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얼음인간

by 이은 Jan 19. 2025
아래로

처마 끝에 매달린 빗방울이 줄지어 떨어진다. 마찰을 일으키며 흩어져 웅덩이에 들어간다. 서너 개의 크고 작은 웅덩이와 그곳에 닿지도 못하고 맨 땅에 처참히 부서지는 존재들. 같은 하늘에서 떨어졌음에도 결말은 이리도 다르다. 애초에 누군가 정해준 걸까, 그저 우연일까. 어느 쪽이든 불공평 한 건 마찬가지고, 땅으로 돌아가는 건 똑같다. 참으로 허무한 생이다. 


원은 처마 끝을 올려다보며 말했다. 


“우리는 버려진 걸까.” 


머릿속에 많은 말이 떠올랐지만, 입 밖으로 뱉을 수 있는 건 없었다. 그저 웅덩이만 응시한다. 새롭게 떨어지는 빗방울들이 존재를 망각하는 순간들을. 


원은 혼잣말을 계속했다.


“아니지. 우린 스스로 여기에 왔잖아. 근데 이상해. 왜 버려진 기분이지.” 


연옥을 물끄러미 쳐다본다. 


“옥아.”   


연옥은 대답도, 원을 보지도 않았다. 볼 수 없었다. 웅덩이에 슬쩍 비치는 뻣뻣한 왼손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 


“우린 그러지 말자.”


연옥은 직감했다. 작별을 고한 거다. 그동안 잠시 미뤄두었던, 할 수 없었던 말을 꺼낸 거다. 노력하면 될 거라는 믿음. 창창한 ‘우리’의 앞 날이란 이제 없다. 연옥은 처음으로 울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눈물이 얼굴을 타고 흐르는 동안에도 울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원이 감싸 안으며 연옥의 팔을 토닥인다. 맨 살에 손이 닿을 때마다 차가운 얼음덩이가 훑는 거 같다. 여행길 내내 원의 왼손은 접촉할 일이 없었다. 그의 배려였다. 마지막 순간에서야 원은 마음 편히 연옥을 안아줄 수 있게 되었다. 연옥은 그런 원의 손을 붙잡고 매만진다. 


“많이 울어줘. 그럼 버리지 않는 거야. 우린 버린 적 없는 거야.” 


원의 손길이 점점 느려지고 감싸 안은 온기가 서늘해진다. 원은 그렇게 사라지고 있다. 


“옥아, 우리를 기억해 줘.”


희뿌연 연기가 바닥을 훑으며 유연하게 헤엄친다. 연옥의 주위를 맴돌다 천천히 빗 속으로 향한다. 발 밑의 웅덩이로, 맨 땅으로, 건물 틈 사이로, 80번 버스로, 고성 바다로, 미시령의 은하수로, 로마의 성전으로, 변덕스러운 신의 입 속으로 돌아간다. 


원의 왼손가락에 있던 반지가 나뒹굴며 길었던 침묵을 깨뜨린다. 연옥은 반지를 주워 품 속으로 끌어안는다. 그가 남기고 간 유일한 유산. 그의 지문이 묻어있고, 그의 온기가 묻어있는. 그의 살갗을. 


원은 마치 내일 보자 인사하며 돌아서는 듯했다. 꼭 다시 볼 수 있는 사람 같았다. 특히나 그 미소가 너무도 평온해 보였다. 원은 그렇게 작고의 계절과 함께 물러났다. 


원의 시신이 모두 사라지고 나서야 온전히 혼자가 된 기분을 느낀다. 원의 손이 닿았던 팔을 어루만진다. 살이 벌겋게 부어올라 있었다. 쓰라린 여름이다. 


연옥은 그제야 소리 내어 울기 시작했다.

이전 04화 미래를 위하여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