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뮤제이 Jul 23. 2024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한다는 것

무조건적 수용의 중요성

우리는 살아오면서 수많은 감정을 마주한다. 때론 기쁨으로, 때론 슬픔으로 다가오는 이 감정들을 우리는 과연 얼마나 온전히 받아들이고 있을까? 회피는 본능이지만, 그 회피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오랫동안 내 감정과 숨바꼭질을 해왔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세상을 잘 살아가는 방법, 학문, 그리고 열심히 사는 법은 배웠지만, 정작 쉬는 방법이나 자신의 마음을 돌보는 법은 배우지 못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AI 시대를 맞이해 교육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경쟁과 성과에 매몰되어 있다.


우리는 왜 이토록 자신을 모르는 걸까? 과거의 후회와 미래의 불확실성에 불안을 느끼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나 자신'을 모르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어린 시절부터 한 인간의 개성을 존중받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늘 '왜'라는 질문을 하며 갈등했다. '착한 아이'가 될 것인가, '통제불능의 유별난 아이'가 될 것인가. 결국 전자를 선택했고, 그 선택은 겉으로는 그럴듯했지만 결국 미래에 어떤 것도 내면의 공허함을 채우지는 못했다.


삶의 객관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채워지지 않는 이 공허함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것은 '진짜 나 자신'을 잃어버린 데서 오는 결핍임을 깨달았다. 이런 감정이 드는 이유를 알아차리지 못했을 때, 우리는 그 불안을 다른 욕구로 채우려 한다. 그러나 이런 행위는 오히려 새로운 강박을 낳는다.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첫걸음은 역설적으로 왜 자신을 이해하기 어려웠는지를 들여다보는 것에서 시작된다. 우리의 첫 관계인 가족, 특히 부모와의 관계는 자기 이해의 틀을 형성한다. 여기에 학교, 친구, 직장 등 사회적 관계가 더해지면서 우리는 '조건부 수용'을 배우게 된다.


우리가 자신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유는 성장 과정에서 만들어진 방어기제 때문이다. 사랑받기 위해 만든 가면은 점차 단단해져 진정한 내면을 가로막는 벽이 된다. 우리의 뇌는 이런 가면을 쓴 모습과 진짜 모습을 구분하며, 억눌린 진짜 모습은 결국 다양한 증상으로 표출된다.


상담 현장에서 만난 내담자들의 이야기는 이를 잘 보여준다. 다정하고 배려심 깊은 A 씨, 타인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해 지친 상태다. 평소 열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B 씨는 자신의 게으른 모습을 인정하지 못하고 부정하며 스트레스를 받았다. 이들의 공통점은 어린 시절부터 이어진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노력이 습관이 되었다는 점이다.


모든 사람은 빛과 그림자를 지니고 있다. 좋아하는 모습과 싫어하는 모습 모두 나의 일부다. 이 두 면을 모두 받아들일 때 비로소 우리는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다. 부정적 감정을 회피하려는 것은 본능이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정신 건강을 위해서는 이를 적절히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한다.



감정은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수용하고 함께 흘러가는 것이다. 진정한 나를 찾는 여정은 이처럼 모든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서 시작된다.




이전 03화 일과 삶 사이,번아웃에서 깨달은 자아의 재발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