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숨고 Soomgo Mar 08. 2018

마인드 맵 구조화를 통한 스피치, 복주환 생각정리스킬

숨고X고수 취업 101 프로젝트: 스피치 컨설팅 복주환 고수 -2

마지막 컨설팅은 네이버 자기계발 분야 1위 '생각정리스킬' 저자 생각정리 스피치 컨설팅 전문가 복주환 고수의 교육 시간이었습니다. 교육 시작과 동시에 질문을 많이 하는 법에 대해 설명하셨습니다. 다음으로 많은 질문을 어떻게 구조화하여 생각과 말을 구성할지 설명해주셨습니다.


숨고X고수 취업101은 취업준비가 어려운 취준생을 위해 숨고 고수님들이 준비한 재능기부 사회공헌 프로젝트입니다.

복주환 고수의  편 -2-


복주환 고수 숨고의 스피치 컨설팅 고수, (현) 생각정리연구소 대표, 네이버 자기계발분야 1위 베스트셀러 '생각정리스킬' 저자, 이스트소프트 '알마인드' 공인강사 1호, 삼성전자, 현대, 포스코, 외교부, 교육부, 서울대, 연세대 등 연 250회 이상 강의와 컨설팅,(전) EBS 교육방송 진행자, 온오프믹스 3년간 베스트 강의


숨고X고수 프로젝트: 취업 101

두 번째,
마인드맵 구조화를 통한 스피치



숨고에서 고수님들과 함께 콜라보를 통해 제공한 취업컨설팅 행사 '취업 101'은 이미지, 자소서, 스피치 총 3개의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복주환 고수님은 '생각 정리'라는 자기계발 분야의 일인자로, 끊임없이 연구하고 강의하는 강사님입니다. 처음 질문을 많이 생각해내는 내기와 그 비법을 다룬 뒤 왜 많은 질문을 생각해내야 하나, 그리고 이를 구조화해서 어떻게 말을 할지에 대해 설명하셨습니다.


 브레인스토밍의 4대 원칙 중 1개 '질보다 양'

복주환 고수님은 질문을 많이 생각해내는 방법을 다루고 한 참가자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많은 질문보다는 필요한 핵심 질문이 더 중요하지 않나요?'

이에 복주환 고수님은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질보다 양'이 중요한 점을 강조하셨습니다. 생각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질문을 통해 마인드맵을 도출하고 이를 정리해 핵심 질문을 추려내는 과정이 올바르다고 설명했습니다.

'좋은 질문은 상황과 목적에 맞아야 한다. 그전에 많은 질문을 생각해야 한다.'


마인드맵을 구조화하기

복주환 고수님은 알마인드의 공인 강사답게 컴퓨터로 마인드맵을 효율적으로 그릴 알마인드를 간단히 소개했습니다. 마인드맵을 통해 여러 가지를 치고 하위 구조, 세부 내용으로 뻗어 나갔습니다.

그리고 티브이에 나왔던 마인드맵을 통한 국사 공부를 예로 들며 마인드맵의 가지를 보고 구조화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고 했습니다.
구조화의 순서는 중심 토픽-주요 토픽-하위 토픽입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을 두고 마인드맵과 자문자답을 통해 공부한다고 하면, 중심 토픽은 세종 대왕. 주요 토픽은 정치, 문화, 사회, 전쟁, 과학 등입니다. 그 하위 토픽은 집현전, 태종, 훈민정음, 장영실 등 다양하게 뻗어 나와 발견한 것들입니다.



마인드맵을 연결하는 방법

마인드맵은 분류 가지끼리 육하원칙으로 연결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중심 토픽 - 주요 토픽 -하위 토픽이 있다면

1. 자문자답, 질문과 답을 둘 다 생각합니다.
2. 구체화. 그리고 추가 질문을 통해 더 세부적으로 들어갑니다.

이 과정을 통해 추상적인 질문과 답을 구체화시키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 - 한글 - 훈민정음 - 집현전으로 나왔다고 하죠. 도출하는 과정은 이렇습니다.
세종대왕은 문화적 유산이 뭐가 있을까? 한글
한글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훈민정음, 백성을 불쌍히 여겨
그러면 훈민정음은 누가 만들었나? 세종대왕과 집현전
집현전은 누군가? 사육신 -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음

추가로 질문을 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왜 백성을 불쌍히 여기고 백성을 위한 문자를 만들었나?
언어를 모르기 때문이다. 언어를 왜 알아야 하나? 농사를 잘 짓기 위해서. 그 근거로 농사직설을 편찬했다.

위의 자문자답 그리고 구체화 과정을 거치면서 단순한 세종대왕이라는 중심 토픽이 구체화되면서 세부적으로 파고든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인드맵 구조화와 말을 잘하는 법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

마인드맵을 기반으로 말을 한다면 명료하고 구체적이며 확실한 언어와 생각을 기반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중심 토픽을 말하세요. 2. 주요 토픽을 말하세요. 3. 하위 토픽을 말하세요.
그리고 각 분류는 3가지로 나눠서 말하는 것이 더욱 논리적인 인상을 줍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을 두고 설명하는 말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인드맵 구조화 기반 스피치)
'지금부터 세종대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종대왕의 업적을 크게 문화, 정치, 과학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저는 그중 문화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종대왕의 가장 큰 문화적 업적은 바로 한글을 만들었다는 점인데요. 한글을 왜 만들었을까요? 바로 백성을 불쌍히 여겨서입니다. 문자를 모르는 백성들이 불편을 겪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집현전 학자들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한글을 기반으로 세종대왕은 농사직설, 용비어천가 등 농사와 국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장려했습니다. 이는 세종대왕의 애민사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업적 중 하나입니다.'



논리적인 스피치는 왜 중요한가?

자문자답과 구체화를 통해 마인드맵을 그리고 가지를 엮으면 훨씬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말과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면접뿐만 아니라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생각 과정입니다. 복주환 고수님은 참가자들을 2명씩 짝지어 서로 상대방의 3가지 장점(주요 토픽)을 쓰고, 질문을 통해 마인드맵을 그려보는 과제를 냈습니다. 이 내용은 다음 콘텐츠에서 다루겠습니다.





혹시 취업을 위해 고수에게 스피치/면접 컨설팅을 받고 싶으신가요?
지금 바로 숨고에서 신청해보세요. 총 400명의 컨설턴트가 활동하고 있습니다.


⚡ 숨고에서 스피치 컨설팅 신청하기



숨고X고수 취업 컨설팅 프로젝트: 취업 101 시리즈

#1 김주미 고수의 이미지메이킹 컨설팅 편
1. 면접 합격을 부르는 인상(표정)과 자세 갖추기
2. 이미지메이킹 Before & After 남/여
3. 질의응답(QnA): 세미 정장의 기준, 신뢰감 주는 목소리, 차가운 무표정

#2 조규림 고수의 취업컨설팅 편
1. 주로 범하는 이력서 실수 유형

2. 자기소개서 작성법, 지원자 경험 관련 질문 답하는 비법
3. 자유 형식 자소서 작성법 및 자소서 관리 요령

4. 주요 압박 면접 질문 대응법 'Yes, but 화법'

5. 자소서 피드백 Before & After (1) 경영지원(회계)
6. 자소서 피드백 Before & After (2) 00식품 온오프라인 홍보 직무


#3 복주환 고수의 생각정리 스피치 컨설팅 편
1. 생각 잘 하고 질문 잘 하는 법
2. 마인드맵 논리 구조화 및 이를 통한 스피치

3. 질문을 통해 취업 면접 준비 및 자기 강점 발굴하기


⚡ 숨고 스피치 컨설팅 복주환 고수 프로필 보러가기


매거진의 이전글 복주환 고수가 전하는 생각 잘하고, 질문 잘하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