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우 아빠 Aug 26. 2022

난초 (이하응)

소인은 교만하고 태연함이 없다

난초 - 이하응(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군자는 태연하면서도 교만함이 없으나, 소인은 교만하고 태연함이 없다. 

(자로편 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 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


 군자가 교양과 실천력을 가진 바른 인재상이라면, 소인은 그와 반대적인 특성을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군자라는 말이 군주의 아들이라는 신분에서 나왔듯이, 소인도 본래 평민을 뜻하는 말이었습니다. 둘 다 본래의 의미에서 뜻이 완전히 바뀐 단어들입니다. 보통 쪼잔하고 간사한 사람을 소인배라고 부르는데, 소인을 소인배와 비슷한 의미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논어》에 등장하는 군자와 소인은 모두 신분이나 계급을 떠나서 상징적인 의미로 쓰였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군자와 소인이 계층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에만 빠져서, 공자가 신분에 따른 차별주의를 따르며, 귀족들만 높이고 평민을 낮추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논어》 전체를 읽어보면 그러한 주장이 얼마나 터무니없고 편협했는지 바로 알게 됩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평상시의 생활태도를 강조하며 ‘군자다운 선비가 되어야지, 소인 같은 선비가 되어서는 안 된다'(옹야편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여위군자유 무위소인유)라고 하였습니다. 공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선비라고 전부 군자가 아닙니다. 군자나 소인은 입장이나 태도의 변화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군자였던 사람이 소인으로 타락할 수도 있고, 소인이었던 사람이 군자로 올라설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교만한 사람은 자기 잘난 맛으로 살아갑니다. 오직 자기만 생각하기 때문에 건방지고 제멋대로 행동합니다. 이런 사람들이 지닌 가짜 태연함은 위기를 만나면 금방 찢어지고 벗겨집니다. 동료를 버리고 혼자만 살기 위해 발버둥 치기 일쑤입니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비겁하고 치졸한 짓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사람은 위기에 빠졌을 때 그 진면목이 드러납니다. 


 군자가 갖추어야 할 태연함은 겉으로만 내색하지 않는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내면으로부터 다져진 평온함이 꾸준히 쌓여야 합니다. 그래야 위기가 닥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신념대로 당당하게 밀고 나갈 수 있습니다. 진정한 태연함은 쉽게 얻기 어렵습니다. 바른 신념을 따르고, 작은 이익과 시비에 연연하지 않는 꾸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내 삶의 길을 스스로 찾고, 설계하고, 신뢰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기가 지나간 다음에 더욱 단단한 태연함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즐겨야 합니다. 




 난초(蘭草)는 보통 난이라고 부릅니다. 난은 잎의 우아한 자태와 꽃의 맑은 향기로 선비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난은 종류가 많지만 요즘에는 꽃이 화려하고 향기가 없는 서양란과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녀리지만 향기가 좋은 동양란으로 구분합니다. 조선 시대의 난은 모두 동양란입니다. 줄기가 없이 뻗은 기다란 잎이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면서 청초한 곡선을 만듭니다. 여러 잎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며 태연하고 고결한 선들의 집합이 형성됩니다. 난은 1년에 한 번씩 꽃이 피는데, 제대로 가꾸지 않으면 꽃을 피우지 않습니다.

  

 먹으로만 그린 난초는 묵란(墨蘭)이라고도 하며, 잎을 한 번에 그려 나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붓을 종이에 붙였다가 뗄 때마다 하나씩 잎이 생깁니다. 미리 구도를 머릿속으로 정하고 붓을 대면, 반복된 연습과 감각으로 순식간에 그림이 완성됩니다.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기에 쉬워 보이지만, 난 잎의 길이와 각도에 따라서 분위기가 사뭇 다르기에 결코 만만치 않습니다.


 위의 난초 그림은 독특한 개성이 넘칩니다. 일반적인 청초함은 없고, 오히려 난이 가지고 있지 않은 다소 거친 기운이 튀는 듯한 느낌입니다.  아래 부분에는 땅에 뿌리를 박고 집단으로 자라는 난이 꽃줄기와 함께 뒤엉켜 과격한 춤을 추고, 윗부분에는 뿌리가 뽑힌 난이 마치 하늘을 나는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뿌리가 드러난 난을 노근란(露根蘭)이라고 합니다. 노근란은 송나라 사람이었던 정사초(鄭思肖)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원나라에게 나라를 잃은 서러움을 뿌리가 드러난 난으로 표현했습니다. 그 뒤로 노근란은 조국을 빼앗긴 심정을 대표적인 상징이 되었습니다. 


 〈난초〉는 이하응의 작품입니다.  그는 고종의 아버지로 흥선대원군이라고 불렸습니다. 흥선대원군은 12살에 왕이 된 어린 아들 고종을 대신하여 직접 정치에 관여하였습니다. 그는 낡아가는 조선을 흔들어 깨우기 위한 개혁에 몰두하였으나, 지나친 권력에 대한 욕망과 폐쇄 정책으로 근대화에 실패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입니다. 조선 후기에 난초 그림으로 뛰어난 3대 인물로 김정희, 민영익과 함께 이하응을 꼽습니다. 



묵란 - 민영익 (출처 : 공유마당 CC BY)


이전 01화 묵매 (허련)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