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점점 느슨해지는 일과가 있는데, 강아지와 아침 산책하는 시간이다. 원래 오전 7시나 해 뜰 무렵에 하루 2번, 한 번에 못 해도 30분씩은 했던 것인데, 몸이 조금씩 무거워지고 졸음이 쏟아지면서 어느 날에는 10시에도 일어나고, 11시에도 일어나며 그렇게 되었다. 그럼에도 강아지는 불평 없이 '그런가 보다'하며 산책 가자는 내 말을 그렇게나 반겨주고, 나가서는 '끙-'하며 엉덩이에 힘을 준다.
바쁘게 걷지 않는다. 멀리 가려 애쓰지 않는다. 이레 전부터 아파트 앞 화단에 노란 꽃망울이 맺히는가 싶더니 산수유가 그득하게 나뭇가지를 차지하고 앉았다. 미세먼지 가득한 누런 공기 속에서도 밝은 노란색은 그 만의 생명력을 보여주는 것처럼 생기 있게 빛났다.
사흘 전부터는 목련 나무에 꽃봉오리가 맺히기 시작했다. 어제 한 그루에 꽃이 피어나 탐스럽더니, 오늘 산책에서는 두 그루가 제 꽃을 피워냈다. 내가 눈도 못 뜨고 있을 사이, 부지런히 내린 비를 맞아 처져 있었지만 이제 새로 피워낸 그 꽃은 향기를 내뿜어냈다. (목련 향기를 참으로 좋아한다.)
규칙 있는 게으름
대단지는 아니고 소단지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아파트 내 걸어 다니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강아지를 데리고 안전하게 산책하기가 꽤 괜찮다. 나처럼 좀 더 늦게 나오면 다행인지 대문자 I성향의 강아지에 맞춰 단독 산책을 즐길 수 있다. 단지를 빙 둘러 걸으면 1 천보를 완성할 수 있다.
공원은 좀 걷고 싶을 때 선택하는 코스다.(이마저도 강아지의 협조가 없으면 할 수 없다.) 공원을 둘러 트래킹 코스가 되어 있고, 앉을 수 있는 벤치와 할아버지들이 애용하는 운동기구가 놓여있고, 코딱지만 한 공원에 글쎄 정자가 3개나 된다. 두 개의 공원이 붙어있는 꼴을 취하고 있는데, 이 공원 중 하나는 요즘 유행하는 황톳길까지 야무지게 만들어놓았다. (겨울 동안에는 지푸라기를 덮어 사용하지 못하게 했는데, 날이 풀리고 어느 날 가보니 붉은 황톳길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이곳을 한 바퀴 휙 둘러오면, 2천 보를 채울 수 있다.
제대로 마음먹은 날이라면 선택하는 코스가 있다. 이걸 선택하는 날은 뭔가 새로운 다짐을 했거나 모자를 제대로 갖춰 썼거나, 강아지 진을 좀 빼놔야 할 경우에 선택한다. 우리 집에서 바로 내려가는 천변도로다. 물론 조금 길을 둘러 내려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한데, 갈대가 우거진 천변을 걸을 수 있다는 점- 마치 한강뷰 아파트의 장점을 조금 옮겨온 느낌마저 든다. (가성비다.) 아직 겨울만을 지내보았으나, 집 앞 천에는 황새와 청둥오리가 산다. 얼지 않는 이 천에서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 건지, 절대 이 자리를 뜨지 않고 산다. 이들을 보며 걸음을 옮기자면, 집에 와서 3천 보가 훌쩍 넘어 있다.
이 길의 단점이라 하면, 강아지 산책하는 사람들이 똥 봉투를 안 챙겨 다니는 사람이 많아서 강아지가 몇 걸음 걷고 남의 똥 냄새 맡는 광경을 구경하는 일이 잦다는 거다. 몇십 봉에 천 원짜리가 아까워 똥을 그대로 두고 가다니, 인성이 참으로 꼴불견이다.
주말은 특별하게 산으로 산으로
주말에 가장 좋은 것은 아무래도 산행이었다. 크게 무리되지 않는 선에서라면 괜찮지 않을까 싶어 최근 소요산이며, 설악산이며 이곳저곳을 누볐다.
그 결과, 어느 산에 건 초입은 생각보다 걸을 만하다는 것과 임신부라고 해서 체력이 재활용 불가능한 쓰레기 수준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설악산에 다녀왔다고 하면 다들 깜짝 놀라는데, 내가 간 곳은 울산바위 코스였고, 울산바위 코스가 아닌 의상대 방향을 택했더라면 난이도를 좀 더 하향하였을 수 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산 이야기를 하자니, 남녘에 화마가 사그라들지 않는 암울한 상황이 떠오른다. 부디 적은 비라도 진화에 도움이 되기를.
+) 최근 블로그에 에세이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 글은 하루 전날 쓴 글(https://m.blog.naver.com/kwakdhwa/223811443018)를 조금 각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