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쏘냥이 Aug 28. 2017

영화를 살린 클래식 #26

음악 영화 이야기 1. 영화 피아니스트, 그리고 쇼팽

안녕하세요. 매달 2, 4번째 주에영화 속 잊혀지지 않는 클래식 명곡들을 모은 '영화를 살린 클래식' 칼럼으로 찾아오는 바이올리니스트 겸 비올리스트 "쏘냥 (박소현)"입니다.


디즈니 판타지아 1960 시리즈에 이어 2017년 하반기에는 클래식 작품이나 작곡가, 연주자 등을 소재로 한 영화들을 주제로 "음악 영화 이야기" 시리즈를 다뤄보려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주제로 영화 "피아니스트"와 영화 속에 등장한 쇼팽의 대조적인 두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피아니스트의 포스터 [출처: 다음 영화]



영화 "피아니스트 (The Pianist)"는 "애드리언 브로디 (Adrien Brody, 1973~)", "토마스 크레취만 (Thomas Kretschmann, 1962~)"이 주연으로 분한 작품입니다.

쉰들러 리스트, ET 등으로 유명한 스필버그 감독과 함께 헐리우드를 대표하는 유대계 출신의 유명 감독이자 올리버 트위스트, 테스 등의 작품을 연출한 감독인 "로만 폴란스키 (Roman Polanski, 1933~)"가 작품을 맡아 2002년에 개봉, 큰 흥행을 불러 일으킨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유대계 폴란드인이자 피아니스트인 "블라디슬로프 슈필만 (Wladyslaw Szpilman, 1911~2000)"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48년 피아노 앞에 앉아있는 슈필만 [출처: 구글 이미지]



슈필만은 그가 피아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던 1939년에 독일 나치의 폴란드 침공과 점령, 바르샤바의 "게토 (Ghetto, 유대인 강제 거주 거리나 지역)"로 강제 이주를 당하였습니다.

그는 1945년까지 약 6년의 시간 동안 바르샤바의 게토에서 핍박을 받았으며 그 안에서 살아남은 20여명의 유태인 중 한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슈필만은 그와 우연히 만나게 된 독일의 교육자 출신이며 나치의 인종 차별 정책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독일 육군 장교 "빌헬름 호젠펠트 (Wilhelm Adalbert Hosenfeld, 1895~1952)"에게 음식 등의 생존 필수품들을 제공받았으며, 그 덕분에 소련이 바르샤바를 다시 점령해 독일군에게서 해방되는 순간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독일인 장교 호젠펠트 [출처: 위키페디아]



호젠펠트는 후에 소련군에게 잡혀가 포로 수용소에서 1952년 세상을 떠났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슈필만은 그 후에도 호젠펠트에의 은혜를 잊지 않고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며 자신이 살아남은 경험과 호젠펠트와의 인연을 "도시의 죽음 (Smierc Miasta)"란 제목의 자서전에 담아냈으며, 1988년에 다시 "피아니스트"란 제목으로 출판하였습니다.



슈필만이 직접 연주하는 쇼팽의 녹턴 20번 [출처: 유튜브]



로만 폴란스키 감독은 슈필만의 삶과 소설, 그리고 자신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되어 유태인 학살과 어머니의 죽음을 몸소 겪었던 기억을 토대로 이 "피아니스트"를 그려내었으며, 그 결과 2002년 깐느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2003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쉰들러 리스트와 함께 유태인 학살을 주제로 한 "홀로코스트 (Holocaust)" 영화의 상징으로 칭송받는 이 영화에서는 쇼팽의 피아노 작품들이 전반에 흐르고 있는 것이 인상적인데요.


"프레데릭 쇼팽 (Frederic Francois Chopin, 1810~1849)"은 폴란드가 낳은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알려져 있지요.



폴란드의 위대한 작곡가 쇼팽 [출처: 구글 이미지]



그가 폴란드를 떠난 1830년, 그의 나이 20세까지 썼던 이름은 폴란드식인 "프리데리끄 프란치세끄 쇼팽 (Fryderyk Franciszek Chopin)"으로, 프랑스로 이주하여 평생을 사는 동안 쇼팽은 자신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바꿨고, 우리에게는 그 이유로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이라는 프랑스식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세의 나이에 조국 폴란드를 떠나 다시는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이름도 프랑스식으로 변경했던 쇼팽은 그러나 고국에 대한 그리움과 애국심을 잃지 않고 마음 속에 품고 살았는데요.

쇼팽은 그런 그의 마음과 폴란드인스러움을 잃지 않은, 피아니스트들에게는 특히나 매우 중요한 레퍼토리이자 우리에게도 많이 알려져 있는 작품들을 다수 작곡하였습니다.


그 중 오늘 다루는 영화 "피아니스트"에 등장한 작품은 "녹턴 (Nocturne)", 즉 야상곡과 "발라드 (Ballade)" 이 두 작품입니다.



영화 "피아니스트" 중, 슈필만이 3년의 도피 생활 끝에 호젠펠트를 만나 그의 앞에서 연주를 하기 직전 [출처: 영화 "피아니스트" 중]



첫째로 쇼팽의 "야상곡 20번 내림 다단조 (Nocturne No.20 in c sharp minor, B.49)"는 쇼팽이 1827년부터 1846년까지 작곡한 21개의 작품 중 20번째 작품으로 1~18번과 달리 쇼팽이 사후에 출판된 4곡의 작품 중 하나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녹턴 20번이 들어간 19~21번의 작품은 쇼팽이 폴란드를 떠나기 전 작곡되었으며 녹턴 1번보다도 작곡 시기는 앞선 작품이기도 합니다.


녹턴 21곡들은 현재까지도 독주 피아노 작품으로 자주 연주되는 매우 완성도가 높은 곡들로, 거의 대부분이 A-B-A의 세도막 형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중 쇼팽의 녹턴 20번은 실제로도 슈필만이 독일인 장교 호젠펠트 앞에서 연주를 했던 작품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는 자서전에서 그 순간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건반에 손가락을 대는 순간 손가락들이 경련을 일으켰다.
어쨌든 나는 지금 피아노를 쳐서 내 몸값을 치러내야 한다!!!
하지만 나는 거의 2년 반 동안이나 연주를 하지 못했다. 손가락은 뻣뻣했고, 켜켜이 때로 덮여 있었으며, 은신해 있는 건물에 불이 나는 바람에 손톱도 깎지 못한 상태였다. 게다가 유리창도 없는 방 안에 방치된 피아노는 기계 장치가 습기 때문에 팽창되어 건반이 아주 뻑뻑했다.
나는 쇼팽의 야상곡 내림다단조를 쳤다.
제대로 조율도 안된 피아노줄의 탁한 울림이 텅빈 집과 계단을 지나 길 건너편에 있는 빌라의 폐허에 부딪혀 맥빠지고 우울한 메아리가 되어 돌아왔다.
연주를 끝내자 그 침묵은 전보다 한층 더 음울하고 괴괴했다.
거리 어딘가에서 고양이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



영화에서는 이 장면에서 쇼팽의 녹턴 20번이 아닌 쇼팽의 "발라드 1번 (Chopin Ballade No.1 in g minor, Op.23)"을 연주합니다.


쇼팽의 "발라드"는 녹턴과 마찬가지로 세도막 형식을 따르는 피아노 독주곡입니다.

하지만 단 4곡만이 작곡되었으며, 쇼팽은 폴란드의 낭만 시인이자 애국 시인이었던 "아담 미츠키에비치 (Adam Bernard Mickiewicz, 1798~1855)"의 1828년 서사시 "콘라드 월렌로드 (Konrad Wallenrod)"를 읽고 감명을 받아 작곡한 작품입니다.



영화 피아니스트 속의 쇼팽 발라드 1번 장면 [출처: 영화 "피아니스트" 중]



발라드는 "이야기가 있는 노래"란 뜻으로 14, 15세기에는 춤곡의 한 장르로 쓰였으나, 18세기에 이르러 서정적인 특징을 지닌 기악곡으로 발전되었으며, 쇼팽은 "콘라드 월렌로드"에서 영감을 받아 폴란드에의 애국심과 민족 음악적 특징을 잔뜩 가미하여 이 발라드 1번을 작곡하였습니다.


단순하고도 여린 도입부로 시작되어 극적인 발전을 거쳐 서정적이고 애절한 테마가 흐르고 다시 격정적인 클라이막스를, 또다시 좌절과 분노를 거듭하다 결국 자유로이 해방되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이 음악은 자신의 목숨줄을 쥐고 있는 독일 장교 앞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실과 비합리적이고도 야만적인 삶에 희망과 좌절을 겪은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보여주며 희망과 목숨을 갈구하는 유대인 피아니스트, 폴란드 피아니스트를 잘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극적이고도 아름다운 폴란드 작곡가의 피아노 작품을 녹턴 대신에 집어넣는 과감하고도 탁월한 선택은 이 영화의 가장 인상깊은 장면으로 모두의 기억 속에 뚜렷하게 각인될 수 있었습니다.




게토로 강제 이주당하는 주인공 슈필만과 유대인들의 모습 [출처: 영화 "피아니스트" 중]



실제 슈필만이 연주했던 쇼팽의 녹턴 20번 역시 영화 "피아니스트"에 등장하고 있는데요.

녹턴 20번은 평화를 상징하는 음악으로 영화 초반, 주인공이 라디오 방송국에서 라이브 피아노 연주를 하는 장면이나, 모든 악몽의 시간이 흐른 후에 연주되며 주인공에게 닥칠 재앙과 학살의 폭풍전야, 그리고 폭풍이 지나간 후에 남은 기억들의 폐허, 그 속에 들어있는 희망 등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인간의 가장 추악하고도 잔인한 핍박과 죽음의 고통을 견뎌낸 한 음악가를 통해 폴란드인과 수많은 유대인을 비롯한 소수 민족의 슬픈 역사를 그려낸 영화 "피아니스트", 그 음악가의 평화와 처절한 비극을 대조적으로 그려낸 폴란드의 국민 작곡가 쇼팽의 피아노 작품 "야상곡 20번"과 "발라드 1번"이 영화 속 잊혀지지 않는 클래식 명곡, 그 26번째 이야기의 주인공이었습니다.



*다른 칼럼들과 연주 일정, 레슨 등은 www.soipark.net 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를 살린 클래식 #25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