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전략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쟁력 창출
민간 부문에서 처음 도입되고 활용되었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이후 공공부문으로 확산되어 최근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주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공공기관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기존 전통적 인적자원관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와 달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인적자본의 육성, 능력개발, 권한부여, 자율성 확대 등을 조직전략과 연계하여 조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인사혁신처의 인력관리 계획 수립은 2005년부터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각 부처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실현하는 차원에서「공무원임용령」제8조, 제34조와 「공무원임용시험령」제3조, 제42조 등 근거조항마련을 통해 시행되었습니다.
이 계획은 부처별 비전 및 전략목표에 따라 현재 보유인력의 수준과 미래 요구 수준 간 차이 분석을 토대로 조직 내 인적자본을 적재·적소·적시에 확보·활용하기 위해 수립하는 전략적인 중장기 계획입니다.
각 부처는 국정과제, 행정수요 변화, 자체 조직진단 결과 등을 반영하여 5년 간의 자체 중기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소요 정원과 직접 연계되도록 구성하여 행정안전부에 제출합니다. 행정안전부는 각 부처의 자체 중기 인력운영계획을 검토하여, 국가공무원 인력의 전략적이고 중장기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국정철학, 국가 인력 배분 우선순위, 주요 행정수요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5년 간의 정부 중기 인력운영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중기 인력운영계획은「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제30조에 근거하여 시행되며, 이를 통해 5개년 단위의 총 정원 변동(증감) 예측 및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매년 정부 인력을 관리합니다.
앞서 언급한 인사혁신처의 인력관리계획 수립이 조직 내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중장기 계획이라면, 행정안전부의 중장기 인력운영계획은 조직 정원과 관련된 중장기 계획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두 기관은 서로 연계하여 국가 공무원 인력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 의견수렴 등을 거쳐 「공공 기관 인력운영 효율화 방안」과 「공기업ㆍ준정부기관의 경영에 관한 지침」을 개정하여 모든 공공기관에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을 의무화하였습니다. 해당 정책은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대상으로 2020년 시범 실시되었고, 기타 공공기관까지 포함하는 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는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공공 기관 인력운영 효율화 방안」과 「공기업ㆍ준정부기관의 경영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340개 전체 공공기관은 중장기 경영목표, 사업계획, 경영환경 등과 연계하여 3년 단위 인력수요전망 및 운영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매년 2월 말까지 주무부처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기획재정부에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3년간 매년 정원 증가율이 공공기관 전체 평균 증가율의 200% 이상이거나 경영평가 점수 중 「조직ㆍ인사 일반」 지표가 D0 이하인 기관의 경우, 인력운영의 비효율성이 우려되므로 조직진단을 의무화하고 인력운영 전반에 대해 점검하도록 규정하였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매년 7월까지 정기공시 및 경영평가 결과 등을 토대로 조직진단 의무 대상기관을 선정ㆍ통보하며, 조직진단을 수행한 기관은 그 결과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하고 해당 내용을 차년도 중기인력운영계획 등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중기인력운영계획 제도를 통해 각 공공기관은 경영목표, 사업계획, 경영환경과 연계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기획재정부는 거시적 공공기관 인력 정책 수립 및 집행 과정에서 해당 계획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인적자원관리의 전략적 측면은 조직의 장기적인 목표와 비전에 따라 인력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직의 운영 전략을 더욱 강화시키고,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적용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부의 문화 변화와 함께 전문적인 인적자원 관리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전문가의 역할이 큽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조직과 공공기관은 인적자원 관리 전문가를 확보하고, 관련 교육과 역량 강화를 추진하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성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대현, (2021), "공공기관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문준, (202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5(1), pp.21-33
김영규, (202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문화 정합성이 조직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대현, (2021), "공공기관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나병선, (2012), "공공기관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은혜, (2019),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제도의 영향 연구 - AMO Model과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계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재훈, & 김준성. (200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SHRM)의 이론과 실천: 한국기업의 SHRM 방향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6(3).
차오지엔, (201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윤직, 박성민, 조문석, (2016), "미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앙인사관장기관 발전방안", 한국인사행정학회 보고서
기획재정부, (2020), "공공기관 인력운영 효율화를 위한 3대 핵심과제 추진 - 중기인력운영계획, 재배치계획, 외부 조직진단 -", (6월 8일 자)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인력관리계획", https://www.mpm.go.kr/mpm/info/infoBiz/bizHr02/, 2023년 4월 1일 접속
행정안전부, (2022), "2022년 정부조직관리지침", (3월 3일 자)
Dyer, L. (1983). Bringing human resources into the strategy formulation process. Human Resource Management (pre-1986), 22(3), 257.
Rogers, E. W., & Wright, P. M. (1998). Measur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blems, prospects and performance information market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8(3), 311-331.
Schuler, R.S., & Walker, J.W. (1990). Human resources strategy: focusing on issues and actions. Organizacional Dynamics, 19(1), 4-20
Schuler, R.S. (1992)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Linking People with the Needs of Business. Organizational Dynamics, 21, 18-32.
Thompson, J.D.(1967). Organizations in action: Social science bases of administrative theory. New York: McGraw-Hill.
Wright, P. M., & Snell, S. A. (1991). Toward an integrative view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3), 203-225.
Wright, P. M., & McMahan, G. C. (1992).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18(2), 295–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