세자금대출 실태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 2024.3.20, 경실련
서울 강서구와 관악구 일대에서 무자본 갭투자 수법으로 800억 원 규모의 보증금을 가로챈 ‘세 모녀 전세사기’ 사건의 주범 김 아무개 씨가 사기죄의 법정 최고형을 선고받았다. 1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26단독 최민혜 판사는 사기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씨에게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김씨는 2017년부터 두딸 명의로 수도권 빌라 500여채를 사들이는 무자본 갭투자로 세입자 355명으로부터 800억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았다. 세 모녀 전세사기는 무자본 갭투자를 이용한 전세사기의 심각성을 처음 알린 사건이다. 김씨와 분양대행업체는 빌라 건축주에게 지급할 집값(실매매가)에 자신들이 챙길 리베이트를 더해 분양가를 책정한 뒤, 중저가 주거공간이 필요한 20·30세대 신혼부부 등에게 분양가와 동일한 금액의 전세 보증금을 받고 임대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씨는 피해자들의 보증금으로 건축주에게 집값을 지불하고 빌라 소유권을 취득했고, 분양대행업체는 수억원의 리베이트를 챙기는 방식이다. 집값이 전세 보증금보다 낮은 ‘깡통전세’가 발생하다 보니 계약 기간이 끝나도 피해자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었다. - ‘세 모녀 전세사기’ 모친 징역 15년…법정 최고형, 2024.6.12, 한겨레
현재 정부는 19일까지의 티메프 관련 판매금 미정산액이 약 8188억 원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정산 기한이 남은 판매금을 감안하면 이 금액은 앞으로 5000억 원 가까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최종 미정산액은 1조 3000억 원 내외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티메프’ 미정산액, 1.3조 예상…정부, 구제 자금 1.6조로 확대, 2024.8.21, 동아일보
신규 개발 및 건설은 집값 변동을 줄여준다. 주택 신규 공급 능력이 수요를 충족하기 때문이다. 주택 공급이 제한되면 가격 폭등이 더욱 심해진다. 더 크고 파괴적인 주택 가격 거품은 내부자들의 신규 주택 건설을 억제하는 데서 비롯된 또 다른 부작용이다. - 도시의 생존, 에드워드 글레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