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SH Dec 07. 2021

남자는 애 아니면 개일까?

#PSH독서브런치084

사진 = Pixabay


'남자와 여자는 서로 다르게 길러지기 때문에 다른 것이다'는 말을 믿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

남자아이에게 로봇 장난감을 쥐어주고, 여자 아이에게 인형을 쥐어주었기 때문에 즉, 사회화 과정에서 '남자는 이래야 하고, 여자는 저래야 한다'는 교육 때문에 남녀 성향 차이가 발생했다는 가설이 그럴듯하게 들렸거든요.

.

성별을 떠나 어떤 사람의 성향을 결정짓는 데에는 사회화 과정이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고, 때에 따라 누군가에겐 (특히 성역할을 강요하는) 사회화 과정이 억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저는 사회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남자와 여자의 일반적인 성향 차이는 분명 존재하고 그 차이는 남녀의 서로 다른 번식 전략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해요.

.

그런 측면에서 남자의 일반적인 성향을 기술하는 사회 통념들이 흥미로웠습니다.

.

'남자는 나이 먹어도 철이 안 든다', '남자는 다 늑대다', '남자는 다 거기서 거기다' 심지어 '남자는 애 아니면 개'라는 말도 있습니다.

.

특히 '남자는 애 아니면 개'라는 말이 흥미로운데 이 말은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

1) 남자의 성향을 담담하게 기술한 말일 수도 있지만, 2) 남자를 비하하는 표현일 수 있으니까요.



1. 성욕수준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에 기인한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이 호르몬이 10배쯤 더 많다. ...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가진 남성들은 다른 이들에 비해 싸움을 더 많이 한다. 이들은 위험을 부담하는 기회를 노리고 보다 열심히 경쟁한다. 이들은 차분히 있지 못하고 호기심 때문에 스릴 넘치는 새로운 경험을 찾는 경향이 더 강하다. ... 지구상에 존재했던 대부분의 남성들은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하지 못했다. 이 낮은 번식 성공률은 각 남성 개체들의 입장에서 굉장히 불리하다. 번식에 성공하기 위해 남성은 이에 대한 동기가 충만해야 한다. 이는 끈질기게 섹스를 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들은 번식의 가능성이 있다면 어떤 기회라도 잡아야 한다. 또한 정상에 오르기 위해서라면 어떠한 어렵고 위험한 길도 마다하지 않고, 위험을 감당하며 싸워 쟁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올라간 정상에서는 여성들이 미소로 반길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상에 오르기 위한 길에서 분투했던 남성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이 과정에서 다른 남성들을 능가해야만 했다. 섹스에 대한 욕망은 남성들이 그렇게 하도록 동기부여하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소모되는 남자, 로이 F. 바우마이스터, 시그마북스)


2. 남자가 여자를 유혹하기 위해 자원을 통제하기 시작하자 그에 따라 여자의 선호가 진화했는지도 모른다. 반대로 성공하고 야심적이고 자원이 많은 배우자를 원하는 여자의 선호가 남자에게 지위와 자원 영역에서 위험 감수, 지위 추구, 경쟁자 비하 같은 경쟁 전략을 선택하게 했는지도 모른다. 여자의 선호는 남자들에게 자원을 얻기 위해 동맹을 결성하도록 하고, 또 여자가 원하는 자원을 획득하는 데에서 다른 남자들보다 앞서기 위한 개인적 노력에 몰두하도록 선택 압력을 작용했을 수 있다. 그렇지만 남자의 경쟁 전략과 여자의 배우자 선호는 공진화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진화심리학, 데이비드 버스, 웅진지식하우스)


3. 여성들은 지능의 범위, 즉 최상위 지능에서부터 최하위 지능에까지 전체에 걸쳐 관찰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약간 더 양 극단 쪽으로 퍼져 있는 반면 여성 군집은 조금 더 중간쯤에 몰려 있는 편이다. ... 다른 식으로 표현한다면 평균적인 남성과 여성의 지능은 거의 완벽할 정도로 비슷하다. 다만 극단에서는 차이가 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약간 더 바보 같거나 약간 더 똑똑하다. 가장 지능이 높은 사람이나 가장 지능이 낮은 사람들만 본다면 이 두 집단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번과 같은 책)



비하적 의미를 배제한다면 '남자는 애 아니면 개'라는 표현은 안정보다 모험을 즐기고, 싸움을 자처하며, 끊임없이 번식 기회를 엿보는 남성의 성향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만, 남성과 여성의 평균 지능이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2)의 의미는 부당한 것이죠.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brunch.co.kr/@thepsh-brunch/175

https://brunch.co.kr/@thepsh-brunch/170

https://brunch.co.kr/@thepsh-brunch/117

https://brunch.co.kr/@thepsh-brunch/116

https://brunch.co.kr/@thepsh-brunch/87

https://brunch.co.kr/@thepsh-brunch/86


작가의 이전글 종교가 계속 살아남을 수밖에 없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