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모두미 Oct 10. 2019

프롤로그

“엄마. 엄마. 다람쥐를 데려왔어요. 아기 다람쥐예요.”

헐레벌떡 뛰어오는 성민이와 현민이의 손에는 아주 작은 새끼 다람쥐가 있었다. 아기 다람쥐는 나무에서 떨어진 지 꽤 되었는지 개미들이 괴롭히고 있었다고 했다. 아무래도 엄마 다람쥐가 없는 사이 높은 나무에서 떨어진 모양이었다. 아기 다람쥐는 숨은 쉬고 있었으나 몸이 많이 차가웠다. 또 높은 곳에서 떨어져 몸 안에 큰 상처가 있을 수도 있었다.

성민이와 현민이는 다람쥐를 키우게 해달라고 이야기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키우는 것이 아니라 다친 다람쥐를 살려보겠다고 말했다. 내 눈에 그 아기 다람쥐는 거의 다 죽어가 보였다. 하지만 아이들의 마음에 실망을 주고 싶지 않았다. 

아이들은 작은 박스에 부드러운 천을 깔고 다람쥐를 눕혔다. 그리고 주사기를 이용해서 아기 다람쥐에게 우유를 주기 시작했다. 성민이는 다람쥐 집 바깥에 ‘다람쥐 집’이라는 미니 문패도 달아 주었다. 아기 다람쥐를 따뜻하게 해 주고 우유를 더 자주 주고 했으나 다람쥐는 더 힘이 없어졌고 우유도 잘 마시지 않았다.

마음이 급해진 아이들과 우리는 인도의 동물병원을 찾아갔다.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은 동물병원 의사는 아이들에게 아기 분유를 더 자주 주라고 아주 친절하게 이야기해 주었다. 

병원에서 돌아오는 길 우리는 약국에 들러서 아기 분유를 한 통 샀다. 아이들은 이제야 방법을 알았다며 아기 분유를 더 주면 건강해질 거라며 집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바로 그 순간 그 다람쥐는 이미 숨을 거둔 상태였다. 아이들은 울었다. 자기들이 아기 다람쥐를 더 잘 키우지 못했다며 꺼억꺼억 울어댔다. 내 마음도 아팠다. 

그때부터였나 보다. 아이들은 동물들을 더 자세히 보고 더 많이 사랑하기 시작했다.

동물을 키우고 아픈 동물들을 돌봐 주는 것에 좋은 일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가슴 아픈 일들이 더 많은 듯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동물들을 사랑하며 돌봐주고 때로는 동물들에게서 사랑을 배우며 살아가고 있다.

이 작은 책은 특별하지 않는 보통 아이들과 엄마가 특별한 동물들을 사랑하는 이야기이다.

행복하면서도 때로는 가슴 아리고 때로는 후회하면서 그러면서도 여전히 자연을 사랑하고 동물들을 사랑하고 싶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