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Road Movie 19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작가 Aug 16. 2022

동남아의 마지막 미소

양곤

 둘째 날이 지나 셋째 날이다. 동행한 친구가 내게 의심할 여지없이 편한 파트너라서 그런지 시간이 더 빠르게 느껴지는 것 같다.


 구름이 꼈으나 환한 태양과 습한 공기 속에서 본 미얀마 양곤의 첫인상은, 널찍하고 조금 더 정돈된 마닐라 같았다. 친구와 붙어 다니기 때문에 사람들과 긴 대화를 해볼 순 없어 ‘동남아의 마지막 미소’라 불리는 이들의 선함을 깊이 느끼지는 못했지만 도시 사람들임에도 순박하다는 인상이 드는 건 확실하다. 무려 호텔에 예약해둔 애프터눈 티 시간이 아직 한참 남았는데도 들어가 앉아 기다릴 수 있게 해주는 너그러움이라든지, 이방인인 우리에게 배타적이거나 퉁명스럽기보다 눈을 마주치면 쉬이 미소를 보여주는 것을 보니 그들의 선함이 기질에 가깝다는 느낌이 든다. 지나친 특가에 기대 반 의심반으로 예약한 호텔 역시 기대 그 이상. 도시에서도 번잡하지 않은 곳에 푸르른 정원까지 갖추어 말 그대로 휴가를 갖는 기분이다.


 또한 오래되어 색이 벗겨진 건물들은 마치 쿠바를 보는 것 같다. 쿠바보다 정돈된 느낌이지만 색이 바래다 못해 거뭇한 자욱들이 지저분하게 건물 전체에 무작위로 그어져 있는 게 꼭 그렇다. 영국 친구 제이슨의 말마따나 한국의 자동차들은 대부분 희고 검거나 회색인데, 여긴 대부분이 희다. 더 단순하다는 걸까, 더 튀는 게 싫은 사람들인 걸까. 이런 짤막한 소감들의 끝에 무엇이 남을지 자못 기대가 된다.

이전 18화 눈물의 배웅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