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픈옹달 Jun 20. 2021

패왕별희, 술잔에 떨어진 눈물이여

중국적 영웅의 두 얼굴 2

진나라가 무너졌다. 항우에게 관중에 도읍을 삼아 천하를 도모하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러나 항우는 그의 제안을 가볍게 물리친다. 공을 세우고 고향에 돌아가지 않으면 비단옷을 입고 밤에 돌아다니는 것과 같다는 이유에서였다. '금의야행錦衣夜行'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왔다.(사기 본문에서는 의수아행衣繡夜行) '금의환향錦衣還鄕'이라는 말처럼 그는 고향에 돌아가 공적을 자랑하기만 바라는 소박한 사람이었다.


항우의 답을 듣고 관중에 도읍하기를 권한 사람은 이렇게 비난한다. 초인목후이관楚人沐猴而冠, 즉 초나라 사람은 목욕시킨 원숭이에 관을 씌운 것 같다는 말이다. 이 말을 들은 항우는 그를 삶아 죽였다. 그 이후 목후이관은 못난 사람을 비난하는 말이 되었다. 


항우는 초왕을 의제로 높이고 장수들을 각 지역의 제후로 삼는다. 스스로는 서초패왕이 되었다. 전국시대의 형태로 돌아간 셈이다.  만약 항우가 짜 놓은 판이 오래 지속되었다면 '중국'이라는 세계는 어떤 모습이 되었을지 모를 일이다. 그러나 항우가 천하를 조각내 놓은 이후에도 크고 작은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 항우는 여전히 말 위에서 전장을 누비어야 했다. 가장 큰 싸움은 유방과의 싸움이었다. 


훗날 초한쟁패로 불리는 이 전쟁의 양상은 일방적이었다. 항우가 이기고 유방이 도망가는 식이었다. 유방은 자식을 수레에서 내던지기도 하고, 부하 장수가 대신 유방으로 꾸민 틈을 타 목숨을 건지기도 했다. 그러나 소하가 후방에서 끊임없이 병사와 양식을 보내준 덕택에 전쟁을 계속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유방에게는 사람을 구슬리는 재주가 있었다. 한신과 팽월 등이 유방 편에 붙은 것이 항우에게는 큰 손해였다. 결국 항우의 군대는 해하에서 여러 제후들의 부대에 포위당하고 만다. 


이 해하의 전장에서 사마천은 독자를 항우의 장막 안으로 이끈다. 거기서 우리는 예상치도 못한 한 인물을 만난다. 바로 '우虞'라는 이름의 여인이다. 


항왕(항우)의 군사가 해하에 머물렀다. 병사는 줄고 식량도 다했는데 한나라의 군대와 제후들의 병사들이 몇 겹으로 포위하고 있었다. 한 밤에 한나라 군사들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불렀다. 항왕이 크게 놀라 말했다. "한나라가 이미 초나라를 점령했단 말인가. 초나라 사람이 이리도 많다니." 

항왕은 밤에 일어나 장막에서 술을 마셨다. 우虞라는 이름의 여인이 있었는데 항상 총애를 받으며 항우와 함께했다. 추騅라는 이름의 훌륭한 말이 있었는데 항우는 이 말을 탔다. 이때 항우가 비분강개한 마음으로 시를 지어 노래했다.

힘은 산을 뽑고 기운은 세상을 덮는데
때가 불리하여 추가 달리지 못하는구나   
추가 달리지 못하니 어떻게 해야 할까.
우여, 우여! 너는 어떻게 해야 할까.         

몇 차례 노래가 끊겼으나 우 미인이 따라 물렀다. 항왕의 눈물이 몇 줄기 흘러내렸다. 좌우의 사람들이 모두 울며 고개를 들지 못했다.

項王軍壁垓下 兵少食盡 漢軍及諸侯兵圍之數重 夜聞漢軍四面皆楚歌 項王乃大驚曰 漢皆已得楚乎 是何楚人之多也 項王則夜起 飲帳中 有美人名虞 常幸從 駿馬名騅 常騎之 於是項王乃悲歌慨 自為詩曰 力拔山兮氣蓋世 時不利兮騅不逝 騅不逝兮可柰何 虞兮虞兮柰若何 歌數闋 美人和之 項王泣數行下 左右皆泣 莫能仰視 


그 유명한 사면초가四面楚歌, 발산개세拔山蓋世 혹은 역발산기개세力拔山兮氣蓋世가 바로 여기서 나왔다. 그런가 하면 패왕별희覇王別姬 또한 여기서 나온 이야기이다. 항우가 사랑한 우 미인은 어떻게 되었을까. 사마천은 그 뒤의 행적에 침묵한다. 그러나 훗날 사람들은 여러 상상을 덧붙였다. 


작가가 침묵하는 곳에 상상이 깃들기 마련이다. 사마천은 수많은 군사를 뒤로하고 장막 안의 한 영웅과 한 미인에 주목한다. 이들의 노래는 비극적인 영웅의 노래이면서, 동시에 원치 않는 이별을 앞둔 연인의 노래이기도 하다. 사마천은 <항우본기>에서 우리를 그날 그 장막 안으로 초대한다. 항우와 함께 울며 고개를 들지 못한 좌우의 사람들이란 후대의 독자가 아닐까. 


이어 항우는 말을 타고 올라 마지막 싸움을 나선다. 기병 800명이 그를 따랐다. 몇 겹의 포위도 그를 막을 수 없었다. 포위를 뚫고 동성에 이르렀을 때에는 겨우 28기의 기병만 남았다. 이때 뒤따르는 병사들에게 하는 그의 말에는 패장의 모습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내가 군사를 일으킨 이후 지금까지 8년 동안 몸소 70여 차례 싸웠다. 상대한 적마다 깨뜨리고 굴복시켜 패배한 적이 없었다. 마침내 천하에 패자가 되었으나 지금 공경에 처하고 말았구나. 이는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는 것이지 전쟁을 잘못했기 때문이 아니다. 오늘 나는 목숨을 걸고, 그대들을 위해 통쾌한 싸움을 벌이고자 한다!"


실제로 그는 병사들을 이끌고 포위를 뚫고 한나라 장수를 벤다. 고작 서른 기도 안 되는 병사로 수천 명의 군대를 어지럽힌 것이다. 항우는 결국 오강烏江에까지 이른다. 오강을 건너 강동江東 땅으로 가면 또 다른 길을 도모할 수도 있는 상황. 그러나 항우는 강을 건너지 않는다. 이때 항우의 말이 애달프다.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는데 무엇하러 강을 건너겠는가. 또 나는 강동의 젊은이 8,000명과 함께 강을 건너 서쪽으로 향했다. 지금 한 사람도 돌아오지 못했으니 설령 강동의 사람들이 나를 불쌍히 여겨 왕으로 삼아준다 한들 무슨 면목으로 그들을 보리. 그들이 아무 말하지 않더라도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겠는가."


항우는 끝까지 유방에게 패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하늘이 망하게 하거늘 피할 곳이 어디란 말인가. 어쩌면 그는 자신의 운명이 다하는 곳까지 스스로 가보고 싶었는지 모른다. 그는 강에 이르지만 강을 건너지 않고 죽음을 맞기로 한다. 배를 예비해준 정장에게 자신의 말을 넘겨주고 자신을 따르는 병사들과 말에서 내려 최후의 결전을 준비한다. 


수백 명을 홀로 죽이고 수십 군대에 상처를 입은 뒤, 문득 유방 부대에 있던 자신의 옛 부하를 만난다. 그를 보곤 덕을 베푼다며 스스로 목을 찔러 죽는다. 당시 항우의 수급에는 천금과 일만 호의 읍이 걸려 있었다. 이에 병사들이 앞다투어 항우의 수급을 차지하려 서로 죽이는 일까지 벌어진다. 결국 항우의 몸은 다섯으로 갈라지고 이를 차지한 다섯은 이후 후侯로 봉해진다. 


항우의 최후를 단 몇 문장으로 짧게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항우는 해하에서 패하여 스스로 목을 찔렀다’처럼. 그러나 사마천은 그의 최후를 상세히 그린다. 대체 무슨 이유에서 사마천은 그의 죽음을 그토록 장황하게 늘어놓은 것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여기서는 죽음을 대하는 사마천의 태도를 이야기해보려 한다. 


천하를 뒤 흔든 영웅이었으나 항우에게도 죽음은 피할 수 없는 필연이었다. 그러나 항우는 죽음을 피하지 않는다. 도리어 죽음으로 거침없이 내딛는다. 이는 죽음을 대하는 사마천의 태도이기도 하다. <사기>의 여러 인물의 최후가 그렇지 않았는가. 죽는다는 것은 똑같으나 어떻게 죽느냐 하는 것은 다른 법. 항우의 최후는 죽음을 맞는 또 다른 방식이다. 설령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더라도 내 스스로 죽음을 맞이하겠다는 식의.


혹자는 <본기>에서 역사를, <열전>에서 인간을 읽어낼 수 있다고 말한다. 크게 보아 틀린 말은 아니나 사마천에게 이 둘이 과연 서로 따로 떨어져 있었을지 의문이다. <사기>가 오늘에도 읽히는 것은 생생하게 살아숨쉬는 인간들의 삶을 통해 우리를 과거로 이끌기 때문이 아닐까. 그렇게 우리는 <항우본기>에서 펄떡이는 한 영웅을 마주한다. 


이전 14화 홍문연, 술자리 눈치게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